영산강하굿둑
하천명 : 영산강
목적 : 농업용수
유역면적 : 3,371㎢
형식 : BM/CE
관리기관 : 한국농어촌공사
높이 : 19.5m
길이 : 4,350m
체적 : 2,532,000㎥
계획홍수위 : EL 1.38m
상시만수위 : EL -1.35m
종저수용량 : 253,218,000㎥
유효저수용량 : 180,900,000㎥
저수면적 : 34.6㎢
연간용수공급량 : 282,090,000㎥
연간용수공급량 : 282,090,000㎥
전라남도 목포시와 영암군 삼호읍 사이 영산강 하구에 위치하고 있는 하굿둑. 영산강 하류부 저지대의 농지는 갈수기 및 밀물에 염수피해를 많이 입었던 지역으로, 영산강하구둑을 건설하여 총 저수용량 253백만㎥, 면적 34.6㎢의 담수호가 개발되었으며, 55㎢의 간척지를 얻게 되었다. 담수호에서는 16개의 펌프시설을 이용하여 227㎢의 농경지에 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격하전 국도 2호선이 영산강하구둑의 위를 지나갔으나, 상류 쪽에 무영대교가 건설된 이후로는 국도 2호선 구간이 그 쪽으로 이전하였다. 왕복 6차선 구간이며 대불산업단지와 현대삼호중공업에 출퇴근하는 노동자들에게 중요한 통로이다. 목포대교가 개통되기 전까지는 영암군 삼호읍과 목포시를 이어주는 거의 유일한 길이였으므로 상습 정체구간이기도 했다.
1978년 착공 1981년 12월에 완공되었는데, 당시 하굿둑 양단의 지명이 무안군 삼향면 옥암리와 영암군 삼호면 나불리였기 때문에 30여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포털사이트 검색등을 통해서 연결되는 백과사전 등 자료에 양단의 주소가 저렇게 표기된 자료를 지금도 찾아볼 수 있으나, 1987년 옥암리가 목포시에 편입되며 목포시 옥암동이 되었고, 이 편입으로 영산강하구둑과 직접적인 접점은 없어졌지만 여튼 무안군 삼향면은 2011년 삼향읍으로 승격되었고, 영암 쪽은 2003년 삼호면이 삼호읍으로 승격되어 2024-10-05 23:43:39 현재 양단의 주소는 목포시 옥암동과 영암군 삼호읍 나불리이다.
덤으로 위에서 언급한 구 국도2호선 6차선 도로는 하굿둑 축조 당시 2차로로 건설되었다. 하굿둑이 생기기 전만하더라도 목포에서 현재의 영암군 삼호읍까지 육로로 이동하려면 저 멀리 나주 땅을 경유하거나 배를 타는 방법밖에 없었는데 육로로 단숨에 넘어 다닐 수 있게 되었으니, 이 2차로 도로의 개통이 목포 - 영암 간 교류 뿐만 아니라 해남, 진도, 강진, 장흥 등 인접 시 군에서 목포권으로 교류하는데 획기적인 계기가 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또한 이 도로의 개통으로 삼호읍 등 서영암 지역이 목포 생활권으로 편입되는 계기가 된 것이다.
이 2차로 도로의 흔적은 4대강 정비 사업 이전부터 존재하던 영암 쪽 8개의 수문 위 도로에 남아 있는데, 2차로 시절에는 목포 쪽에서 영암 쪽으로 넘어갈 떄는 2차로로 된 둑길을 지난 후 살짝 오른 쪽으로 꺾어져서 수문위를 직접 지나서 영암 쪽으로 빠지는 식이었고, 90년대 초중반까지만 해도 이렇게 다녔는데, 이후에 이 도로가 6차로로 확장되면서 둑길 부분은 그대로 확장되었지만, 수문 위 도로는 폐쇄되고 새로 지어진 현재의 삼호대교를 통해 삼호읍으로 직진하는 식으로 변경된 것이다. 역시 20년 전 이야기 이지만 백과사전 등에서 영산강하굿둑 항목을 검색하면 2차로 시절 사진을 종종 볼 수 있다.
