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9전술개발훈련비행전대

 

29th Tactical Fighter Weapons Group

1. 개요
2. 예하 비행대대
3. 부대 특징
4. 사건사고
4.1. 전투기 추락 등 관련 사고
4.2. 자연재해, 전염병 등
4.3. 군기 관련, 대민마찰 등 인재


1. 개요


[image]
통칭 29전대라 불리며 일명 한국의 탑건 스쿨. 제17전투비행단과 같이 청주공항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독립비행전대. 독립 비행전대이지만 비행단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인지 대부분의 물자 보급을 17비에 의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38전투비행전대와는 달리 자기 소속의 기지대나 군수대가 없다. 주요 임무는 각 비행단에서 차출된[1] 숙련된 조종사들을 대상으로 각종 전술을 개발하고 전투력 향상을 위한 교육·훈련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교관급 외 장교는 수시로 바뀌는 편이다.
공군에서 무장 특기를 받고 자대에 배치될 경우에 대부분 비행단인데 비해 비행전대이기 때문에 이름부터 튀게 된다. 교육 담당 부사관들은 무장의 노른 자위라며 추천하는 편.

2. 예하 비행대대


  • 제191전술훈련비행대대
  • 제192전술개발비행대대
두 비행대대 모두 1988년 창설되었다. 공군에서 운용중인 모든 전투기를 운용하고 있다. 다만 이들 전투기는 29전대에 완전 배속된 것이 아니라 차출된 조종사들이 직접 몰고 오는 것이다. 당연히 훈련이 끝나면 도로 몰고 간다. 즉 29전대가 완전히 소유한 전투기는 없는 셈.
사실 90년대 말엽까지는 29전대 소속의 전투기가 있기는 했다. 바로 MiG-19MiG-21. 북한에서 귀순 또는 중국에서 대만으로 망명을 원한 조종사들이 몰고온 북한 공군, 중국 공군 소속 전투기들로, 비행가능상태로 유지하는 한편 실제로 가상적기 역할을 맡아 훈련용이나 전술개발용으로 쓰기도 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2000년 초반무렵에는 더 이상 비행가능상태로 유지하기도 어렵고, 어차피 각 전투기들의 비행특성은 전부 파악된 상태였기에 내부 주요 구성품들은 빼버리고 껍데기만 가져다가 전시용으로 돌려버린 상태. 이러한 부대 성격탓에 과거 국내 밀리터리 잡지등에서는 이 부대에 여러 루트를 통해 입수한 북한 최신예 전투기 MiG-29가 배치되었다는 루머를 사실처럼 적어 놓기도 했다. 그러나 정작 29전대는 둘째치고 우리나라에서 MiG-29를 입수한 적조차 없다.

3. 부대 특징


비행대대 외에 공운대대와 정비대가 있다.[2]
부대가 작다보니 전원이 한 건물에서 생활한다. 부서별 업무가 매우 다르다보니 근기수생활관 시행 이전에는 비행대대+전대본부/정비대/공운대대 이런식으로 부서별로 친하고 타부서 인원과는 거리감을 느끼는 경우가 있었지만, 근기수생활관 제도 시행 이후 많이 나아진 편.
다른 군에 비하면 구타가혹행위가 비교적 덜한 곳이 공군이긴 하지만, 2000년대 초반 무렵에는 그래도 좀 남아있던 무렵이었으나 29전대는 이를 병사들이 자체적으로 없앴다. 병사 규모가 100명정도여서 가능하였다고 볼 수도 있지만 어쨌거나 매우 모범적인 케이스.
생활관이 2개동으로 나누어져 있는데 겉보기엔 새로 지은 생활관이 더 좋아보이지만, 내부는 리모델링한 구 건물이 훨씬 낫다. 구 생활관은 침상형이지만 온돌처럼 되어있어 신발을 벗고 들어가며 호실마다 시스템에어컨도 완비되어 있으며, 전대 자체 도서관도 위치해있다. 신생활관은 슬리퍼 신고 돌아다니는 전형적인 침상형 구조이며, 1층에 부대 규모에 비해 크고 아름다운 체력단련실, 사이버지식정보방 이 위치해있다. 당직실과 휴게실, 독서실도 있다.
배식은 17비 내 레이크 가든에서 한다. 허나 식당까지 거리가 거리인지라 짬이 찰수록 꿍쳐놓은 식량을 야금야금 먹으며 식당과는 점점 멀어지는 경향이 짙어진다
휴일기간 장병들의 편의를 위해 생활관 바로옆 라인 출입문을 초병없이 개방했던적이 있었으나, 당직병의 관리 부실로 단 몇주 만에 원복되어 식사를 위해서는 출입증을 지참하여 먼길을 돌아가야 한다.
생활관 및 부대 전체시설이 라인 안쪽에 위치함에 따라 구성원 전원이 라인내 출입가능 출입증을 발급받는다.
부대 운용을 상당수 제17전투비행단에 의지하고 있기 때문에 활주로도 같이 사용하며 탄약도 타와서 사용하고 반납하는 형식이다. 일부 환경미화 관련 인원차출도 당한다. 17비 구역이지만, 전대 전면 도로의 제초, 낙엽쓸기 구역이 있으며, 환경기동대에도 병사를 차출하며, 헌병, 정보통신, 보급, 종교등 부대운영 관련 모든 부분을 17비와 공유한다. 상병진급캠프와 ASSA 캠프도 17비측에서 담당한다.
200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야간비행이 없었다. 교육과정 중에 야간전술훈련이 없었기 때문. 덕분에 특별히 시간이 걸리는 정비거리가 생기지 않는 이상 대체로 정비병들의 일과는 저녁 6, 7시 이전에 끝났다. 그러나 2000년대 초, 중반 이후에 야간 비행훈련이 생겨버렸다고.
부대자체가 훈련을 위해 존재하기 때문에 ORE, ORI 를 받지 않으며, 2년에 한번씩 공군본부 감사를 받는다. 17비 ORE, ORI 기간에 흰색 비표를 착용하여 대상이 아님을 알린다.

4. 사건사고



4.1. 전투기 추락 등 관련 사고


  • 타 비행단과의 전투기 교체가 잦다 보니 비행이 종료된 후 탄약을 제거하는 것을 잊고 같이 교체해 버리는 사고가 일어난 적이 있다.
  • 야간 비행 임무 중에 조종사가 투하할 폭탄 대신 폭탄이 장착된 틀을 투하해 버린 사건이 있다.

4.2. 자연재해, 전염병 등



4.3. 군기 관련, 대민마찰 등 인재



[1] 시험을 본다고 한다[2] 제17전투비행단에서 쓰는 POD 점검도 이곳에서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