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복

 

'''優福'''
(? ~ 327?)
1. 개요
2. 기타


1. 개요


백제왕족이자 대신이며 또한 반역자. 구수왕의 아들이며 비류왕의 서제(庶弟), 즉 배다른 아우였다.
321년 정월에 비류왕은 우복을 내신좌평으로 삼았다. 내신좌평이란 최고위직인 6좌평 중 하나로 왕명의 출납 업무를 맡는 등 오늘날의 국무총리급에 해당하는 직위였다. 그러나 327년 9월에 우복은 북한성에 웅거하여 모반을 일으켰다. 이에 비류왕은 군사를 보내 토벌하도록 하였다. 이후 우복에 대한 기록은 없으나 모반을 일으켰다가 진압당했으니 살아남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2. 기타


우복은 왕의 서자로써 왕위계승권을 지니지 못 했는데 이에 대한 불만 때문에 비류왕에 대해 모반을 꾀한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우복이 비류왕보다 먼저 태어났으나 서자의 출신 때문에 왕위를 잇지 못하여 이를 분하게 여기고 반역을 도모했다고 보기도 한다.
비류 시조설에 의거하면 고이왕계는 선조가 우태(優台)인 것으로도 추정할 수 있는데 본 문서의 우복을 비롯해 고이왕 대 내법좌평 우두(優豆), 고이왕의 동생 우수(優壽), 개로왕 대 건무장군 우서(于西), 무령왕 대 달솔(達率) 우영(優永) 등의 우씨(優氏)가 등장한다는 것에 근거해 고이왕계는 왕성이 우씨(優氏)였다는 가설이 있다.[1]
[1] 문안식, <백제의 시조전승에 반영된 왕실 교대와 성장과정 추론> , <<동국사학>>40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2004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