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봉길 의사 기념관

 

1. 서울특별시에 있는 기념관
2. 충청남도 예산군에 있는 기념관
3. 중국 상하이 훙커우공원(현 루쉰공원)에 있는 기념관


1. 서울특별시에 있는 기념관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동 양재시민의 숲 입구에 있는 매헌(梅軒) 윤봉길 의사의 업적을 기리고 관련 유물을 전시하는 호국시설 기념관. 별칭으로 매헌기념관으로도 불린다. 현재 사단법인 매헌윤봉길기념사업회가 관리한다.
1988년 12월 양재시민의 숲 입구에 자리하여 개관했으며, 윤봉길 의사의 호국정신과 불굴의 업적을 기리는 목적으로 대국민 성금모금을 통해 설립했다.
한옥의 팔작지붕으로 장식된 건물로 지하 1층부터 지상 3층까지 있으며, 윤봉길 의사의 업적과 그가 생전에 사용했던 유물을 전시하고 독립운동 당시 활약했던 사진과 일제에 의해 체포되기까지의 사진이 전시되어 있다.
입구에는 윤봉길 의사의 흉상이, 기념관 옆에는 윤봉길 의사 동상과 숭모비가 있다.
무료로 자유입장이 가능하며, 하절기는 10시~17시 30분까지, 동절기는 10시~16시 30분까지 입장을 받는다. 매주 월요일 및 명절 연휴는 휴관한다.
2011년 10월 신분당선이 개통됨에 따라 지하철로도 갈 수 있으며, 양재시민의숲역의 부역명인 매헌역도 여기서 따온 것이다. 당시 신분당선 공사 때 이 구간 현장 가림막 표면에도 윤봉길 의사의 모습이 그려져 있기도 하였다. 또한 이 근처에는 2008년에 개교한 매헌초등학교도 있는데, 이 역시 여기서 이름을 따왔다.
특히 양재시민의 숲 인근에 있는 aT센터에서 가끔 열린다는 오덕 관련 행사가 열리게 되는 때에는 주로 일본과 연관된 복장이나 만화 주인공 복장을 하고 나타나는 사람들이 입구에서부터 눈에 띄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해당 행사가 열리는 때가 되면 논란을 탈 우려가 있는 곳이기도 하여서 주최사측에서도 일본과 연관된 복장을 한 채로 기념관에 입장하거나 기념관 근처까지도 접근하지 말라는 권고도 있었다. 특히 aT센터에서 그 행사가 열리는 날에 기념관을 방문하는 사람들 입장에서는 문화적, 현실적 충격을 받아야 할 각오를 해야 할 정도였고, ''''항일 독립정신이 깃들고 독립운동가를 기리는 곳에 왜 요란한 일식 옷을 입고 사무라이 복장을 한 놈들이 기웃거리는가?''''라는 난감한 생각에 빠진다.
만약 그 행사가 aT센터에서 열리게 되었을 때 특히 양재시민의 숲으로 건너갔다가 기념관에 접하기 전 평상복 차림의 방문객이나 코스프레 참가자라면 몰라도 일본 분위기가 짙어보이거나 일본 전통복장 차림 등으로 기념관에 들어갈 경우 사회적으로 물의를 끼치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되도록이면 평상복 차림으로 입장하거나 일본 분위기가 짙은 코스프레 차림으로 기념관 입장을 자제해야 한다.[1]
'''그러나 서울 코믹월드 162회가 3월 2~3일에 개최하면서 코믹월드 참가자와 기념관 방문자의 충돌을 일으킬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게 되었다.''' 이번 삼일절은 '''100주년을 맞이하게 되므로''' 더 큰 논란을 일으킬 수도 있다. 일본 분위기가 나는 복장으로 입장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
하지만 반론도 있다. 윤봉길 의사의 항거 대상은 구 일본의 군국주의 파시즘 정권이지 일본 그 자체가 아니라는 점이다. 아예 특정 국가의 인종과 문화 자체를 혐오하는 것이야말로 일본의 극우 혐한종자들과 전혀 다를 것이 없는 행동이라는 반론이다.
2013년 8월 재정난과 운영난 문제로 사실상 폐관될 위기에 처했다고 한다. 기념관 측의 말로는 재정난과 운영난으로 인해 여름에는 냉방도 하지 못하고 보습도 하지 못해서 유물들이 녹슬거나 훼손된다는 소식이 들어와서 사실상 폐관을 검토하는 중이라고 한다. 양재시민의 숲을 관리하는 서울시와 관할 관청인 서초구에서는 기념관은 시나 구의 소관구역이 아니기 때문에 시청이나 구청에서 해결할 일이 아니라고 했고, 심지어는 국가보훈처에서도 기념관은 보훈처 산하 및 소관구역이 아니라서 지원이 어렵다는 입장을 밝혀서 논란이 있기도 했다. 현재 윤봉길 의사 기념관은 윤봉길 의사 숭모회 및 기념재단에서 운영하고 있어서 대부분 운영책임이 서울시, 서초구, 국가보훈처가 아닌 민간 운영형식인데다가 무료입장을 통해서 접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부분의 네티즌들은 독립투사의 기념관을 방치하는 행정을 비난하지만 차라리 재단이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국가가 운영하게 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반응도 일부 있다.
2016년 9월 1일 LG하우시스의 지원으로 시설이 개보수 되었다. 해당 업체에서 시행하는 독립운동 관련 시설물 개보수 지원사업의 일환이라고 한다.

2. 충청남도 예산군에 있는 기념관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시량리에 있는 윤봉길 의사를 기리는 호국시설 기념관. 윤봉길 의사의 출신지가 예산군이기 때문에 사적지인 충의사에 자리한 기념관이다.

3. 중국 상하이 훙커우공원(현 루쉰공원)에 있는 기념관


실제 윤 의사의 의거현장인 훙커우공원에 윤봉길 의사의 업적을 적은 비석과 윤봉길 의사에 관한 전시물이 있는 기념관이 있다. 입장료를 받는다. 모든 시설의 언어는 한중병기가 되어있다.
실제 폭탄 투척 지점에 비석을 세우고 싶었지만 루쉰 기념관이 그 위치에 들어서는 바람에 200m 떨어진 곳에 조성했다.

[1] 혹여 화장실 사용을 위해 간다고 해도 마찬가지이며, 기념관 옆에 있는 윤봉길 의사 동상이나 숭모비도 마찬가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