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통

 


仲長統
(180 ~ 220)
1. 소개
2. 창작물에서


1. 소개


자는 공리(公理).후한 말, 삼국시대 위나라의 인물.
산양 고평 사람으로 어려서부터 배움을 좋아해 모든 종류의 서적을 두루 읽었으며 문장력이 뛰어났다. 주와 군에서 불러도 병을 핑계로 나아가지 않기를 거듭했으며, 평소에 '무릇 제왕을 따라다니는 자들은 입신양명을 위해서 그리하는 것인데, 이름은 영원한 것이 아니며 사람이란 태어나면 쉽게 죽을 따름이다. 한가로이 노닐며 휴식하면서 스스로 즐기고, 맑고도 넓은 곳을 골라서 살며, 이와 같은 자신의 뜻을 스스로 즐겨야 한다.' 라고 생각하는 등 자유분방한 인물이었다.
성격이 호방하고 솔직해서 직언을 잘하였으며 사사로운 일에 얽매이지 않았으므로 광생(狂生)이라 불렸으며, 20살 때 청주, 서주, 기주, 병주 등에서 유학했다.
중장통이 고간의 영지를 지나게 되면서 고간이 직접 찾아와 중장통을 예우했는데, 중장통은 고간에게 거대한 야망이 있지만 그에 맞는 재능이 없고, 또한 선비를 좋아하면서도 가려 쓰지 못하니, 그렇기 때문에 항상 이를 경계해야 한다고 했다.
고간이 스스로를 뽐내는 성품이라 그 말을 듣지 않아 중장통은 그를 떠났으며, 순욱의 천거로 조조를 섬겨 상서랑에 천거되었다가 참승상군사가 되었다. 중장통은 역사와 현실을 논하면서 이에 대해 탄식해 창언(昌言)을 저술했다.
순욱의 천거로 임용된 인물들 가운데 커다란 정치적 성공을 거둔 인물이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중장통은 관료로서의 행적이 두드러지진 않은 편이다. 그러나 40세에 사망한 것치고는 상당히 왕성한 저술활동을 한 것으로 보이는데, 창언은 총 34편 10여만 자에 해당하는 분량으로 전해진다. [1] 창언을 포함하여 중장통의 글은 대부분 소실되었고 그 일부만 후한서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천도(天道)보다 인간사가 더욱 중요하며 인간사가 근본이 되고 천도는 말단에 불과한 것이라고 이야기하는 등 당시로서는 상당히 파격적인 탁견이 포함되어 있다.
낙지론이라는 명문으로도 유명하다. 자연 속에서 여유롭고 편안한 삶을 즐기는 것을 찬미하는 글으로, 도가 사상의 영향이 강하게 묻어난다.[2] 낙지론은 '어찌 제왕의 문에 듦을 부러워하랴(豈羨夫入帝王之門哉)?' 라는 대목으로 끝맺는데, 세속적 출세보다는 개인의 평안과 행복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드러내고 있으며 중장통의 삶이 그대로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시인 신석정의 시 <대바람 소리>에도 낙지론이 중요한 소재로 등장하는 등 문인들에게 영감을 주는 한편, 동양과 한국의 여러 산수화에서도 낙지론을 표현하는 등 다방면의 예술에도 영향을 미쳤다. 후한 시대에서 위진남북조시대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난세에 진절머리가 난 지식인 계층이 종래의 유학을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도가 사상과의 융합을 시도하거나, 현실 도피적이고 탐미주의적인 경향을 드러내는 모습이 관찰되는데, 중장통의 낙지론 역시 같은 맥락으로 해석할 수 있을 듯하다.[3]
후한서는 왕충, 왕부, 중장통 셋의 열전을 묶었는데, 세 사람 모두 기존의 유학을 비판적으로 해석한[4] 체제비판적 지식인이라는 공통점이 있다.

2. 창작물에서


[image]
삼국지 14 일러스트
삼국지 시리즈에서는 삼국지 14부터 등장하고 능력치는 통솔 8, 무력 19, 지력 60, 정치 69, 매력 46이며 일러스트는 붓을 든 채 종이에다가 글씨를 쓰고 있다. 개성은 인맥, 학자, 주의는 예교, 정책은 태학 Lv 2, 진형은 정란, 전법은 없고 친애무장은 상림, 혐오무장은 없다. 생년은 181년, 몰년은 220년까지 되어있다. 왕성한 저술을 남긴 학자였음에도 낮은 능력치의 잡문관으로 나와서 아쉬움을 준다. 기본적으로 전쟁이 주가 되는 삼국지 게임 특성상 뛰어난 학자라는 점을 지력이나 정치, 매력 능력치로 반영하기가 참 어려운 까닭에 능력치가 낮게 책정된 모양. 신장의 야망 시리즈 역시 유독 유학자 능력에 인색한 경향이 있는 만큼, 게임 시스템의 피해자인 것으로 보인다.
소설 비열한 성자 조조에서는 순욱이 천거하긴 했지만 창언이라는 글로 인해 조조가 그를 한낱 백면서생이라 여길 것이라 여겨 중용하지 않았지만 자신처럼 천명을 부정했다는 점으로 인해 지기로 여겼다. 중장통은 자신을 인정해주고 중용해 준 조조에 대한 감사한 마음을 가졌지만 군왕과 권력에 대한 것이나 조조의 통치에서 잘못된 점을 꼬집자 중장통을 죽이지는 않고 쫓아낸다.

[1] 제자백가의 고전 중 분량이 긴 것으로 알려진 한비자 역시 10만 자를 넘고, 맹자는 약 3만여 자, 논어는 약 1만 5천여 자다.[2] '노자가 말한 허(虛)의 현묘함을 생각하며' 라는 구절이 직접 등장한다.[3] 낙지론이 쓰인 시기를 순욱의 천거를 받아 상서랑으로 임관하기 이전이라고 상정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렇다면 하안 등에 대해 시간상 앞선 것이 된다.[4] 특히 전한 이후 정치권력과 결합하여 사상계에서 상당한 권위를 누렸던 동중서의 천인감응설에 반대되는 견해를 드러냈다는 공통점이 있다. 왕충과 중장통의 주장은 동중서와 커다란 차이점이 있으며, 왕부는 이들에 비해 덜하지만 동중서보다 인간의 의지를 더욱 중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