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일러 삼각형 정리
1. 개요
Euler's triangle theorem
1765년 레온하르트 오일러(Leonhard Euler, 1707-1783)가 발견한 삼각형의 외심과 내심 혹은 외심과 방심 사이의 거리에 관한 공식이다.
한 삼각형의 외접원, 내접원, 방접원의 반지름을 각각 $$R$$, $$r$$, $$r'$$이라 하면, 다음이 성립한다.
- 외심과 내심 사이의 거리: $$\sqrt{R^{2}-2Rr}$$
- 외심과 방심 사이의 거리: $$\sqrt{R^{2}+2Rr'}$$
2. 보조 정리: 맨션 정리
[image]
그림과 같이 삼각형 $$\rm ABC$$의 외심 $$\rm O$$, 내심 $$\rm I$$이고, 직선 $$\rm BI$$가 외접원과 만나는 점을 $$\rm R$$이라고 하자.
내심의 성질에 의하여 $$\angle {\rm ABI}=\angle {\rm CBI}=x$$, $$\angle {\rm BAI}=\angle {\rm CAI}=y$$, $$\angle {\rm BCI}=\angle {\rm ACI}=z$$라 놓을 수 있다. $$\angle{\rm CIR}$$은 $$\angle{\rm BIC}$$의 외각이므로 $$x+z$$, $$\angle{\rm ABR}=\angle{\rm ACR}=x$$(호 $$\rm AR$$에 대한 원주각) 따라서 삼각형 $$\rm RIC$$에서 $$\angle{\rm RIC}=\angle{\rm RCI}=x+z$$ 즉, 삼각형 $$\rm RIC$$은 $$\overline{\rm IR}=\overline{\rm RC}$$인 이등변삼각형이다. 동일한 방법으로 삼각형 $$\rm RAI$$는 $$\overline{\rm IR}=\overline{\rm AR}$$인 이등변삼각형임을 증명할 수 있다.
$$\displaystyle \begin{aligned} \therefore \overline{\rm RC}=\overline{\rm IR}=\overline{\rm AR} \end{aligned}$$
2.1. 방심과의 관계
[image]
방심과 내심의 성질에 의하여 두 점은 $$\angle \rm B$$의 이등분선 위에 있으므로 그림과 같이 위 과정에서 선분 $$\rm BI$$을 연장하여 $$\rm B$$에 대한 방심 $$\rm O'$$와 만나도록 하자. 위에서 다뤘던 맨션 정리에서
$$\displaystyle \begin{aligned} \overline{\rm RC}=\overline{\rm IR}=\overline{\rm AR} \end{aligned}$$
$$\displaystyle \begin{aligned} \therefore \overline{\rm RC}=\overline{\rm IR}=\overline{\rm AR}=\overline{\rm O'R} \end{aligned}$$
3. 증명
3.1. 외심과 내심 사이의 거리
[image]
그림과 같이 삼각형 $$\rm ABC$$의 외심과 내심을 각각 $$\rm O$$, $$\rm I$$라하고, 외접원과 내접원의 반지름은 각각 $$R$$, $$r$$, 직선 $$\rm IO$$가 외접원과 만나는 두 점을 $$\rm P$$, $$\rm Q$$, 직선 $$\rm BI$$가 외접원과 만나는 점을 $$\rm R$$, $$\overline{\rm OI}=d$$라 하자. 방멱 정리에 의하여
$$\displaystyle \begin{aligned} \overline{\rm BI} \cdot \overline{\rm IR}&=\overline{\rm PI} \cdot \overline{\rm IQ} \\&=(R+d)(R-d) \\&=R^{2}-d^{2} \end{aligned}$$
$$\overline{\rm SR}=2R$$, $$\overline{\rm IH}=r$$임을 이용하면, $$\overline{\rm SR} \cdot \overline{\rm IH}=2Rr$$
$$\displaystyle \therefore R^{2}-d^{2}=2Rr \; \Rightarrow \; d=\sqrt{R^2-2Rr} $$
$$\displaystyle \frac{1}{R-d}+\frac{1}{R+d}=\frac{1}{r} $$
$$\displaystyle d=\sqrt{R^2-2Rr}=\sqrt{R(R-2r)} $$
이상의 결과에서 음수에 대한 방멱을 허용한다면, 외접원에 대한 내심의 방멱은 $$ -2Rr $$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3.2. 외심과 방심 사이의 거리
[image]
그림과 같이 삼각형 $$\rm ABC$$의 외심과 방심을 각각 $$\rm O$$, $$\rm O'$$라하고, 외접원과 방접원의 반지름은 각각 $$R$$, $$r'$$, 직선 $$\rm OO'$$가 외접원과 만나는 두 점을 $$\rm P$$, $$\rm Q$$, 직선 $$\rm BO'$$이 외접원과 만나는 점을 $$\rm R$$, $$\overline{\rm OO'}=d$$라 하자. 방멱 정리에 의하여
$$\displaystyle \begin{aligned} \overline{\rm O'R} \cdot \overline{\rm O'B}&=\overline{\rm O'Q} \cdot \overline{\rm O'P} \\&=(d-R)(d+R) \\&=d^{2}-R^{2} \end{aligned}$$
[1] 정삼각형은 외심, 내심, 수심, 무게중심이 동일하다.
$$\overline{\rm SC}=2R$$, $$\overline{\rm O'H}=r'$$임을 이용하면, $$\overline{\rm SR} \cdot \overline{\rm IH}=2Rr$$
$$\displaystyle \therefore d^{2}-R^{2}=2Rr' \; \Rightarrow \; d=\sqrt{R^2+2Rr'} $$
$$\displaystyle \frac{1}{d-R}-\frac{1}{d+R}=\frac{1}{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