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산병

 

溫山病 / Onsan Disease
1980년대 초반 울산광역시 울주군 온산읍(당시 경상남도 울주군 온산면) 일대에서 발생한 공해병.
1983년 농작물과 양식어장 피해로 시작되어 사람에게까지 발병함으로써 '우리나라 공해병의 고향','한국 공해문제의 대명사'라고 불린 대표적인 공해병 온산공단은 1974년 구리·아연·알루미늄 등 비철금속공업 기지로 지정된 후 1980년대 들어 화학·제지·자동차부품 등 다양한 업종의 공장들이 입주해 종합단지로 탈바꿈하였다. 그러나 공업단지 개발을 위한 종합계획도 세우지 않고 개별공장들이 공장을 세우는 바람에 전체 주민 1만 4천여 명 중 1800여 명만 이주하고 나머지 1만 2천여 명은 공단에 포위되거나 고립된 채 살 수밖에 없었다.
그러던 중 1983년부터 주민들의 허리와 팔다리 등 전신이 쑤시고 아픈 증세가 나타났다. 1985년에는 이 지역 주민 1,000여명이 전신마비 증상을 보이자, 한국공해문제연구소가 '이타이이타이병의 초기 증세와 비슷한 병을 앓고 있다.'고 발표하여 언론의 집중적인 조명을 받고 여론을 환기시켰다.
이 증세를 두고 환경청과 학계주민 사이에서 공해병 논쟁이 일어났다. 같은 해 12월 온산 지역 주민들은 11개 공해배출업체를 대상으로 손해배상 청구소송을 제기해 인체피해 위자료, 농작물 피해보상금 지급 판결을 받음으로써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공해피해에 대한 법원의 구체적인 인정을 받았다. 이후 정부도 공해피해를 인정하고 주민들의 집단이주를 결정, 공단에 둘러싸인 주민 1만여 명을 온산읍 덕신리와 인근 온양읍 남창리, 대안리로 분산이주시켰다. 이 때문에 과거 온산 읍내가 있었던 지역은 지금은 정주인구는 거의 없이 공단만 있고, 주민들은 고개 너머에 있는 덕신리에 살고 있다.
한편 이 사건은 의외로 한국 대중문화사에 간접적인 족적을 남겼는데, 바로 환경문제가 미디어 전면으로 떠올랐다는 사실이다. 당시 갓 창간되었던 과학동아(1986년 4월호)에 인용된 당시 일간지 헤드라인은 "온산병, 아파요 아파요"였는데[1] 바다 건너 일본의 일인 줄만 알았던 공해병이 한국에도 드러났다는 것이 당시 사람들에게는 경각심으로 다가왔다.[2] 이후 1990년대 초까지는 KBS 뉴스 9 날씨코너에서 '오늘의 아황산가스 지수'를 알려주었고 조선일보는 '쓰레기를 줄입시다' 캠페인을, 가요계는 환경콘서트 <내일은 늦으리> 같은 행사를 여는 등[3] 이 당시의 사회 관심도는 2010년대 중국발 미세먼지와는 비교도 할 수 없을 정도로 사회적 경각심이 컸다. 그리고 이런 환경 테마는 1997년 녹색전차 해모수, 1999년 레스톨 특수구조대 같은 작품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정부 펀딩을 받는 데 환경오염 관련 주제가 비교적 잘 먹혔기 때문.

[1] '이타이'가 '아파요'로 번역된다.[2] 게다가 비슷한 시기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가 터지면서 환경에 대한 경각심은 최고조로 높아진 상황이었다.[3] 이 행사가 현재 아이돌들이 모여 합동무대를 펼치는 '평화콘서트'류의 원조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