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대
[clearfix]
大隊
1. 개요
大隊. 영어로는 육군이나 해병대의 경우 바탈리언(Battalion)이라 쓰는 것이 일반적이나, 기병대의 전통이 있는 일부 부대의 경우에는 스쿼드론(Squadron)이라고도 쓴다.[1] 공군 역시 비행대대를 비롯한 대대급의 부대를 일컫는 용어로서 스쿼드론이란 명칭을 사용하며, 해군 항공대나 해병대 항공대에서도 공군과 비슷하게 비행대대에 대해서 스쿼드론이란 명칭을 사용한다. 또한 비행과 상관 없는 해군 대대는 그룹(Group)이라는 명칭을 쓰는데, 이는 해군에서는 비행대대 이외에도 전대가 스쿼드론이란 명칭을 쓰기 때문이다.
대략 3~5개 정도의 중대를 모은 것이지만 기갑수색대의 경우 7개의 중대로 구성되는 예외적인 경우도 존재한다. 대한민국 육군의 일반적인 보병대대의 경우 소총 3개 중대, 중화기 1개 중대, 본부중대로 총 5개 중대로 이루어져 있다. 인원은 각 나라별로 중대의 규모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보병대대 기준으로 300~1,000명가량. 하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감편, 간이편제, 불완전편제인 곳이 많다. 300명 수준은 특수부대를 제외하고는 중대 수준이다. 대한민국 육군은 상비사단 기준으로 보병대대는 약 400여명 정도로 구성된다.
공군의 경우 군사경찰대대와 항공기 정비대대[2] 를 제외하면 대대급이 100명이 채 안 되는 경우가 흔하다. 중대급으로 내려가면 10~20명 언저리. 그래서 아저씨의 기준이 다른 중대가 아니라 다른 대대부터다. 같은 중대끼리만 선후임 관계면 너무 적어서. 심지어 항공작전전대 같은 경우는 대대끼리 묶어도 병사의 숫자 자체가 너무 적기 때문에[3] 전대 단위로 선후임 관계를 갖는다.
경찰기동대에는 격대란 비슷한 제대가 있다. 단 격대장은 기동부단장이 겸임한다.
2. 상세
대대는 상급부대의 명령을 받고 단독으로 작전이나 전투에 투입될 수 있는 최소 부대 단위이다. 보유한 여러 중대를 통할하기 위해 본부중(소)대와 과급의 참모부, 관사가 제공된다. 대대본부의 각종 과들은 중대에서 올라오는 행정병들의 자질구레하고 조악한 문서를 다듬어서 상급부대의 각종 참모부에 바치는 가공무역(...)을 주업으로 하게 된다.
대대의 지휘관인 대대장은 정규 편제에서는 "여단을 만들 수 있는 병과의 대대장은 중령이, 여단을 만들 수 없는 병과의 대대장은 소령이 맡는다" 라고 이해하면 쉽다. 편제가 이쯤 되면 지휘부를 모아서 본부중대를 구성하며, 전투지원을 위한 화력 편성이 추가된다. 기갑의 경우 대대장용 전차와 대대장용 장갑차가 각각 따로 지급되는데 전차대대장은 주로 장갑차를 사용한다. 대대장 전용 전차는 유사시에만 사용하며 평상시에는 대대장 전용 장갑차를 타고 지휘를 하는 방식인데, 그 이유는 전차에는 참모들이 전부 탑승할 수 없기 때문이다.
같은 병과의 중대만 모이는 것이 일반적이나, 미국 육군처럼 기계화보병 2개 중대, 기갑 2개 중대가 1개 제병협동대대(Combined Arms Battalion)를 이루는 사례나[4] , 한국군 기계화 보병사단의 기갑 수색대대처럼 전차, 장갑차, 자주박격포들을 모아 중대전투단 편제로 만들어버린 경우도 있다. 또한 필요에 의해 다른 병과의 대대끼리 병력을 주고 받아 전투단(Task force)를 만들기도 한다. 기계화 보병 사단의 TF는 전차중대와 기보중대를 하나 바꾸고 방공소대 및 자주포 포대 지원을 받아 강화 기보 TF를 편성한다.
여러 개의 대대를 모아서 연대나 여단을 결성한다. 연대에 소속되지 않고 독립적인 지위를 가진 대대를 독립대대라 한다. 대한민국 국군의 동원사단이나 향토사단은 평상시에는 감편된 편제를 유지하며 전방의 중대 규모만 유지한다.
육군 특전사와 해군 특수전전단도 대대들로 이루어져 있지만, '팀'을 최소 부대단위로 하는 특수부대이기 때문에 일반 보병 대대와는 편제와 인원이 많이 다르다.
