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 썬더/항공 병기/미국 트리/회전익기

 




1. 개요
2. 정규 트리
3. 프리미엄
3.1. 5랭크
3.1.1. H-34
3.1.2. UH-1C XM-30 (단종)
3.2. 6랭크
3.2.1. ✡AH-64A 페텐


1. 개요


1.81 "The Valkyries" 패치로 추가된 회전익기이다.
1.89패치 이전까진 예비장비로 점령지 점령 후, 자폭한 다음 바로 헬기로 스폰하여 적 전차들 뚝배기를 터뜨리고 다니다
1.87패치로 퉁구스카가 등장하고 예비장비로 점령후 헬기를 꺼내는 전술이 막히며 떡락하더니
1.89패치로 대부분의 국가에 대공미사일이 추가되고, 주무장인 TOW미사일의 사거리도 구현되며 쓰기 힘들어졌다.
하지만 헬기 스폰포인트가 줄어 처음부터 미사일을 단 채로 출격이 가능하고 상대팀에 대공미사일이 없다면 손쉽게 전차들 뚝배기를 터뜨릴 수 있게 바뀌에 좀 더 쓸만해졌다.
1.87패치 전까지 M1계열의 승률이 매우 높았던것도 헬기와 이벤트로 푼 공대지 미사일 장착 FJ-4의 등장이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1.89패치로 ATGM의 사거리가 구현됐는데, 무안단물인 토우는 3키로 안팎, 헬파이어는 8키로정도이다.
1.97 패치로 ATGM 들의 스폰포인트가 조정되어 처음부터 미사일을 단 채 출격이 불가능하게 수정되었다.
핑 및 서버 상태로 인해 헬파이어는 이상한 곳에 처박히고 로켓런을 하자니 러시아 헬기 로켓 같이 킬은 못하고 모듈만 뽀게는 타지않는 것이 정신 건강에 이로운 장비
Raining Fire 패치 이후 사수 시점 고정 기능(F키)가 첫번째 부터 ○ 모드로 바뀌었으며 □ 모드는 없어졌다. 정조준 해도 미사일이 이상한 곳에 박히는 일이 잦아졌으며 소련만 최고 티어(10.7) 전차가 두대가 되는 등 엄청난 백업 전차를 보유하게 되면서 지상전이 개발살나고 헬기를 뽑지도 못하고 게임이 터지는 경우가 많아졌다.
2020년 10월 중반즈음 헬파이어 정상화 패치가 돼서 다시한번 입지를 찾게 되었다.

