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성(고고학자)

 

<colbgcolor=#808080> '''이름'''
'''정인성(鄭仁盛)'''
'''출생일'''
1969년
'''출생지'''
경상남도 남해군
'''학력'''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 학사)
경북대학교 (고고인류학과 / 석사)
도쿄대학(東京大学) (고고학 / 박사)
'''현직'''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
영남대학교 박물관장
'''약력'''
고려대학교 고고환경연구소 연구조교수
일본학술진흥회 특별연구원
와세다대학 객원 조교수
도쿄대학 문학부 외국인연구원
도쿄도 히노시 유적조사회 촉탁조사원
도쿄대학 문학부 비상근연구원
도쿄도 히노시 유적조사회 주임조사원
도쿠시마대학 고고학연구실 초청연구원
1. 소개
2. 생애
3. 연구
4. 주요 저서

[clearfix]

1. 소개


대한민국의 고고학자, 교수.

2. 생애


1969년 경상남도 남해군에서 태어났다. 경북대학교 인문대학 고고인류학과에서 학사, 석사학위를 받았고, 일본으로 유학해서 도쿄대학(東京大学)에서 고고학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도쿄대학 문학부 외국인연구원, 와세다대학 객원 조교수, 고려대학교 고고환경연구소 연구조교수 등을 거쳐서, 2007년 영남대학교 문화인류학과 교수로 부임하여 후학을 양성하고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3. 연구


주요 연구 분야는 한국고대고고학, 한국철기문화, 낙랑문화, 동북아역사고고학, 실험고고학, 식민지고고학이다. 그 중에서도 낙랑고고학, 고구려고고학, 발해유물, 식민지 고고학사, 진한대(秦漢代) 고고학, 중국 전국시대 고고학 등이다.
1998년 도쿄대에 세형동검을 연구하러 유학했다가 창고에 일제강점기 때 반출된 조선 유물들이 산더미처럼 쌓인 것을 보고 충격을 받아 세키노와 야쓰이의 초창기 고적조사 연구에 몰입하게 됐다고 한다. 2002년 「樂浪文化の考古學的硏究」(낙랑문화의 고고학적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기사
‘왕검성 대동강북안설’에 대해 반박하며 위만조선왕검성의 위치를 오늘날 요동 반도로 비정하였다. “위만조선 왕검성은 오히려 요동반도에 존재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군현이 설치되면서 대동강 유역권으로 옮아왔을 가능성이 높다.”고 하였다.
2015년에는 경산 북부동의 임당동과 조영동에 소재한 임당동 고분군이 도굴된 사건을 언론에 알렸다.[단독] 국가사적 삼국시대 고분 무참히 파헤쳐졌다 그리고 임당동 고분군의 사료적, 고고학적 가치를 알렸다. 경산 임당동 고분 등 도굴 7명 검거

4. 주요 저서


정인성 외 공저, 2007. 02, 『한국고고학강의』, 한국고고학회.
정인성 외 공저, 2008. 08, 『일본에 있는 낙랑유물』, 학연문화사 .
정인성, 2010. 03, 『한일 청동기문화의 교류(농경·금속문화와 한일관계)』, 景仁文化社.
정인성 외 공저, 2011. 10, 『동아시아 고분문화』, 중앙문화재연구원.
정인성 외 공저, 2011. 11, 『일본소재 고구려유물』, 4, 동북아역사재단.
정인성 외 공저, 2012. 06, 『영남지역 원삼국시대 목관묘』, 학연문화사.
정인성 외 공저, 2012. 08, 『원삼국·삼국시대 역연대론』, 학연문화사.
정인성 외 공저, 2015. 08, 『낙랑 고고학 개론』, 진인진
정인성 외 공저, 2015. 11, 『영남의 고고학』, 사회평론아카데미.
정인성 외 공저, 2015. 11, 『한국 상고문화와 중국 동북지방』, 고려대학교 출판문화원.
정인성, 2017. 07, 『낙랑토성(번역서)』, 국립문화재연구소.
정인성 외 공저, 2018. 02, 『영산강유역 마한제국과 낙랑 · 대방 · 왜』, 진인진.
정인성 외 공저, 2018. 09. 『역사 여명기의 종족 정체성』, 진인진.
정인성 외 공저, 2018. 09, 『원사시대의 사화문화변동』, 진인진.
정인성 외 공저, 2019. 12, 『일본소재 고구려유물』, 동북아역사재단.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