통상적으로 비행대대는 12~24대의 항공기로 구성되지만 국가, 군종, 임무, 항공기의 종류에 따라 이 숫자는 달라질 수 있다. 가령 미 공군의 전투비행대대들은 18~24대의 전투기로 구성되나 미 해군의 전투비행대대는 12대로 구성된다거나 같은 미 공군이라도 수송기나 폭격기는 1개 비행대대가 12대로 구성되는 식이다. 대한민국 공군의 경우 15~27대로 범위를 잡는데, 보통 1개 대대에 20대 전후로 전투기가 배속되나, 공군의 특수비행팀인 239특수비행대대(블랙이글스)의 경우 T-50 8대로 구성되어 있으며, 비행대대 중에는 배속된 항공기가 없는 경우도 종종 있다.[5] 다만 항공기와는 별개로 항공기의 특성에 따라 비행대대별로 조종사 숫자와 항공기정비대대의 일선정비사 숫자가 차이난다.
참고로 국직부대에는 대대 위에 곧바로 부대지휘관, 즉 직할대대로 구성되는 경우가 흔하다. 즉, 국방부 직할의 단, 사령부, 학교, 병원 등의 부대에는 대대 이하 편제만 야전부대의 편제단위와 같은 경우가 흔하고, 육해공군 방식이 혼재 할 수도 있다.
공군에서는 대부분의 부서가 대대급에서 아저씨의 경계가 형성된다. 단 군사경찰과 같이 각 중/소대가 따로 떨어진 경우엔 대대원일지라도 다른 소대에 있는 병사는 아저씨로 취급하는 경우가 많다.
2.1. 육군 일반 전투대대
중령이 대대장을 한다. 보병 기준으로 휘하에는 3개 보병중대와 1개 화기중대를 맡는 4명의 대위급 중대장과 짬중위급 본부중대장이 있어 총 5개 중대를 거느리고 있다. 참모부는 지휘부에 주임원사, 중위 또는 소위급 정훈장교, 정보과에 대위급 정보과장과 표적분석부사관, 작전과에는 소령급 작전과장 휘하에 중위급 작전장교와 중사 이상의 교육지원담당관, 인사과에 대위급 인사과장 아래로 인사담당관과 재정부사관, 군수과에 대위급 군수과장 아래로 중위급 군수장교와 상사급 군수담당관, 급양담당관, 군수과 아래 병기반의 탄약반장 등이 포진해 있다. 이외에 연대 의무중대에서 파견나온 중위급 의무지대장, 연대 수송대에서 파견나온 수송관과 정비반장, 대대로 보직되나 연대 통신중대의 지휘도 겸해서 받는 소~중위급 통신소대장이 있다.
기계화보병대대와 기갑대대의 경우 화기중대가 본부중대 예하 지원소대로 축소되어 3개 전투중대와 본부중대로 구성되어있다. 궤도장비를 다루기 때문에 정비반이 파견이 아닌 대대 소속으로 각 중대별 정비반장이 편성되어있으며 원사~준위급이 정비과장으로 임무를 수행한다. 이들을 대대 소속으로 두는 이유는 기보사단 예하 여단들이 연대급 부대임에도 엄연히 '''여단'''이기 때문에 증편 등의 자율 권한이 매우 크다는 것에 있다. 기존 보병사단의 연대 파견식 배치로는 임무 수행에 차질이 커서 대대 자체 소속으로 두는 것.
2.2. 육군 포병 대대
일반 곡사포 부대 기준으로는 보병과 마찬가지로 중령이 대대장을 맡고 3개의 곡사포대와 본부포대로 구성되어있다. 포대 편성은 문서 참조. 타 병과도 처부에 따라 소속되어있는 보병부대와는 다르게 정훈과 통신을 제외한 모든 직위가 포병 병과 간부로 이루어져있다. 참모부는 지휘부에는 주임원사와 중위급 이하의 정훈장교가 소속되어 있고 작전과는 소령급 작전과장, 중위급 사격지휘장교와 대위의 연대 화력지원장교, 중위의 대대 화력지원장교 3명[6] , 교육지원담당관과 사격제원통제관이 있다. 정보과는 관측장교 출신의 중위 정보과장 아래로 보안업무담당관, 측지담당관[7] 이 있으며 인사과는 통상 대위 인사과장이 보임되고 인사담당관이 보조해주며 추가로 대대 화력지원장교 한 명이 휘하의 인사장교를 맡아준다. 군수과장은 작전과의 연대 화력지원장교가 겸직으로 맡는 일이 많고 따로 편성하지는 않는 편이며 부사관인 담당관 보직 구성은 보병과 유사하다. 탄약반은 군수과 예하가 아닌 탄약장교를 대표로 병기담당관과 탄약담당관이 보좌해주는 독립 처부로 존재한다. 의무반은 보병과 달리 완전히 대대 소속으로 되어있으며 통신반의 경우 장교 통신소대장도 몇몇 있으나 대체로 부사관인 상사급의 통신소대장들이 주류를 이룬다.[8] 수송정비 역시 마찬가지로 대대 소속.