2. 정규 트리



2.1. 5랭크



2.1.1. AH-1G


[image]
'''BR 8.0연합의 대 추축전 결전병기'''
'''추축 8.0 입문자들의 수문장'''
'''티어'''
5
'''최대속도'''
277 km/h
'''BR'''
8.3 / 8.0 / 8.0
'''한계속도'''
450 km/h
'''무장'''
7.62 mm M134 미니건 ×2 (장탄수: 8,000 발)
혹은
40 mm M129 유탄발사기 ×2 (장탄수: 462 발)
'''폭장종류'''
FFAR Mighty Mouse × 28
FFAR Mighty Mouse × 76
7.62 mm M134 미니건 포드 ×2
20 mm M195 발칸 포드 ×1
7.62 mm M134 미니건 포드 ×2 + FFAR Mighty Mouse × 14
7.62 mm M134 미니건 포드 ×2 + FFAR Mighty Mouse × 38
BR 8.0이다. 독일의 농약살포기, 소련의 감자헬기등 타 국가의 시작 헬기가 나사가 빠진데 반해 미국은 코브라 G형으로 시작한다.
기수 하단 터렛의 미니건은 적 헬기나 비행기와 상대시 빠른 연사력으로 어마어마한 탄막을 형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뛰어난 기동성으로 인해 쉽게 기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중전 시 매우 유리하다.
무장으로는 히드라 로켓 14발, 28발, 38발, 76발, 미니건 포드, 히드라 로켓 14발 + 미니건 포드, 히드라 로켓 38발 + 미니건 포드, 20mm 발칸을 장착할 수 있으며, 연구를 통해 기수 하단의 미니건을 유탄발사 기관총으로 교체 가능하다.
유탄발사기는 탄속이 느려 탄도가 축축 처지지만 경장갑 차량 상대로 헐브레이크를, 중장갑 상대로도 상판을 후려쳐서 포탑의 인원 몰살이나 탄약고 유폭, 엔진룸의 상판을 가격함으로 화재등을 일으킬 수 있어 매우 유용하다.
그리고 20mm 발칸은 20mm라는 위력과 더불어 AI 전차들의 뒤통수 및 상판을 딸 수 있어 비교적 숙련이 되면 공중전과 지상파밍 모두 가능하다.
그 외에 8.0이라는 BR로 인해 8.0매칭에서 전투 시작부터 스폰이 가능해 초반에 경장갑차량이 많은 독일과 이탈리아 상대로 깽판을 칠 수 있다.
물론 독일의 농약살포기 알루에트도 꾸준한 버프로 8.3까지 내려졌고 별다른 연구 없이 구매 후 바로 AGM을 쓸 수 있지만 대전차미사일 등은 탑재 시 스폰포인트가 추가되기에 시작부터 깽판을 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소련의 감자살포기 Mi-4AV도 시작부터 CAS를 할 수는 있으나 코브라에 비해 지나치게 둔해서 사용하기 힘들다는 단점 또한 존재한다.
이렇게 다른 국가의 헬기들이 하나 둘씩 나사가 빠져있거나 게임 시작부터 헬기를 출격시키지 못하는데 반해
AH-1g는 전투 시작부터 로켓을 난사해 킬은 못하더라도 부품 하나 부수면 수리하는 시간동안 적들의 발을 묶을 수가 있고, 이는 기동성으로 승부를 보는 8.0대 독일과 이탈리아에게 매우 불리하다. 물론 대공기관총에 맞거나 대공전차가 뜬다면 바로 갈리지만 초반부터 대공전차로 스폰하여 하염없이 헬기를 기다릴수도 없는 법이니 이에 대해 추축 유저들은 불만이 상당히 많은 상태이다.
하지만 이것도 숙련자의 입장에서나 그렇지 무유도 로켓으로 킬을 뽑아내는건 사실 꽤 난이도가 있기에 무턱대고 달려대면 불나방같은 꼴이 되기도 한다.
또 다른 헬기들과는 달리 AH-1G는 트리를 시작하는 첫 헬기인 만큼 수리비도 비싸지 않아서 던지듯이 플레이가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번 던지듯이 플레이했는데 서너 킬씩 물어오면 상대편 입장에서는 던져진 헬기를 하나 잡아도 이미 아군은 피해를 입을대로 입은 상태에서 스폰포인트를 벌고 다른 전차를 탑승하는 상대방 유저와 심하면 헬기를 잡았더니 비행기가 날라오는 사태를 마주해야 하는 상황이,
또 헬기만 타고싶어서 출격했으나 바로 격추되고 게임을 던져버리는 유저가 나와 전력이 손실되는 상황도 있다.
이렇기에 무턱대고 전투력지수나 수리비, 성능을 쉽게 버프, 너프를 할 수도 없는 노릇이다.



2.1.2. UH-1B


[image]
'''필요 RP'''
170,000
'''가격'''
550,000
'''티어'''
5
'''최대속도'''
277 km/h
'''BR'''
8.7 / 8.7 / 8.7
'''한계속도'''
450 km/h
'''무장'''
40 mm M129 유탄발사기 ×1 (장탄수: 150 발)
'''폭장종류'''
FFAR Mighty Mouse × 38
FFAR Mighty Mouse × 76
7.62 mm M134 미니건 포드 ×2
7.62 mm M134 미니건 포드 ×2 + FFAR Mighty Mouse × 38
AGM-22 ×6
BR 8.7이다. 기본 무장은 히드라 로켓 38발이며 업그레이드를 통해 히드라 로켓 76발, 미니건 포드, SS.11 미사일 6발, 히드라 로켓 38발 + 미니건을 무장 가능하며, 추가로 기수에 유탄발사기 장착이 가능하다.
헬기 트리를 연구하다 부품 업그레이드시 얻는 추가 경험치를 먹기 위해 연구하는게 아니면 넘기는게 낫다.
SS.11 미사일은 탄속도 느리고 로켓 모터가 연소하면서 생기는 연기가 매우 짙어 시야 확보가 무척 어려운데다 그 뒤에 있는 C형은 토우 미사일을 달 수 있기 때문에 넘기는것이 정신건강에 좋다.

