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가속 현상
1. 개요
가면라이더 드라이브에 나오는 현상.
로이뮤드들 고유의 특수 능력으로서 발동될 시 일정 범위 내에 있는 인간, 사물 등의 움직임이 극도로 느려지며 중력에도 영향을 미친다. 로이뮤드의 정체를 모르는 민간인들 사이에선 '흐리멍덩(どんより)[1] '이라 불리고 있으며, 글로벌 프리즈 이후 이것이 사회문제화 되자 경시청에서는 "중가속 현상"이라고 정식 명명하였다.
작중에서 중가속 현상은 권총에서 발사된 총알이 '''일반인의 육안으로도 확인될 정도로 느리게 움직인다.'''
2. 현상
작중 묘사로는 의식은 있는데 몸이 움직여지지 않아 곤란하다라고 표현하고 있으며, 시민들은 이러한 현상을 매우 두려워한다. 중가속 현상이 일어날 때 떨어지는 물건이나 쓰러지는 사람도 '''천천히 떨어지거나 쓰러지는''' 것을 보면 중가속 현상은 '''시간 또는 공간의 움직임(흐름)을 느리게 하는 현상'''이라는 걸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로이뮤드들처럼 중가속 현상을 일으키게 해주는 장치 '코어 드라이비어'를 내장한 드라이브 및 마하, 체이서 등만이 로이뮤드를 상대할수 있었으나 후일 대 로이뮤드용 탄환과 중가속 현상을 막는 장치가 보급되어 오히려 로이뮤드들이 인간들에게 반격당하는 신세가 되었다.
3. 초중가속
메딕에 의해 강화된 마진 체이서와 하트는 중가속을 뛰어넘은 '초중가속'이라는 기술을 쓸 수 있게 되었으며, 이건 중가속의 영향을 받지 않는 로이뮤드나 가면라이더들도 아예 몸을 못 움직일 정도로 강력한 중가속 현상이다. 현재 확인된 초중가속의 영향을 받지 않는 존재는 드라이브의 타입 데드히트와 포뮬러, 마하의 시그널 데드히트, 초중가속을 일으킬 수 있는 하트와 마진 체이서뿐이다. 그 외에 대해서는 나오지 않았다.
원작에서는 하트가 쓴 이후에는 단 한 번도 나오지 않았다. 사실 상술한 대로 드라이브도 타입 포뮬러부터 초중가속에서 움직일 수 있게 됐고 체이스도 초중가속을 사용할 수 있는지라 큰 무기가 될 수 없게 됐기 때문인 듯. [2]
4. 기타
- CG 사용량이 상당하기에 초반부터 우려의 목소리가 컸으며, 결국 에피소드 14에서 재생속도를 느리게 하는 대신 그냥 배우가 느릿느릿하게 움직이는 걸로 표현한 적이 있는데 엄청 어색해졌다.[3] 허공에 정지해버린 걸 연기하는 배우의 다리가 복날 두들겨맞은 개마냥 덜덜덜 떨리는 것이 참으로 압권. 이후 중가속 연출은 다시 CG를 사용했다.
- 에피소드 46의 제 2 글로벌 프리즈가 시작되는 부분에서는 CG를 많이 사용하지 않고 배우가 직접 모든 동작을 멈추는 방식으로 표현했다. 작중 상황과 연출면에서 이 방법은 어색함 없이 좋은 중가속 연기가 되었다.
- 클락 업과의 차별화를 위해 신경썼다고 한다. 실제 클락 업은 나만 빠르게 한다면 중가속은 나만 빼고 다 느리게로 차이가 난다. 비슷하지만 지향점이 다른 두 능력이 맞붙으면 어떤 일이 일어날지는 불명.
- 이후 가면라이더 지오에서 어나더 드라이브가 사용했을 때 무려 클락 업과 호각 이상인 게이츠 리바이브조차 느려지고 시간 정지까지 상쇄시키는 묘사가 나온다.[4] 이걸로 중가속이 속도계 능력의 천적으로 재평가받게 되었다.[5][6]
[1] 한국판에선 '''슬로잉(Slowing)'''[2] 마하는 데드히트로 초중가속에서 '겨우 움직이는' 정도다.[3] 그나마 단순 빨리감기로 처리했던 카부토도 최대한 어색해보이지 않게 적당히 소규모의 CG를 곁들여 해결했었는데 드라이브는 그러지 않았다.[4] 아무래도 중가속이나 시간정지나 자기 이외의 것을 느리게(혹은 정지) 만드는 것이니 매커니즘이 동일해서 가능한 모양.[5] 실제 마하와 파이즈 액셀의 스피드가 동급으로 나와 논란이 있는데, 마하는 중가속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에 이때 중가속 현상을 일으킨 거라면 설정 오류가 아니게 된다.[6] 워즈 긴가 파이널리는 중력을 다루기 때문에 예외적으로 카운터가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