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서기석
1. 개요
주요 참고한 부분은 (네이버 지식사전 임신서기석)이다.
경주시 현곡면 금곡리 석장사 근처(현재는 동국대 경주캠퍼스가 위치해있다.)에서 출토된, 신라시대 비문이 새겨진 돌. 보물 제1411호로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이 소장 중이다. 재질은 점판암인데, 비문은 신라 청년들이 착한 일(충효 실천)을 하고 공부(유교경전 학습)를 열심히 하겠다고 맹세한다는 내용이다.
2. 내용
원문의 내용은 아래와 같다.
위 비문을 잘 보면 특이한 점을 발견할 수 있다. 한문의 어순인 주어-서술어-빈어(목적어, 보어 등)의 순서를 따르지 않고 '''한문을 우리말의 어순대로 주어-빈어-서술어의 형태를 따라 쓴 것'''이다. 이를 한글 전 한국어 표기의 일종으로 서기체라고 한다.壬申年六月十六日 二人幷誓記 天前誓 今自三年以後 忠道執持 過失无誓 若此事失 天大罪得誓 若國不安大亂世 可容行誓之 又別先辛未年 七月卄二日 大誓 詩尙書禮傳倫得誓三年
임신년 6월 16일에 두 사람이 함께 맹세해 기록한다. 하늘 앞에 맹세한다. 지금부터 3년 이후에 충도를 집지하고 허물이 없기를 맹세한다. 만일, 이 서약을 어기면 하늘에 큰 죄를 지는 것이라고 맹세한다. 만일, 나라가 편안하지 않고 크게 세상이 어지러워지면 모름지기 충도를 행할 것을 맹세한다. 또한, 따로 앞서 신미년 7월 22일에 크게 맹세하였다. 즉, 시·상서·예기·전을 차례로 습득하기를 맹세하되 3년으로써 하였다.
조사나 용언 어미 같은 형식 형태소(문법 형태소, 허사)는 빈약하며, 실질 형태소(어휘 형태소, 실사)를 정통 중국식 한문이 아니라 우리말의 형태를 따라 나열한 문체이다. 임신서기석만이 아니라 비슷한 시기 신라의 다른 금석문에도 이처럼 우리말 어순으로 한문을 쓴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울주 천전리 암각화의 원명과 추명도 그렇다.
비문을 보면 "天(하늘)前(앞에)誓(맹세한다) 今(지금)自(으로부터)三年以後(3년 이후에) 忠道(충도를)執持(집지하고) 過失(허물이)无(없기를)誓(맹세한다)"와 같이 우리말 순서에 맞아떨어지게끔 되어 있다.
해당 부분을 진짜 한문의 어순으로 고친다면 "二人幷誓記 誓天前 自今以後三年 誓執持忠道 无過失之 ..."가 된다.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0757806 그러나 실제로는 우리말 순서에 맞어떨어지지 않고 한문식 표기라는 입장이 있다.
이 임신년이 언제인지 732년, 552년, 612년, 672년 등 설이 분분한데, 별다른 시대 배경 설명이나 연호 없이 임신년이라는 간지만 써서 그렇다. 학계에서는 이중 612년설이 다수인데, 국립경주박물관 이용현 학예연구사는 신라문물연구 9집(2017.01. 국립경주박물관)에 실린 논문을 통해 (앞에서 언급한) 특이한 문장 구조와 동사가 반복되는 문체가 6세기의 비문과 목간에서만 등장하는 점을 근거로 서기석의 임신년이 552년이라고 주장했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8983433
이 비문을 통해 늦어도 8세기 무렵에는 신라의 지배계층 청년들이 오경을 읽고 이해하기를 숙제처럼 여겼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앞에서 언급한 552년설이 입증된다면 신라 사람들이 6세기부터는 이두를 사용했다는 증거가 된다.
신미년은 임신년의 전해이다. 임신서기석을 쓴 사람들이 신미년에 먼저 맹세하고, 이듬해(임신년)에 다시 맹세한 것이다.
3. 바깥고리
4. 보물 제1411호
임신서기석은 위가 넓고 아래가 좁은 길쭉한 형태의 점판암제(粘板巖製)로, 한 면에 5줄 74글자의 글씨가 새겨져 있다. 비석의 첫머리에 ‘임신(壬申)’이라는 간지(干支)가 새겨져 있고, 또한 그 내용 중에 충성을 서약하는 글귀가 자주 보이고 있어 ‘임신서기명석(壬申誓記銘石)’이라 호칭하고 있다.
비문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임신년 6월 16일에 두 사람이 함께 맹세하여 기록한다. 하느님 앞에 맹세한다. 지금으로부터 3년 이후에 충도(忠道)를 지키고 허물이 없기를 맹세한다. 만일 이 서약을 어기면 하느님께 큰 죄를 지는 것이라고 맹세한다. 만일 나라가 편안하지 않고 세상이 크게 어지러우면 ‘충도’를 행할 것을 맹세한다. 또한 따로 앞서 신미년 7월 22일에 크게 맹세하였다. 곧 시경(詩經)·상서(尙書)·예기(禮記)·춘추전(春秋傳)을 차례로 3년 동안 습득하기로 맹세하였다.”
한자·한문을 받아들여 우리의 표기수단으로 삼을 때 향찰식(鄕札式) 표기, 한문식(漢文式) 표기 외에 훈석식(訓釋式) 표기가 실제로 있었다는 것을 증거해 주는 유일한 금석문 유물로 세속 5계 중의 ‘교우이신(交友以信)’, 즉 신라 젊은이들의 신서(信誓) 관념의 표상물(表象物)이고, 우리 민족의 고대 신앙 중 ‘천(天)’의 성격의 일단을 시사해 주는 자료이다.
명문의 임신년(壬申年)은 552년(진흥왕 13) 또는 612년(진평왕 34)의 어느 한 해일 것으로 보이며 서예사적(書藝史的) 측면에서도 자형과 획법, 그리고 명문의 새김방식에서 6세기 신라시대 금석문(金石文)의 일반적 특징을 보여주는 자료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