2.1.3. UH-1C


[image]
'''필요 RP'''
170,000
'''가격'''
550,000
'''티어'''
5
'''최대속도'''
277 km/h
'''BR'''
9.3 / 9.3 / 9.3
'''한계속도'''
450 km/h
'''무장'''
40 mm M129 유탄발사기 ×1 (장탄수: 150 발)
'''폭장종류'''
FFAR Mighty Mouse × 38
FFAR Mighty Mouse × 76
7.62 mm M134 미니건 포드 ×2
7.62 mm M134 미니건 포드 ×2 + FFAR Mighty Mouse × 38
AGM-22 ×6
BGM-71 TOW×6
BR 9.3으로 무장은 위의 UH-1B와 같으며, 추가로 TOW-1 미사일 6발을 달 수 있다.

2.2. 6랭크



2.2.1. AH-1F


[image]
'''필요 RP'''
390,000
'''가격'''
1,000,000
'''티어'''
6
'''최대속도'''
277 km/h
'''BR'''
9.7 / 9.7 / 9.7
'''한계속도'''
450 km/h
'''무장'''
20 mm M197 ×1 (장탄수: 750 발)
'''폭장종류'''
FFAR Mighty Mouse × 28
FFAR Mighty Mouse × 76
7.62 mm M134 미니건 포드 × 2
7.62 mm M134 미니건 포드 × 2 + FFAR Mighty Mouse × 14
7.62 mm M134 미니건 포드 × 2 + FFAR Mighty Mouse × 38
BGM-71 TOW × 4
BGM-71 TOW × 8
BGM-71 TOW × 4 + FFAR Mighty Mouse × 38
BGM-71 TOW × 8 + FFAR Mighty Mouse × 38
BGM-71 TOW × 4 + 7.62 mm M134 미니건 포드 × 2
BGM-71 TOW × 8 + 7.62 mm M134 미니건 포드 × 2
IRCM이 달려서 바이퍼보다 미사일을 덜 맞는다.
하지만 BR 0.3 차이로 무장차이가 크기에 묘하다.
BR 10.0인 바이퍼는 헬파이어를 16발 장착가능하지만 BR 9.7인 F 코브라는 토우를 최대 8발까지밖에 못달기 때문이다.
부가적으로 RWR이 달린다 그러나 일본의 AH-1S와는 다르게 플레어가 없어 대응수단이 전무하다는점.

2.2.2. AH-64A


[image]
'''필요 RP'''
390,000
'''가격'''
1,010,000
'''티어'''
6
'''최대속도'''
- km/h
'''BR'''
10.3 / 10.3 / 10.3
'''한계속도'''
460 km/h
'''무장'''
30 mm M230E-1 ×1 (장탄수: 1,700 발)
'''폭장종류'''
히드라-70 로켓 × 76
AGM-114B × 8
AGM-114B × 4 + 히드라-70 로켓 × 38
AGM-114B × 8 + 히드라-70 로켓 × 38
AGM-114B × 16
AIM-9L × 2
AIM-9L × 2 + 히드라-70 로켓 × 38
AIM-9L × 2 + AGM-114B × 4
AIM-9L × 2 + AGM-114B × 8
AIM-92 × 4
AIM-92 × 4 + 히드라-70 로켓 × 38
AIM-92 × 4 + AGM-114B × 4
AIM-92 × 4 + AGM-114B × 8
1.97 Viking Fury 업데이트로 추가된 미국 6랭크 회전익기. BR은 10.0
비키르 너프와 함께 리얼 지상 공중을 장악할 아이콘으로 등장하는 듯 했으나....
사거리가 8.6km로 너프됐고 근접신관 또한 너프됐음에도 여전한 비키르의 사기성으로 뚝배기가 터지고 있다.
이젠 KA-52 의 등장으로 KA-52를 잡았더니 KA-50이 나오는 진풍경이 일어나는 중이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ATGM 들의 초기스폰포인트 상승으로 시작하자마자 KA-50 웨이브를 더이상 안본다는 것.