2.3. 향토동원 대대
소령이나 중령이 대대장을 하고 있으며, 각 중대장들은 완편이다.
평시에는 감편 상태로 운영되기에, 참모직(작전, 정보, 인사, 군수, 동원)을 맡을 위관급 장교가 부족할 경우 중대장이 겸직하는 경우도 있다. 1중대장 겸 작전과장 겸 정보장교, 2중대장 겸 군수장교, 3중대장 겸 인사장교 이런 식이다. 다만 이 경우 동원훈련 또는 실제 전시동원이 실시되면, 예비역 중위 및 대위들이 참모직으로 들어가고 중대장은 중대장 임무만 수행한다. 중대의 경우도 소대장은 예비역 편제라서, 휘하 중대원이 10명 정도에 불과하다. 즉 평시에는 1개 분대가 곧 1개 중대인 셈. 그래서 대대 전체가 모두 아는 사람이며[9] 병이든 간부든 인원 부족을 호소한다.
그러나 향토사단의 경우라 할 지라도 해안경계나 강안경계 작전을 담당하는 대대가 있는데 그런 경우 반드시 중령 대대장이며 경계작전을 담당하는 어느 정도 인원을 보유한 한 개의 전투 중대를 보유하고있고 작전과장, 부대대장 역할을 하는 소령 1~2명을 참모로 보임하는 경우가 많다
2.4. 간소화 대대
장교는 3명뿐이다. 소령이 대대장을 하고 대위가 정작과장, 중위가 지원과장을 하며 원사가 중대장, 상사가 소대장을 하며 참모 담당 인원들도 대부분 상사 내지는 중사가 담당한다.
2.5. 특전사 여단 시설대대
장교가 시설대대장 혼자뿐이다. 소위가 대대장을 하고 주임원사가 작전과장을 겸직한다. 나머지 참모부는 전원 중사가 담당관으로 보직되어 있으며 원사 또는 상사가 중대장, 장기 복무가 확정된 중사가 소대장을 한다. 병은 동일하게 병장이 분대장을 한다. 부대 편제는 2개 중대와 6개 소대, 그리고 대대본부로 구성되어 있다.
하는 일이 부대시설 관리와 본대가 영외업무를 보러 가면 주둔지에 남아서 경비를 하는 업무를 한다. 업무 내용이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병력이 많아도 지휘관의 계급은 낮은 것이다.
시설대대이기 때문에 공병 병과 장교만 지휘관 배치가 가능하다.
2020년 기준 특전사 예하 전 여단에서 시설대는 해체되었다.
3. 대한민국 대대 목록
3.1. 포병대대
- 제10포병대대 (수도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 "백호"
- 제11포병대대 (제3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16포병대대 (제7보병사단 포병여단) "충무"
- 제17포병대대 (제1보병사단 포병여단) "백곰"
- 제18포병대대 (제21보병사단 포병여단) "충무"
- 제27포병대대 (제6보병사단 포병여단) "포성"
- 제26포병대대 (제15보병사단 포병여단) "상무"
- 제30포병대대 (제9보병사단 포병여단) "백두산/독수리"
- 제50포병대대 (제8기동사단 포병여단) "풍익"
- 제51포병대대 (제9보병사단 포병여단) "한라산"
- 제52포병대대 (제9보병사단 포병여단) "황희정승"
- 제53포병대대 (제20기갑여단) "백룡"
- 제55포병대대 (제11기동사단 포병여단) "청룡"
- 제56포병대대 (제7보병사단 포병여단) "을지"
- 제57포병대대 (제7보병사단 포병여단) "화랑"
- 제58포병대대 (제1보병사단 포병여단) "백호"
- 제59포병대대 (제1보병사단 포병여단) "사자"
- 제60포병대대 (수도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 "충무"
- 제61포병대대 (수도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 "북진"
- 제62포병대대 (제21보병사단 포병여단) "화랑"
- 제63포병대대 (제12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66포병대대 (제12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67포병대대 (제15보병사단 포병여단) "충무"
- 제68포병대대 (제15보병사단 포병여단) "청룡"
- 제69포병대대 (제21보병사단 포병여단) "왕포"
- 제71포병대대 (제3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72포병대대 (제3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76포병대대 (제6보병사단 포병여단) "선진"
- 제77포병대대 (제6보병사단 포병여단) "승리"
- 제78포병대대 (제11기동사단 포병여단) "승리"
- 제88포병대대 (제6보병사단 포병여단) "충정"
- 제89포병대대 (제12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91포병대대 (제11기동사단 포병여단) "백호"
- 제92포병대대 (제2포병여단)
- 제93포병대대 (제3포병여단)
- 제95포병대대 (제8기동사단 포병여단) "명중"
- 제98포병대대 (제5포병여단 제1포병단)
- 제99포병대대 (제27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100포병대대 (제2포병여단)
- 제101포병대대 (제5포병여단 제5포병단)
- 제102포병대대 (제5포병여단 제1포병단)
- 제103포병대대 (제5포병여단 제5포병단)
- 제105포병대대 (제5포병여단 제1포병단)
- 제106포병대대 (제1포병여단 제7포병단)
- 제107포병대대 (제1포병여단 제7포병단)
- 제108포병대대 (제1포병여단 제7포병단)
- 제109포병대대 (제1포병여단 제7포병단)
- 제110포병대대 (제5포병여단 제8포병단)
