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하늘에도 슬픔이

 

''' 저 하늘에도 슬픔이의 주요 수상 이력 '''
[ 펼치기 · 접기 ]
''''''역대''' '''
[image]
'''최우수작품상'''
'''제2회
(1964년)'''

'''제3회
(1965년)'''

'''제4회
(1966년)'''
잉여인간
낙동강

'''저 하늘에도 슬픔이'''
홍도

시장
월남전선


'''저 하늘에도 슬픔이''' (1965)
''Sorrow Even Up in Heaven''
[image]
'''감독'''
김수용
'''제작사'''
㈜신필름
'''각본'''
신봉승
'''기획'''
최현민
'''촬영'''
전조명
'''출연'''
김천만, 신영균, 장민호
'''관람인원'''
285,000명
'''상영극장'''
국제극장
'''상영일자'''
1965.05.05
1. 줄거리
2. 흥행
3. 여담


1. 줄거리


대구 명덕국민학교에 다니는 윤복(김천만)이네 가족은 집세를 내지 못해 살던 집에서 쫓겨나 버려진 움막집으로 들어간다. 윤복은 노름판에 빠진 아버지(장민호)와 아버지의 학대를 못 이겨 집 나간 어머니(주증녀)를 대신해 어린 동생들을 돌본다. 여동생 순나(정해정)와 다방을 돌며 껌을 팔던 윤복은 희망원 직원에게 붙잡혀 아동보호소로 끌려가지만 끼니를 거르고 있을 아버지와 동생들을 생각하며 그곳을 탈출한다. 이런 비참한 생활 속에서도 윤복은 그 날 그 날의 일을 일기장에 담는다. 가난한 학생들에게 헌신적인 김동식 선생(신영균)은 윤복의 사정을 알게 되고, 윤복의 담임(조미령)으로부터 윤복이의 일기를 건네받는다. 일기에 감동받은 동식은 후배 용웅(방수일)에게 서울로 가 출판사를 찾아봐줄 것을 부탁한다. 한편 윤복의 학급 친구 경애(전영선)와 혜자(김경숙)도 윤복이를 물심양면으로 돕는다. 그 사이 윤복의 아버지는 일자리를 얻으러 잠시 울산으로 떠나고, 여동생 순나는 돈을 벌어오겠다는 편지를 남기고 집을 떠난다. 그러나 동냥과 껌팔이, 구두 닦기 등의 일에도 불구하고 번번이 노름으로 돈을 잃고 자식들을 구박하는 아버지에게 지친 윤복은 어린 동생 태순(이지연)을 데리고 순나를 찾으러 무작정 서울로 향한다. 그 사이 윤복이가 쓴 일기는 『저 하늘에도 슬픔이』라는 제목의 책으로 출판되어 날개 돋친 듯 팔리고, 이를 읽고 감명 받은 사람들이 윤복이네에 옷가지와 쌀 등을 보내온다. 이 사실을 알지 못한 채 윤복이는 태순과 서울에서 갖은 고생을 하지만, 그를 찾으러 온 김동식 선생을 만나 신문사에서 제공해준 비행기를 타고 집으로 돌아온다. 학교의 대대적인 환대 속에 윤복의 아버지는 가장 노릇 제대로 못한 자신을 반성하고, 마침내 집 나간 어머니도 돌아오면서 윤복이네 집에 서광이 비친다.

2. 흥행


'''1965년 국산 1위 흥행 영화 '''
1964년
빨간 마후라[1]

1965년
저 하늘에도 슬픔이

1966년
유정
실화를 바탕으로 각색된 영화로, 당시 한국사회가 처한 가난한 상황을 적나라하게 보여 줬기 때문에 큰 흥행을 하며, 1965년 그 해 최고 흥행 기록을 세웠다.

3. 여담


  • 대구광역시를 배경으로 하다 보니 대구 사투리가 나오지만 사투리 녹음이 썩 훌륭하지는 않다.
  • 영화는 반쯤 해피엔딩으로 끝났지만 주인공 이윤복씨의 두 번째 일기장 '저 하늘에 이 소식을'을 보면 여전히 암울한 상황이다.
  • 주인공 이윤복씨는 동생들을 위해 고교만 마치고 생활전선으로 뛰어들었다. 유명세가 부담스러워 재덕이라는 이름을 사용하였다고 한다. 안타깝게도 1990년 만40세를 채우지 못하고 간경화로 요절하고 말았다. #
  • 2004년 동생 윤식씨의 뜻으로 그의 일기 두편이 재판되었고, 아직 절판되지 않았다.
  • 같은 원작으로 오시마 나기사가 '윤복이의 일기'로 영화화한 적이 있다. 본작과 달리, 일기를 차용해 한국 현실을 다루는 다큐멘터리에 가깝다. 또한 '저 하늘에도 슬픔이'는 일본에서 처음으로 소개된 한국 문학이라고 한다. 때문에 일본에서도 지명도가 있다.
  • 소설가이자 영화감독 이창동이 엑스트라로 출연한 적이 있다. 당시 이창동은 이윤복과 같은 학교 같은 반이었는데, 영화 촬영 당시 이윤복 학교를 로케이션하다가 출연했다고.

[1] 신성일, 엄앵란 주연의 맨발의 청춘이라는 설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