기본 무장은 30mm 체인건, 히드라-70 M247 로켓 76발이며 업그레이드를 통해 사이드와인더(AIM-9L) 2발 이나 스팅어(AIM-92) 4발,
헬파이어(AGM-114B) 16발 까지 장착이 가능하다. 플레어는 30발.
추가 기능으로써는 야시경, 열상장비, 플레어, RWR(Radar Warning Receiver), IRCM(Infrared countermeasures)이며 미사일 접근시 자동으로 플레어 사출 기능이 있는 MAW(Missile Approach Warning system)은 없다.
속터지는 단발엔진의 AH-1F의 기동에서 드디어 쌍발엔진의 경쾌한 출력을 경험할 수 있는 헬기.
토우만 쓰던 이전 헬기들에 비해 8km에 달하는 헬파이어를 사용하며 이전 헬기에선 경험하지 못한 화력을 맛볼수 있다.
1.97 업데이트에서 고랭크 헬기들의 사통장비가 업그레이드 되었으며 키설정을 통해 해당 기능을 사용가능하게 되었다.
F키로 목표를 고정하고 기총사격을 할 경우, 유저가 일일히 머리로 탄도 및 관성을 계산할 필요가 없어졌으며 무유도 로켓에도 해당 기능을 활용할 경우 로켓의 탄착지점이 실시간으로 계산되어 화면에 표시된다.

2.3. 7랭크



2.3.1. AH-1Z


[image]
'''티어'''
7
'''최대속도'''
411 km/h
'''BR'''
10.0 / 10.0 / 10.0
'''한계속도'''
460 km/h
'''무장'''
20 mm M197 기관포 ×1 (장탄수: 750 발)
20 mm M197 기관포 ×1 (장탄수: 750 발) + AIM-9L ×2
20 mm M197 기관포 ×1 (장탄수: 750 발) + AIM-9L ×2 + 플레어 × 120
'''폭장종류'''
AGM-114B × 8 + M18A1 7.62 mm 건포드 × 2
히드라-70 로켓 × 76
M18A1 7.62 mm 건포드 × 2
M18A1 7.62 mm 건포드 × 2 + 히드라-70 로켓 × 38
AGM-114B × 8 + 히드라-70 로켓 × 38
AGM-114B × 8
AGM-114B × 16
'''연합 10.0 지상 최후의 보루'''
BR 10.0. 코브라계열의 최종인 바이퍼이다.
기동성의 거의 모든 측면에서 F보다 좋아졌지만 무게 증가로 인하여 묵직해졌다.
ATGM은 종류 막론하고 최대 16발이며, 대공미사일은 윙팁에 AIM-9L 한 발씩 2발을 탑재한다.
의외의 단점은 항상 작동하여 대공미사일을 효율적으로 교란시켜서 적의 열추적 공대공미사일을 빗나가게 만드는 IRCM이 존재하지 않아서 플레어로 회피하여야 하는데, 대부분의 공대공미사일이 꽤나 근거리에서 발사되기에 메세지를 보고 바로 사출하지 않으면 바로 피격된다.
그래도 없는 것보다 좋고, 바로 플레어를 사출하면 왠만하면 회피가 가능하다.
AGM-114B 헬파이어도 16발까지 달 수 있는데, 처음엔 미사일의 반응이 늦어서 이동표적도 제대로 맞추지 못하고 탑어택이라는 매커니즘 상 이상한 곳에 빗맞는 경우가 잦았으며 작약도 적어서 포신에 맞을 시 제대로 격파하지 못하는 경우가 매우 많았는데, 1.93 업데이트에서 광학락온 시스템의 추가와 대대적인 버프로 사기 미사일이 되었다. 특히 다중유도가 가능하기 때문에 먼 거리에서 발사할 경우 두발을 발사하여 혹시 초탄이 격파를 하지 못해도 차탄이 바로 격파 할 수 있도록 보험을 들거나 시간차를 두고 여러발을 발사한 후 유도 표적을 제때 바꿔주는 것으로 더 능동적인 공격이 가능해졌다.
광학 락온 시스템이 한번 더 업그레이드 되었는데, 디폴트 F키로 락온을 걸어두면 3인칭 화면으로 나가도 X자가 있는 빨간 박스로 락온이 표시된다. 이 상태에서는 기수가 사격 가능한 각도를 벗어나지 않는다면 3인칭 상태에서 발사해도 락온한 표적 쪽으로 제대로 유도가 된다. 1인칭의 경우 그 상태에서 한번 더 F키를 누르면 네모 박스는 표적에 유지된 채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원형 조준점이 추가로 생기는데, 이땐 원을 기준으로 유도가 된다. 직접 유도를 해줘야 하지만 이동중인 표적 상대로 리드샷을 할 수 있다.
1.99.1.26 마이너 패치로 토우 대전차미사일이 삭제되었다.
현재 바이퍼의 엔진은 콜렉티브관련문제가 있어서 회피기동시에는 콜렉티브 조절이 반드시 필요하다.