2010년대는 4대강 정비 사업으로 홍수 시 영산강 물을 바다로 빨리 배출할 수 있도록 목포방향으로 5개의 수문이 추가되고, 교량구간이 길어졌다. 덕분에 공사가 진행되는 몇 년 동안은 서울 양화대교마냥 상류 쪽에 건설된 임시도로로 급커브해서 우회해야 하는 상태로 지내야 하였다.
여튼 이 하굿둑은 목포와 영암 지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연결로의 역할을 하면서 본연의 기능인 영산강과 황해 사이를 단절하는 역할 또한 충실히 하고 있어서, 이 하굿둑 서쪽은 하당 평화광장 앞은 바다이고, 동쪽인 남악신도시의 수변공원 앞 쪽은 강이라는 정체성을 확립해주었는데, 2018년 현재의 관점에서 목포시나 인근 군 지역 주민들에게는 당연한 소리겠지만 불과 몇 십년 전인 1970년대까지만 해도 당시의 무안군 삼향면[1] 이나 일로면[2] 주민들이 바닷물이 드나드는 영산강에서 재첩 같은 해산물을 채취하고, 조수 간만의 차이를 이용해 한참 더 내륙인 나주시까지 홍어 배가 드나들며 영산포가 항구도시로서의 기능을 하였던 점을 생각하면 수 천년 역사 중 하구둑 서쪽은 바다, 동쪽은 강이라는 개념이 생긴 것이 매우 짧은 기간이라는 점을 느낄 수 있다. 목포대교의 개통으로 통행량 분산 효과를 얻었다.
유속이 느리고 경사가 완만한 영산강은 상류쪽에 각종 축산 및 생활하수 등이 흘러들면서 자정작용을 할 수 있는 범위를 아득히 넘어서 버렸었다. 문제는 이 하구둑이 건설되면서 그 악화된 수질에 헤드샷을 날려버린 것. 물론 1990년대 이후 각종 하수처리시설 등을 설비하고 이리저리 관리를 하면서 이 1970~80년대의 수질보다는 나아졌지만, 수처리를 하는데 드는 비용이 만만치 않은 것은 어쩔 수 없는 일. 또한, 이 하구둑의 건설로 남해에서 나주시까지 연결되던 영산강의 수로 기능이 완전히 끝나게 된다. 물론 이전에 호남선 철도가 목포까지 부설되고, 목포항이 개항되면서 빈사상태에 이르기는 했지만, 전통적인 영산강의 수로기능은 그래도 가능했었던 것. 그러나 이 하구둑으로 바다와 영산강이 물리적으로 단절되면서 지나간 옛 이야기가 되고 말았다.
MB 정권시절 전국에서 유일하게 야권지역 단체장이면서 4대강 정비 사업을 찬성한 곳이기도 하여 논란이 되기도 하였다. 당시 박준영 전라남도지사는 박지원 의원과 함께 김대중 전 대통령의 복심 혹은 입으로 유명했던 사람이라 다른 지역의 4대강 사업 반대를 주장하는 사람들에게는 상당한 충격을 불러 일으켰다. 그러나 여기서 유의해야 할 점은 영산강의 수질문제였다. 위에서 언급한 것 처럼 영산강의 수질 문제는 임시방편으로 처리해 나가기에는 이미 임계점에 도달한 상태였고, 전라남도는 이를 위한 수질정화에 대규모의 시설투자를 할 여력이 없었다. 일설에는 당시 4대강 사업을 진행하면 중앙정부에서 막대한 예산과 지원을 해주는 시절이었기에 이점을 노리고, 야권의 단체장이자, 야권의 핵심지역인 전남이 먼저 4대강 사업을 적극 찬성하면서 중앙으로 부터 예산을 왕창 뜯어 오자는 계획이 있었다는 소문이 돌기도 하였다.[3]
목적 : 농업용수
유역면적 : 3,371㎢
형식 : BM/CE
관리기관 : 한국농어촌공사
높이 : 19.5m
길이 : 4,350m
체적 : 2,532,000㎥
계획홍수위 : EL 1.38m
상시만수위 : EL -1.35m
종저수용량 : 253,218,000㎥
유효저수용량 : 180,900,000㎥
저수면적 : 34.6㎢
연간용수공급량 : 282,090,000㎥
연간용수공급량 : 282,090,000㎥
1. 개요
전라남도 목포시와 영암군 삼호읍 사이 영산강 하구에 위치하고 있는 하굿둑. 영산강 하류부 저지대의 농지는 갈수기 및 밀물에 염수피해를 많이 입었던 지역으로, 영산강하구둑을 건설하여 총 저수용량 253백만㎥, 면적 34.6㎢의 담수호가 개발되었으며, 55㎢의 간척지를 얻게 되었다. 담수호에서는 16개의 펌프시설을 이용하여 227㎢의 농경지에 용수를 공급하고 있다.
