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숭녕

 


李崇寧
1908년 ~ 1994년
1. 개요
2. 생애
3. 평가 : 실증적 국어학의 정립


1. 개요


한국의 국어학자. 본관은 연안 이씨이며 호는 심악(心岳)이다. 중세 국어의 모음 체계 연구에 힘쓴 국어학자로, 진단학회 상임 이사 및 국어학회장 등을 지냈다.

2. 생애


1908년 한성 출생. 경성제이고등보통학교, 경성제국대학 예과 및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문학과(조선어문학전공)를 졸업하였다. 졸업 후 해방 전까지 평양사범학교에서 교원으로 재직하면서, 국어학자로서도 활발히 활동하였다.
대학 예과 시절에는 허난설헌에 대한 논문을 졸업논문으로 제출하는 등 국문학에 관심을 두고 있었고, 학부 진학 시에는 사학과를 전공으로 택하였으나, 재학 중 언어학자였던 고바야시 히데오의 영향으로 음운론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문학과(조선어문학전공)로 전과하여 "조선어의 Hiatus현상 고찰"이라는 논문으로 학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평양사범학교 재직 시절 진단학회의 학회지 진단학보에 국어 음운론에 대한 논문을 다수 기고하였다. 특히 아래아의 음가와 모음 체계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하였고 당시의 연구 성과는 해방 후인 1949년 "조선어 음운론 연구 제1집 : 아래아 음고"로 편찬된다.
1945년 해방이 되면서 경성대학 예과 및 법문학부 교수로 임용되었으며, 경성대학이 서울대학교로 개편되자 동 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가 된다. 이 시기 외솔 최현배와 아래아의 음가를 두고 학술논쟁을 벌이기도 하였다.[1]
1994년 타계하였다.

3. 평가 : 실증적 국어학의 정립


이숭녕은 소쉬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으며, 국어학에 있어서도 국수주의적 오류에 빠지지 않고, 과학적, 실증적인 국어 연구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이에 따라 외국어 학습 및 비교언어학에 입각한 연구 태도를 견지할 것을 강조하였다.

[1] 최현배는 아래아의 음가를 ㅏ와 ㅡ의 사잇값으로 보았으나, 이숭녕은 ㅏ와 ㅗ의 사잇값으로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