2.3.2. AH-64D


[image]
'''필요 RP'''
390,000
'''가격'''
1,020,000
'''티어'''
7
'''최대속도'''
- km/h
'''BR'''
10.7 / 10.7 / 10.7
'''한계속도'''
- km/h
'''무장'''
30 mm M230E-1 ×1 (장탄수: 1,200 발)
30 mm M230E-1 ×1 (장탄수: 1,200 발) + 플레어 × 30
30 mm M230E-1 ×1 (장탄수: 1,200 발) + 플레어 × 150
30 mm M230E-1 ×1 (장탄수: 1,200 발) + 플레어 × 30 + AIM-92 × 4
'''폭장종류'''
히드라-70 로켓 × 76
AGM-114K 헬파이어 II × 8
AGM-114K 헬파이어 II × 16
AGM-114K 헬파이어 II × 4 + 히드라-70 로켓 × 38
AGM-114K 헬파이어 II × 8 + 히드라-70 로켓 × 38
1.97 Viking Fury 업데이트로 추가된 미국 7랭크 회전익기.
기본 무장은 30mm 체인건과 히드라-70 M247 로켓 76발이며, 무장 탑재량이 출중하기 때문에 업그레이드를 통해 스팅어(AIM-92) 4발과 헬파이어(AGM-114K) 16발까지 동시 장착이 가능하다. 헬파이어도 하인드에 비해 관통력이 약 100mm 정도 향상된 AGM-114K를 사용한다. 플레어는 기본 업그레이드 시 30발 이며, AA미사일을 포기할 경우 150발까지 추가할 수 있다.
체인건은 장탄수도 1200발로 엄청나게 많이 들어가며 HEDP(성형작약) 탄을 사용하기 때문에 장거리에서도 위력 저하가 없으며 경장갑 차량을 맞추면 헐 브레이크도 잘 뜬다. 또한 30mm 구경이니만큼 항공기는 한 발만 맞아도 불구가 되는게 보통이다. 그러나 단점은 연사력이 느리며 탄퍼짐이 엄청나게 심하다. 몇 킬로미터 바깥에서 전차에 쏘는 것은 아파트 옥상에서 에어건으로 개미를 쏘는 수준으로 명중률이 낮고, 접근하는 항공기에 시선락온을 걸고 체인건을 아무리 쏴갈겨도 보통 안 맞는다. Ka-50/52의 고정식 30mm가 항공기도 상당히 잘 죽이는 것을 생각하면 아쉬운 부분이다.
항전장비로 야시경, 열상장비, 플레어, RWR(Radar Warning Receiver), IRCM(Infrared countermeasures), MAW(Missile Approach Warning system)가 장착된다. 따라서 미사일 경고, 레이더 경고, 자동 플레어 사출 기능이 모두 있으며 IRCM 덕분에 열추적 미사일은 맞을 일이 거의 없다.
동일랭크의 AH-1Z 바이퍼가 수도 없이 날아드는 대공미사일과 비키르 미사일을 피한답시고 급격하게 기동할 때 걸핏하면 RPM이 급락해 추력을 잃고 땅에 처박는데 반해 AH-64D는 기체도 묵직한데 비교적 낮은 고도에서 공중제비를 돌아도 안정적으로 날 수 있는 비교 불가능한 출력을 가지고 있다. 또한 꼬리날개로 이어지는 부분에 맞은 직격탄은 견디기 힘들지만 지근거리에서 터진 VT탄은 상당히 잘 견딘다.
헬파이어 16발을 챙기면 항공기를 상대할 무기가 없는거나 다름없는 A형과는 다르게 스팅어 4발과 동시에 장비할 수 있다.
사이드와인더와는 다르게 락온 가능한 범위가 굉장히 좁기 때문에 사용하기 다소 어렵지만 락온가능 거리가 길고 4발이나 되기 때문에 어느면에선 활용도가 높다.
중요한 기능이 1.97 업데이트에서 추가되었는데 바로 헬기 레이더다.
아파치의 롱보우 레이더는 키 설정을 통해 공중레이더/지상레이더 모드를 전환할 수 있으며, 해당 탐지된 목표물에 대해 3인칭 시점에서 레이더 목표 추적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문제는 실제 롱보우 레이더의 신뢰도를 반영한 것인지 아니면 단순 시스템 버그인지는 모르겠으나 락온기능이 정상 작동을 하지않는다. 추가적으로 산위에서 레이더만 내밀고 탐지 및 락온하는 것도 불가능하며 헬파이어 동시유도나 레이더 연동 FNF 등의 기능도 없다. 지금 당장으로썬 활용 방도가 떨어지거나 없는 셈.

