츠쿠모 벤벤/스펠카드
1. 동방휘침성
1.1. STAGE 4
[image]
1.2. EXTRA STAGE
[image]
2. 탄막 아마노자쿠
[1] 平曲: 헤이쿄쿠. 비파 연주를 하면서 듣는 일본 낭송 문학의 일종. 맹인인 비파 법사가 널리 퍼뜨렸으며, 그가 읊었던 헤이케모노가타리의 멜로디 및 연주 양식을 가리키기도 한다. 헤이케모노가타리의 구비전승판 제본 중 하나가 야사카(八坂)계 제본이다. 헤이쿄쿠야사카계 제본[2] 기원정사(祇園精舎): 일명 기수급고독원(祇樹給孤獨園). 이는 기타의 동산에 수달(須達:給孤獨長子)이 지은 승원이라는 뜻인데, 급고독장자란 고독한 이들에게 보시를 많이 한 부자라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이다. 석가 45년의 교화기간 중 가장 오랜기간 머문 곳이 이 곳이다. 석가와 출가한 승려들이 설법하고 수도할 수 있도록 수달이 건립하여 기증하였다. 7층의 대가람으로 자못 웅장하였다고 하는데, 당나라의 승려 현장이 그 곳을 순례하던 때는 이미 황폐했다고 전한다. 그곳의 죽림정사(竹林精舍)와 함께 2대 정사로 일컬어졌다. *[3] 기원정사의 종소리는 제행무상이라고 울리는 듯 하다. 사라쌍수의 꽃 색깔은 융성한 사람은 반드시 쇠망한다는 이치를 나타낸다. 거만한 사람도 오래 버티는 것은 아니다. 그저 봄밤의 꿈처럼 덧없다. 용맹한 자도 결국은 쇠멸하고 만다. 마치 바람에 날리는 먼지와 같다(祇園精舎の鐘の声、諸行無常の響きあり。紗羅双樹の花の色、盛者必衰のことわりをあらはす。おごれる人も久しからず、ただ春の夜の夢のごとし。猛き者も遂にはほろびぬ、ひとへに風の前の塵に同じ。) - 헤이케모노가타리의 서두에 나오는 문장. *[4] 귀 없는 호이치(耳無し芳一): 괴담의 주인공인 호이치(芳一)는 맹인 비파법사로 비파를 잘 켜기로 유명했다. 그는 헤이케모노가타리를 연주하는 데 뛰어났으며, 특히 단노우라 전투(壇ノ浦の段)부분은 '귀신도 눈물을 흘릴 정도로' 대단한 경지였다고 한다. 어느 날 헤이케의 망령들에게 초대되어 비파 연주를 들려준 이후로 호이치는 밤마다 몰래 망령들에게 연주를 들려주러 나간다. 그가 머무르던 절의 주지가 이 사실을 알고 호이치가 망령들에게 끌려가 죽지 않도록 그의 전신에 반야심경 구절을 썼는데 동자승이 양쪽 귀에도 구절을 적는 것을 깜빡해 호이치를 데리러 온 망령이 그의 두 귀를 가져가고 만다. 귀 없는 호이치 괴담耳なし芳一[5] 단노우라 전투가 벌어졌던 바닷가에 남아 있던 헤이케의 원령들은 배를 침몰시키거나 사람을 물 속으로 끌어들였다고 한다.[6] Double Score: 점수를 내는 구기종목 경기 등에서 한 쪽의 점수가 상대 점수의 배가 되는 점수를 가리킨다. 한편 double과 score를 따로 떼어서 보면, score라는 단어는 악보나 음악 작품이라는 의미도 가진다.[7] 정유리 세계(浄瑠璃世界)는 질병을 고치는 부처인 약사여래(藥師如來)가 있는 곳. 정유리(浄瑠璃)는 조루리라는, 일본의 낭송 이야기를 뜻하는 단어이기도 하다.[8] 악보(score)로 된 거미줄(web).[9] 야츠하시와의 합동 스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