격하전 국도 2호선이 영산강하구둑의 위를 지나갔으나, 상류 쪽에 무영대교가 건설된 이후로는 국도 2호선 구간이 그 쪽으로 이전하였다. 왕복 6차선 구간이며 대불산업단지와 현대삼호중공업에 출퇴근하는 노동자들에게 중요한 통로이다. 목포대교가 개통되기 전까지는 영암군 삼호읍과 목포시를 이어주는 거의 유일한 길이였으므로 상습 정체구간이기도 했다.
1978년 착공 1981년 12월에 완공되었는데, 당시 하굿둑 양단의 지명이 무안군 삼향면 옥암리와 영암군 삼호면 나불리였기 때문에 30여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포털사이트 검색등을 통해서 연결되는 백과사전 등 자료에 양단의 주소가 저렇게 표기된 자료를 지금도 찾아볼 수 있으나, 1987년 옥암리가 목포시에 편입되며 목포시 옥암동이 되었고, 이 편입으로 영산강하구둑과 직접적인 접점은 없어졌지만 여튼 무안군 삼향면은 2011년 삼향읍으로 승격되었고, 영암 쪽은 2003년 삼호면이 삼호읍으로 승격되어 2024-10-05 23:43:39 현재 양단의 주소는 목포시 옥암동과 영암군 삼호읍 나불리이다.
덤으로 위에서 언급한 구 국도2호선 6차선 도로는 하굿둑 축조 당시 2차로로 건설되었다. 하굿둑이 생기기 전만하더라도 목포에서 현재의 영암군 삼호읍까지 육로로 이동하려면 저 멀리 나주 땅을 경유하거나 배를 타는 방법밖에 없었는데 육로로 단숨에 넘어 다닐 수 있게 되었으니, 이 2차로 도로의 개통이 목포 - 영암 간 교류 뿐만 아니라 해남, 진도, 강진, 장흥 등 인접 시 군에서 목포권으로 교류하는데 획기적인 계기가 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또한 이 도로의 개통으로 삼호읍 등 서영암 지역이 목포 생활권으로 편입되는 계기가 된 것이다.
이 2차로 도로의 흔적은 4대강 정비 사업 이전부터 존재하던 영암 쪽 8개의 수문 위 도로에 남아 있는데, 2차로 시절에는 목포 쪽에서 영암 쪽으로 넘어갈 떄는 2차로로 된 둑길을 지난 후 살짝 오른 쪽으로 꺾어져서 수문위를 직접 지나서 영암 쪽으로 빠지는 식이었고, 90년대 초중반까지만 해도 이렇게 다녔는데, 이후에 이 도로가 6차로로 확장되면서 둑길 부분은 그대로 확장되었지만, 수문 위 도로는 폐쇄되고 새로 지어진 현재의 삼호대교를 통해 삼호읍으로 직진하는 식으로 변경된 것이다. 역시 20년 전 이야기 이지만 백과사전 등에서 영산강하굿둑 항목을 검색하면 2차로 시절 사진을 종종 볼 수 있다.
2010년대는 4대강 정비 사업으로 홍수 시 영산강 물을 바다로 빨리 배출할 수 있도록 목포방향으로 5개의 수문이 추가되고, 교량구간이 길어졌다. 덕분에 공사가 진행되는 몇 년 동안은 서울 양화대교마냥 상류 쪽에 건설된 임시도로로 급커브해서 우회해야 하는 상태로 지내야 하였다.