- 제169포병대대 (제21보병사단 포병여단) "방패"
- 제195포병대대 (제5보병사단 포병여단) "고대산"
- 제196포병대대 (제5보병사단 포병여단) "황룡"
- 제205포병대대 (제5보병사단 포병여단) "백호"
- 제206포병대대 (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213포병대대 (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217포병대대 (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228포병대대 (제8기동사단 포병여단)
- 제231포병대대 (제8기동사단 포병여단) "백호"
- 제239포병대대 (제27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251포병대대 (제27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259포병대대 (제27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262포병대대 (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 "방패"
- 제268포병대대 (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 "초석"
- 제273포병대대 (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 "강철"
- 제278포병대대 (제22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279포병대대 (제22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280포병대대 (제22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298포병대대 (육군포병학교)
- 제305포병대대 (제17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306포병대대 (제17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307포병대대 (제17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361포병대대 (제66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362포병대대 (제66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363포병대대 (제66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365포병대대 (제2포병여단)
- 제369포병대대 (제5포병여단 제5포병단)
- 제375포병대대 (제12포병단) "흑곰"
- 제379포병대대 (제12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516포병대대 (제72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517포병대대 (제72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518포병대대 (제72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521포병대대 (제73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522포병대대 (제73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523포병대대 (제73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525포병대대 (제75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526포병대대 (제75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527포병대대 (제75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536포병대대 (제102기갑여단) "일출선봉"
- 제553포병대대 (제60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581포병대대 (제23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582포병대대 (제23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583포병대대 (제23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602포병대대 (제17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606포병대대 (제2기갑여단) "번개"
- 제619포병대대 (제60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623포병대대 (제72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628포병대대 (제1기갑여단) "천둥"
- 제629포병대대 (제1보병사단 포병여단) "독수리"
- 제632포병대대 (제25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635포병대대 (제3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637포병대대 (제7보병사단 포병여단) "왕자"
