웅앵웅 쵸키포키

 


1. 개요
2. 응용 및 사용
3. 혐오 용어로의 변질 및 화제가 된 사례


1. 개요


트위터에서 시작된 유행어. 한 유저가 한국 영화의 음향 효과는 선명하게 들리는 반면 한국어 대사들은 발음이 제대로 안들린다면서 웅앵웅쵸키포키라고 표현한 것이 시초다.[1][2]
미국의 영화배우 토머스 맥도넬(Thomas McDonell)이 자신의 트위터에 웅앵웅 초키포키라는 말을 올린 것이 지상파 뉴스를 탔다. 해당 뉴스 여담으로 토머스 맥도넬은 한국어는 모르지만 트위터에서 한글 등 세계 각 나라의 트위터 문장들 중 글자가 예뻐 보이는 것들을 찾아 자신의 트위터에 올리다가 최근에는 한국에 관심을 갖고 직접 한글 트윗을 적어 올리는 사람으로 유명하다. 즉 뜻을 알고 자기가 직접 쳐서 올리는 것이 아니라 트위터를 뒤적거리다가 퍼오는거란 뜻이다.

2. 응용 및 사용


사람이 하는 말의 발음이 제대로 들리지 않는다는 뜻, 즉 '웅얼거리다' 및 '어쩌구 저쩌구'의 의미랑 비슷하게 사용되며, '아무말' 혹은 '논리가 없이 내뱉는 헛소리, 실없는 소리'라는 뜻의 부정적인 의성어로도 쓰이기도 한다. 뒤의 쵸키포키는 빼고 웅앵웅으로 쓰는 때가 많다.
일단 사용하는 비율은 유행어의 시작지인 트위터가 절대 다수이며 그 외에도 여초 커뮤니티라면 대부분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유행어이다.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는 두 가지가 있다.
첫번째 의미: "아무 말 대잔치" 혹은 "(웅얼거리는 대상에게)응 뭐어라고~~ xx하는 찐따라서 잘 안들리는데?"와 같이 상대방의 논리를 무시하는 용도
두번째 의미: 가수 장범준의 노래 흔들리는 꽃들 속에서 네 샴푸향이 느껴진거야를 '''샴푸웅앵웅'''으로 부르는 것 같이 말줄임표로 쓰는 용도
단어의 유래인 "잘 들리지 않는다"라는 의미가 유행어가 되어 자주 쓰이면서 의미분화가 일어난 것으로 보인다.

3. 혐오 용어로의 변질 및 화제가 된 사례


트위터에서 시작된 용어이며 당시에는 사람이 하는 말의 발음이 제대로 들리지 않는다는 뜻이기에 유래 자체가 남성혐오과 관련이 있는것은 아니다. 애초에 더쿠, 인스티즈 등 남혐에 대해 민감한 사이트에서도 일상적으로 쓰인다. 다만 트위터에서 유행한 용어이고 트위터가 페미니스트를 하는 사람이 꽤 있는 SNS다 보니 자연스럽게 트위터에서 유행 → 여초 사이트에서의 유행 → 페미 사이트에서의 유행(워마드, 여성시대, 쭉빵카페) 테크를 타게되었고 그렇다보니 주로 그들의 사상에 따라 "한남들 웅앵거린다" 등등 남성혐오적 맥락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생겼다. 이 경우 '논리가 없이 그저 막 내뱉는다'는 뜻으로 쓰이고 있으며, 반대로 남초 사이트에서 쓰이던 '빼애액!'이나 '아몰랑'과 그결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때문에 남초 사이트에서는 남혐 유행어가 아니냐는 오해를 사기도 하는데, 비슷한 오해를 받은 유행어로는 오조오억, 보이루, 허버허버 등이 있다.
[image]
그 외에도 최신유행프로그램에서 군무새 드립을 칠때 권혁수의 대사도 웅앵웅 쵸키포키로 처리되어 논란이 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최신유행프로그램/비판 및 논란#s-1 참조.
묻혔지만 작곡가 니코드도 이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음성이 잘 들리지 않아, 웃음을 계기로 사용한 것으로, 특정 단체/개인을 비난의 소지는 없어 보이므로 혐오 등은 아니다.
2018년 연말에 워마드, 페미니스트들과 전쟁을 선포한 래퍼 산이[3](백업본) 이라는 디스곡을 발표해서 화제를 모았다. 이 넘버가 나온 자세한 전말은 산이 문서 참조.
2020년에 트와이스 지효가 악플러들에게 이 용어를 썼다가 논란이 되었다. 해당 용어의 기원과 일상적인 쓰임새는 남성혐오와 큰 관련이 없지만 남초 사이트에서는 여초 사이트에 대한 정보와 이해가 전무하다보니 여초 유행어=남성혐오 사이트의 용어로 인식을 하여 부적절한 언행이었다는 반응으로 논란이 되었다. 이후 팬들에게 사과한 후 논란이 일단락되었으며, 이후 브이라이브에서 유행어같은거 함부로 쓰면 안된다는 식의 발언이 있었다.
비판의 방향성은 전혀 다르긴 하지만, 언어장애인을 포함해 정상성에 부합하지 않는 소수자에게 상처가 될 수 있고, 실제로 그런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도 간혹 있기에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말도 나온다.###

[1] 직접 겪고 싶다면 일산에 있는 모 유명 영화관의 메인 상영관에 가 보면 된다. 총소리나 폭음, 기타 음향효과는 매우 선명하게 들리지만 배우 대사는 그야말로 '웅...앵웅...'스럽게 들리는 걸 경험할 수 있다. 즉 글쓴이가 과장한 것이 아니라, 이 경우는 극장 음향시스템에서 '''메인 스피커 채널이 맛이 간 것'''이다. 상대적으로 덜 쓰는 바깥 채널 스피커는 멀쩡하지만 메인 출력 쪽에서 문제가 있다. 의외로 이런 곳이 한두 군데가 아니다.[2] 그렇지만 이것이 꼭 시설의 문제라고만 볼 수는 없다. 이는 한국어의 음성학적 특성이 부분적으로 반영된 것인데, 한국어는 구강 조음기관의 앞부분(입술)을 좀처럼 쓰지 않고 뒷부분(턱)을 주로 쓰는 언어다. 이 때문에 턱의 움직임은 많으나 입술의 움직임이 적어지고, 이로 인해 힘을 빼고 말하면 흡사 복화술과 같은 모습도 쉽게 나타난다. 입술이 적게 열리기 때문에 기류가 밖으로 많이 나가지 못하고 속에서 공명, 결과적으로 웅얼거리는 소리가 나기 쉽다. 이는 외국어 학습에서도 나타나는데, 흔히 영미권 강사들이 한국인들에게 입을 크게 벌리라고 하는 이유가 바로 이 것.[3] 현재 비공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