여튼 이 하굿둑은 목포와 영암 지역을 연결하는 중요한 연결로의 역할을 하면서 본연의 기능인 영산강과 황해 사이를 단절하는 역할 또한 충실히 하고 있어서, 이 하굿둑 서쪽은 하당 평화광장 앞은 바다이고, 동쪽인 남악신도시의 수변공원 앞 쪽은 강이라는 정체성을 확립해주었는데, 2018년 현재의 관점에서 목포시나 인근 군 지역 주민들에게는 당연한 소리겠지만 불과 몇 십년 전인 1970년대까지만 해도 당시의 무안군 삼향면[1] 이나 일로면[2] 주민들이 바닷물이 드나드는 영산강에서 재첩 같은 해산물을 채취하고, 조수 간만의 차이를 이용해 한참 더 내륙인 나주시까지 홍어 배가 드나들며 영산포가 항구도시로서의 기능을 하였던 점을 생각하면 수 천년 역사 중 하구둑 서쪽은 바다, 동쪽은 강이라는 개념이 생긴 것이 매우 짧은 기간이라는 점을 느낄 수 있다. 목포대교의 개통으로 통행량 분산 효과를 얻었다.
2. 문제점 및 비판
유속이 느리고 경사가 완만한 영산강은 상류쪽에 각종 축산 및 생활하수 등이 흘러들면서 자정작용을 할 수 있는 범위를 아득히 넘어서 버렸었다. 문제는 이 하구둑이 건설되면서 그 악화된 수질에 헤드샷을 날려버린 것. 물론 1990년대 이후 각종 하수처리시설 등을 설비하고 이리저리 관리를 하면서 이 1970~80년대의 수질보다는 나아졌지만, 수처리를 하는데 드는 비용이 만만치 않은 것은 어쩔 수 없는 일. 또한, 이 하구둑의 건설로 남해에서 나주시까지 연결되던 영산강의 수로 기능이 완전히 끝나게 된다. 물론 이전에 호남선 철도가 목포까지 부설되고, 목포항이 개항되면서 빈사상태에 이르기는 했지만, 전통적인 영산강의 수로기능은 그래도 가능했었던 것. 그러나 이 하구둑으로 바다와 영산강이 물리적으로 단절되면서 지나간 옛 이야기가 되고 말았다.
3. 기타
MB 정권시절 전국에서 유일하게 야권지역 단체장이면서 4대강 정비 사업을 찬성한 곳이기도 하여 논란이 되기도 하였다. 당시 박준영 전라남도지사는 박지원 의원과 함께 김대중 전 대통령의 복심 혹은 입으로 유명했던 사람이라 다른 지역의 4대강 사업 반대를 주장하는 사람들에게는 상당한 충격을 불러 일으켰다. 그러나 여기서 유의해야 할 점은 영산강의 수질문제였다. 위에서 언급한 것 처럼 영산강의 수질 문제는 임시방편으로 처리해 나가기에는 이미 임계점에 도달한 상태였고, 전라남도는 이를 위한 수질정화에 대규모의 시설투자를 할 여력이 없었다. 일설에는 당시 4대강 사업을 진행하면 중앙정부에서 막대한 예산과 지원을 해주는 시절이었기에 이점을 노리고, 야권의 단체장이자, 야권의 핵심지역인 전남이 먼저 4대강 사업을 적극 찬성하면서 중앙으로 부터 예산을 왕창 뜯어 오자는 계획이 있었다는 소문이 돌기도 하였다.[3]
[1] 2011년 삼향읍 승격[2] 1980년 일로읍 승격[3] 실재 이 지역은 대불공단과 바로 연결되는 곳으로 MB도 상당히 적극적인 관심을 내보인 지역인데 전설처럼 전해지는 대통령의 말 한마디에 전봇대가 뽑혀져 나간 지역이기는하다. 하지만 진실은 저 넘어 어딘가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