- 제638포병대대 (제5포병여단 제5포병단)
- 제639포병대대 (제22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651포병대대 (제1포병여단 제3포병단) "용호"
- 제652포병대대 (제1포병여단 제2포병단) "유비"
- 제653포병대대 (수도포병여단) "충정"
- 제655포병대대 (제1포병여단 제3포병단) "쌍호"
- 제656포병대대 (화력여단) "천호"
- 제657포병대대 (제1포병여단)
- 제659포병대대 (제6포병여단 제6포병단)
- 제660포병대대 (제3기갑여단) "비호"
- 제661포병대대 (제7포병여단)
- 제662포병대대 (제7포병여단)
- 제663포병대대 (제7포병여단)
- 제665포병대대 (제5기갑여단) "불사조"
- 제668포병대대 (수도포병여단) "석정"
- 제669포병대대 (수도포병여단) "포성"
- 제670포병대대 (제7포병여단)
- 제751포병대대 (화력여단) "천율"
- 제752포병대대 (제5포병여단)
- 제753포병대대 (화력여단) "승전"
- 제755포병대대 (제2포병여단)
- 제756포병대대 (제12포병단)
- 제757포병대대 (수도포병여단) "구룡"
- 제758포병대대 (제7포병여단)
- 제759포병대대 (제3포병여단)
- 제808포병대대 (수도기계화보병사단 포병여단) "기적"
- 제928포병대대 (제73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929포병대대 (제75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930포병대대 (제23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933포병대대 (제2기갑여단) "설악"
- 제935포병대대 (제66보병사단 포병여단)
- 제955포병대대 (제11기동사단 포병여단) "흑룡"
- 제956포병대대 (제12포병단)
- 제958포병대대 (제1포병여단 제3포병단)
- 제966포병대대 (제9보병사단 포병여단) "흑포(왕포)"
- 제968포병대대 (제6포병여단 제9포병단)
- 제969포병대대 (제6포병여단 제9포병단)
- 제970포병대대 (제6포병여단 제9포병단)
- 제971포병대대 (제6포병여단 제9포병단)
- 제975포병대대 (제2포병여단 제11포병단)
- 제976포병대대 (제2포병여단 제11포병단)
- 제977포병대대 (제28보병사단 포병여단) "광명"
- 제988포병대대 (제5보병사단 포병여단) "절골"
- 제998포병대대 (제15보병사단 포병여단) "백호"
- 제999포병대대 (제6포병여단 제6포병단)
- 제2000포병대대 (제1포병여단)
- 제5000포병대대 (제5포병여단)
3.2. 경비대대
3.3. 특공대대
3.4. 수송대대
4. 창작물 속 대대
- 헬싱의 최후의 대대 밀레니엄
- 협객 붉은매의 등장인물 대대붕.
- 스펙 옵스 더 라인의 미 육군 제33차량화보병대대, 통칭 'Damned 33rd'(저주받은/지옥에 떨어진 33대대)
- 에어리어88 설정상 부대규모가 대대급인데다가, 당장 부대 사령관인 사키 바슈탈만 해도 계급이 중령이니....
- 워게임: 레드 드래곤의 튜토리얼에 따르면 플레이어들이 지휘하는 부대는 대대라고 한다. 아무리 봐도 대대 규모가 아닌 것 같지만 아무튼 대대다.
- 기동전사 건담: 제08MS소대 - 지구연방군 동남아시아 방면군 기계화혼성대대 통칭 '코지마 대대'
- 제101고속전투전차대대
- 유녀전기 - 타냐 데그레챠프 휘하의 제국 참모본부 직속 203 항공마도대대
- 스타워즈 클론전쟁 3D, 스타워즈 3 - 제212 공격 대대, 제41 순찰 대대
5. 기타
아돌프 히틀러의 발언으로 인한 최후의 대대 떡밥도 있으나, 이는 그냥 음모론일 뿐이다.
겁스 무한세계의 센트럼의 독립 요원은 소련군 대대쯤은 혼자서 처리할수 있다고 한다. 이 쪽은 기본 템플릿이 700CP(완성된 드래곤 캐릭터의 CP)에 달하는 데다가 상당히 많은 CP를 바이오닉 장비로 때우고, 거기다가 그 위치로 올라가기 위해서 수많은 경쟁을 뚫어야 하는 인간 병기 쯤의 레벨이니까. 정확히 말하면 센트럼은 능력에 따라서 계급이 정해지는 계급 사회다. 이 사회에서 일단 1급 시민이 된 뒤, 그 다음에 한명한명 평의회의 심사를 받아야 독립 요원이 될 수 있다.
[1] 미국 정찰기병대의 예를 들자면 5-16 스쿼드론, 뭐 이런 식이다.[2] 이쪽은 주로 비행단에 주둔하는 비행대대의 숫자에 달렸다. 여기서는 비행대대가 3개 이상인 경우를 기준으로 한다.[3] 1개 비행대대의 병사 수는 '''육군의 1개 분대 정도'''밖에 안 된다.[4] 2010년대 후반부터 병력 부족으로 기보 2개-기갑 1개중대 또는 기보1개-기갑2개 중대로 개편 되었다[5] 제29전술개발훈련비행전대의 가상적기대대가 대표적인 사례다. 해당 부대는 전투기를 타 부대에서 조종사가 훈련 입소 때 몰고 온 것을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이다.[6] 화력지원장교 임무는 문서 참조. 이들은 평시 임무가 없어서 항상 겸직을 한다.[7] 경우에 따라 본부포대로 들어가는 일도 많다. 대체로 그럴 때는 측지반장으로 불리기도 한다.[8] 이 경우는 참모부 중 통신분과의 수장을 겸임하기 때문에 지휘자 견장을 달면서 참모업무를 수행하는 기이한 케이스이다.[9] 예비군 관리대대인 경우 각 동대에서 일하는 상근예비역들은 잘 모를 지언정 영내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은 전부 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