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쁘다

 

1. 개요
2. 변천 과정
3. 여담
4. 관련 문서


1. 개요


1.생긴 모양이 아름다워 눈으로 보기에 좋다.

2.행동이나 동작이 보기에 사랑스럽거나 귀엽다.

3.아이가 말을 잘 듣거나 행동이 발라서 흐뭇하다.

'''표준국어대사전'''

주로 여자끼리, 혹은 남자가 여자에게 사용할 때가 많다. 그러나 21세기 들어서는 여성들이 남성을 보고 잘생겼다 못지 않게 예쁘다라는 표현을 쓰는 경우도 많다.[1] 다만 남자들이 그리 선호하는 표현은 아니기 때문에 대면해서 그런 말을 하는 경우는 적고, 연예인 사진 등을 보면서 말하는 경우가 많다.

잘 생긴 젊은이를 카페 알바로 고용하니 첫째, 매상이 오르고, 둘째, 전에 진상을 부리던 아주머니 손님이 봄날 눈 녹듯 태도를 달리하더라. 그 후론 그 알바생이 그렇게 이뻐보일 수가 없었다.

- 2의 의미 연장선. 대략 기특하다는 의미.

남자가 남자에게 '예쁘다'고 말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만약에 한다고 하더라도 아저씨나 할아버지 나이대의 남자가 최소 20대 초반 정도의 남자에게 쓰는 것 정도. 하지만 이따금 여성스러운 사람에게 '예쁘다'고 말하는 경우도 있고, 송중기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에게 '예쁘다'는 말을 쓰는 것처럼 미에 근접한 외모에 대한 찬사로 쓰는 경우도 많다. 과거에 미인이라는 단어가 사실상 여성의 전유물이었지만 최근 들어선 남성에게도 잘 쓰이고 있는 것처럼 예쁘다라는 단어도 점점 뜻이 넓어질 가능성은 충분히 있는 셈.
명사화 어미 '-이'가 붙어 파생된 '예삐'는 사람의 이름이나 별명으로 쓰이기도 한다. 이는 '아름답다'의 '-이' 파생형인 '아름이'도 마찬가지.
비슷한 의미의 '귀엽다'가 '귀여움'이라는 단어를 파생시킨 것과는 달리 '예쁨'이라는 단어는 구어체나 활자 문어체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하지만 인터넷 용어로는 제법 쓰인다.(인터넷에서는 명사형 축약이 흔하기 때문에.) '잘생기다'의 파생형 '잘생김' 역시 잘 쓰이나, '무슨 이 묻었나 했더니 잘생김이 묻었네'라며 언어유희 농담으로 쓰기도 한다.
이쁘다는 예쁘다의 서울 사투리'''였'''으나 2015년 12월 14일 '이쁘다' 역시 표준어로 인정되었다. 위의 '예삐'와는 달리 '이쁘다'는 '이삐'라는 단어를 파생시키지 않는다.

2. 변천 과정


어엿브다 - 어여쁘다 - 예쁘다의 과정으로 정착되었다. 여기서 어엿브다는 원래 '불쌍하다'의 뜻이었다. 대표적인 예시로 훈민정음 서문에 나타나는 '''내〮이〮ᄅᆞᆯ〮為윙〮ᄒᆞ〮야〮어〯엿비〮너 겨〮'''[2] 가 있다. 대략 18세기부터 '아름답다'의 의미가 나타났다고 한다.국립국어원 온라인가나다
'기쁘다', '슬프다', '-ㅂ다'(어렵다, 부럽다, 등등) 류 형용사와 마찬가지로 형용사화 접미사 '-브-'가 결합한 것으로 보이지만, '어엿다'라는 동사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가능성만을 제기할 수 있을 뿐이다.
1950년대에 편찬된 국어 사전에는 '''"용모가 곱다"'''는 뜻 외에도, '''"상대방에게 정이 간다"'''는 의미가 적혀 있었다고 한다. 1갑자가 훌쩍 지난 시점에는 '''"행동이나 동작이 보기에 사랑스럽거나 귀엽다"'''는 의미로 오히려 해석 폭이 좁아진 상태.

3. 여담


  • 예쁜꼬마선충이라고 이름 안에 '예쁘다'의 관형형 '예쁜'이 들어간 생물이 있다.
  • 2019년 서강대학교 국제인문학부 학생회에서는 남학생이 여학생에게 이 단어를 써 외모에 대한 의견을 꺼낸것[3]을 성폭력이라 규정하고 해당 남학생에게 섹션(타 학교의 반에 해당하는 개념)의 모든 활동과 공간 출입을 금지하여 사실상 남학생의 캠퍼스 라이프를 끝장내버린...듯하나 다시 돌아와서 위안. 어쨌든 해당 사건은 크게 논란이 되었다. 해당 항목 참조.
  • 2010년대 후반 한국에서 레디컬 페미니즘이 급부상하여, 성차별적 표현, 권력형 표현, 여성혐오적 표현, 등등 이러한 의견이 돌아다니고 있다.

4. 관련 문서



[1] 이는 미적 관점의 변화나 성평등적인 언어의 보급 등을 이유로 들 수 있다. 사실 과거에는 예쁜, 즉 '여성적인' 이미지가 남자에게 적용되는 것을 무척 수치스러워했고, '게이'등과 연결하는 경우도 많았다. 지금도 물론 그 영향이 적지 않게 남아 있다.[2] 내 이를 위하여 가엾이 어겨[3] ‘너 정도면 얼굴이 괜찮다’, ‘우리 섹션 여자애들 정도면 다 예쁜 거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