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장집

 

1. 개요
2. 상세
3. 주의 사항


1. 개요


[image]
주로 항구에 딸린 수산시장, 낚시터, 기타 해변의 관광지 등지에서 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음식점. 초장은 초고추장을 의미한다. 지역에 따라서는 양념집이라는 이름으로도 부르며 양념집으로 검색하면 이 항목으로 넘어온다.

2. 상세


일반적으로 대형 수족관과 횟감들을 보관하고 있는 횟집과 달리, 초장집에서는 생선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므로 판매도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즉 회 뜰 생선은 손님이 사오든 잡아오든 직접 초장집으로 들고 와야하고 초장집은 그 생선을 요리해주고 차려주는 서비스만 제공하는 것.
설명만 들으면 그냥 초장만 딸랑 내주는 곳 처럼 보일 수 있다. 고객이 횟감만 가져온다면 회를 먹을 자리 제공 및 회뜨기, 주류등의 음료, 쌈채소 및 초장, 회 부산물을 이용한 매운탕 식사차림까지 제공한다. 때문에 이런 초장집은 주위에 수산시장이 형성되어 있거나 낚시터가 있는 곳에 자리 잡으며, 생선을 파는 업소와 초장집이 붙어 있는 경우도 많지만 같은 업소가 아니고 업주가 다른 경우가 많다. 쉽게 비유하자면 병원과 약국 같은 공생 관계. 보통은 점포와 초장집이 서로 제휴가 되어 있어 생선을 사면 어느 식당으로 올라가라고 말을 해 준다.
쉽게 말해 테이블을 놓을 공간이 없어 활어만 파는 생선가게에서 구입한 생선 또는 개인이 낚시한 횟감을 초장집에 와서 회로 만들어달라고 부탁이라 보면 된다.
따라서 초장집은 아무런 주문을 받지 않더라도 1인당 자리값을 받는다. 활어 횟집에서 회를 떠 와서 초장집에 자리잡고 아무것도 시키지 않고 회만 먹는다면 초장집은 수익이 없으므로. 때문에 생선만 갖고오면 일반 횟집의 메뉴와 비교하면 확실히 부담이 덜하다. 지역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보통 회 한상에 1인분 1~2천원, 매운탕 한솥에 5천원 정도. 수산 시장에 딸린 초장집의 경우 낚시터와는 달리 생선을 파는 개별 업소에서 회까지 떠 주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이렇게 생선을 장만까지 해 오는 경우는 좀 더 편의를 봐 주기도 한다. 따로 생선 손 댈 필요 없이 회만 차리고 매운탕만 끓여내면 되니깐. 물론 업소 특성상 매운탕과 튀김 외 다른 특별한 메뉴는 없고, 초장과 된장에 상추 마늘 등 채소가 나오고, 연두부나 삶은 메추리알 정도 나오고 회와 매운탕 코스로 끝. 가끔가다 잘 차린 곳에서는 삼겹살같은 것도 시킬 수 있다.

3. 주의 사항


수산시장과 마찬가지로 일부 악덕 업소에서는 소비자를 기만하는 행위를 대놓고 한다. 회 바꿔치기가 대표적인데 도미회를 떠 갔는데 매운탕에 도미 아닌 우럭대가리만 들었다든지, 활어 집에서 뜬다고 한 회 대신 양이나 질, 자연산 대신 양식산, 심지어 아예 어종이 다른 회가 초장집으로 가는 일이 있다.
사실 대부분의 초장집에서 매운탕거리 부산물을 각 손님별로 꼬리표 붙여서 따로 보관하긴 힘들고, 한데 모아두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각 손님이 가져온 매운탕거리가 섞이거나 바뀌는 일 자체는 어지간한 가게에서는 비일비재한 일이다. 다만, 정상적인 가게라면 바뀌든 섞이든 손님이 손해보지 않게 하는 것을 철칙으로 한다. 양이든 질이든 손님이 가져온 것보다 더 낫게 주면 상관없지만, 못하게 주면 손님이 열받는다는 것. 그리고 어차피 매운탕 안 먹고 가는 손님들 몫의 서더리는 남기 때문에 가져온 것 이상으로 맞춰주기가 그리 힘든 일도 아니다. 말하자면 나는 광어하고 우럭 떠 왔는데 내 매운탕에서 왜 도미 대가리가 나오냐고 항의(...) 하는 손님에게는 "그럼 님꺼라고 이름표 붙여놓을 줄 알았음? 걍 드리는대로 쳐드셈" 하고 웃어넘길 수 있지만 도미를 떠갔는데 왜 우럭 광어 대가리만 나오냐고 화내는 손님한테는 싹싹 비는 수 밖에 없다.(...)
일반인이 회 떠 놓으면 어종을 잘 구별하지 못하고, 양이 좀 줄어들어도 알아보기 어렵다는점과 물고기 팔고 회 뜨는 활어집에서 초장집까지는 소비자가 직접 회를 들고 가지 않는다는 것을 악용하는 것. 그걸 막으려면 "어느 어느 초장집으로 가서 기다리고 있으라"는 말에 우루루 가 있을 게 아니라, 한 사람은 남아서 회를 다 뜰 때까지 기다려서 직접 들고 가는 수밖에 없다. 인원이 많을 때는 공깃밥 갯수나 초장집에서 추가 주문하는 새우튀김이라든지 별도 메뉴 가격, 수량을 속여먹는 경우도 있다. 인터넷에서 "초장집 바가지" "노량진 바가지" 같은 검색어로 사례를 찾아 보자.
수산 시장 바가지 피하는 방법을 잘 정리한 글. 이 쪽에서는 유명한 블로거이다.
회식이 있어 여러 명이 들어갈 자리가 필요하거나 바닷가에서 분위기를 즐기고 싶다면 이런 초장집도 나쁘지 않지만, 회 자체가 목적이라면 사실 불필요한 비용을 많이 내게 된다. 일단 상차림 비용부터 반드시 내야 하고, 아무래도 술이나 음료를 주문하게 마련인 데 편의점이나 마트에서 사는 것보다 훨씬 비쌀 수밖에 없다. 이건 초장집 입장에서 수익을 내기 위해 어쩔 수 없는 부분이지만 소비자에게는 결국 돈 낭비.
예를 들어 네 명이서 5만 원 어치 회를 떠서 초장집에 가면 (자릿값 3,000*4=12,000원) + (매운탕 5,000원)+(소주 5,000*2=10,000원)+(음료 3,000원) +(공깃밥 2,000*4=8,000원) = 합 88,000원이 나오게 된다. 추가로 채소나 튀김 등을 시키면 십만 원이 훌쩍 넘어간다. 그리고 이건 평소 시세고, 성수기 행락지에서는 자릿값을 확 올려 받거나 추가 메뉴 가격을 올려 받으므로 먹고 나서도 그 창렬함에 씁쓸함을 갖고 가게를 나서게 될 것이다.
물론 확실히 집에서 먹는 것보다 편하고, 추가주문도 수월하기 때문에 그만한 장점은 있다. 게다가 생선을 낚시 등으로 입수하는 경우에는 당연히 초장집의 효율이 월등하다. 선택은 알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