3. 프리미엄



3.1. 5랭크



3.1.1. H-34


[image]
사거리 10km에다 작약량이 500파운드 폭탄에 버금가는 미사일인 AGM-12B 불펍 미사일을 장착할수 있으며, 그와 동시에 쌍열 20미리 건포드를 장착할수 있다.
하지만 성형엔진을 장착하여 반응성및 기동성이 매우 굼뜨다.
그리고 결정적으로 게임 시작부터 미사일을 장착한채로 스폰할수 없게되어 인기가 없다.

3.1.2. UH-1C XM-30 (단종)


[image]
정규트리의 UH-1C와의 차이점은 30mm 기관포를 장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덕분에 헬기가 처음 등장했을때 30mm 기관포로 대공 대지 다해먹었지만 패치가 진행되감에 따라 퇴물신세로 전락했다.

3.2. 6랭크



3.2.1. ✡AH-64A 페텐


[image]
'''필요 RP'''
390,000
'''가격'''
1,010,000
'''티어'''
6
'''최대속도'''
- km/h
'''BR'''
10.3 / 10.3 / 10.3
'''한계속도'''
460 km/h
'''무장'''
30 mm M230E-1 ×1 (장탄수: 1,700 발)
30 mm M230E-1 ×1 (장탄수: 1,200 발) + 플레어 × 30

'''폭장종류'''
히드라-70 로켓 × 76
히드라-70 로켓 × 76 + AIM-92 스팅어 × 4
히드라-70 로켓 × 38 + AGM-114B × 16
AIM-92 스팅어 × 4
AIM-92 스팅어 × 4 + AGM-114B × 16
AGM-114B × 16
10.3 BR의 이스라엘에서 운용한 아파치 A형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스라엘군라운델과 도색이 되어있다.
열상 카메라를 쓸 수 있으며 30mm 기관포도 당연히 있다. 발라스틱 컴퓨터를 사용하면 로켓이나 30mm탄의 낙차를 컴퓨터가 계산하여 따로 낙차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