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에트로 마스카니

 


'''Pietro Mascagni'''
(1863년 12월 7일 ~ 1945년 8월 2일)
1. 생애
2. 평가
3. 마스카니의 작품들


▲ 오페라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Cavalleria Rusticana) 中 간주곡(Intermezzo).
이탈리아오페라 작곡가.

1. 생애


이탈리아 중부지역인 토스카나주의 리보르노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빵집을 운영하는 사람이었는데 아들을 법조계로 나가게 해서 성공하게 하려 했지만 마스카니 본인은 오히려 음악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아버지와 다툰끝에 음악가의 길을 걷게 되었다. 이미 10대에 교향곡 C단조와 아베 마리아같은 종교음악을 작곡할 정도였다고 한다.
이후 1881년, 제사장(In Filanda)이라는 칸타타를 작곡해 밀라노에서 상을 받고 밀라노 음악원에서 폰키엘리 밑에서 배웠는데 이때 5살 선배 자코모 푸치니를 만나게 되었다. 그러나 1년만에 밀라노 음악원을 그만두고 순회 오페라단의 작곡자겸 지휘자로서 활동했다. 그러다가 이후 체리뇰라라는 곳에서 음악교사 일을 하며 정착한다.
마스카니 인생에 가장 중대한 시점은 1889년으로, 당시 이탈리아 오페라계를 이끌던 음악 출판사가 신춘문예같은 식으로 단막 오페라를 공모하는 대회를 열자 한편의 오페라를 작곡해 제출했는데 이것이 바로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였다. 이듬해(1890) 초연된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는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으며 전 세계적인 관심을 끌었다. 이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는 현재 베리스모 오페라의 효시이자 대표작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1]
마스카니는 이 처녀작의 대성공에 고무되어 본격 오페라 작곡가로 나섰으며 이후 14편의 오페라와 1편의 오페레타를 남겼는데, 아쉽게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이후에는 인상적인 작품을 남기지 못했다(..). 그의 오페라는 대부분 공연 초반에만 잠깐 관심을 끌다가 금세 묻혀버렸는데, 그나마 친구 프리츠(L'amico Fritz)나 일본을 배경으로한 이리스(Iris)가 이탈리아 밖에서 좀 알려졌을 뿐이다.[2]
게다가 말년에는 무솔리니를 지지하고[3] 적극적으로 파시즘에 동조하는 어리석은 짓을 저질렀다. 결국 1945년 4월 무솔리니 정권이 무너지자 마스카니도 무솔리니 지지자였다는 이유로 전재산을 몰수당하고 말았으며 가난과 실의에 빠진 마스카니는 무솔리니가 죽은지 몇달 뒤인 1945년 8월 2일 로마에서 쓸쓸한 죽음을 맞았다. 향년 82세.

2. 평가


전술한 것처럼 자신의 첫 오페라이자 대표작이 된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는 베리스모 오페라의 효시로 불리고 있으며 이 작품이 성공한 이후 비슷한 유형의 베리스모 오페라가 봇물 터지듯이 쏟아져 나왔다.[4] 당시 27살의 젊은 음악가 마스카니는 이 작품을 통해 잠재력을 인정받았지만 이 작품 이후에는 이렇다할 문제작을 내놓지 못하는 바람에 결국 베리스모 오페라의 대표주자의 자리는 5살 선배이자 친구였던 자코모 푸치니에게 내주어야 했다.
21세기 이후 클래식계는 잊혀진 작품의 발굴에 상당히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마스카니의 작품에 대한 발굴은 2010년 이후에도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이렇게 된 것은 그가 무솔리니를 지지했다는 전과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보다 더 본질적인 문제는 그의 작품 전반에 나타나는 매너리즘이다. 즉, 카발레리아의 성공 이후 그의 작품들은 천편일률적으로 이 작품의 작법을 답습하고 있으며 그 이상의 성취를 보여주지 못했던 것. 지속적으로 새로운 수법을 도입하고 음악적 실험을 추구했던 다른 유명 작곡가들과 달리 마스카니는 초반의 성공에 안주하면서 더 이상의 모험을 하지 않았던 탓에 그의 작품은 후기로 갈수록 오히려 작품성이 떨어지는 기현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나마 카발레리아를 제외하고 관심을 받았던 친구 프리츠나 이리스도 모두 초기에 속하는 작품들이며, 급기야 파시즘을 노골적으로 찬양하고 있는 마지막 오페라 네로네는 내용적으로나 음악적으로나 정말 눈뜨고 보기 힘든 망작이 되어 버렸다.
대작곡가가 될 수 있는 훌륭한 잠재력을 갖고 있었지만 여러 가지 이유로 포텐을 터뜨리지 못하고 결국 원 히트 원더 작곡가에 머물러 버린 안타까운 케이스라고 볼 수 있다.

3. 마스카니의 작품들


  • 교향곡 C단조 (1879)
  • 바이올린을 위한 멜로디 (1880)
  • 교향곡 F장조 (1881)
  • 플루트, 바이올린, 피아노, 첼로를 위한 사랑의 노래 (1882)
  • 피아노곡 '농부의 노래' (1882)
  • 4중주를 위한 왈츠 (1887)
  • 영광의 미사(Messa di Gloria) F장조(1888)
  • 교향곡 F장조(1890)
  • 가곡 '해학' (1890)
  • 오페라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1890)
  • 오페라 친구 프리츠(L'amico Fritz,1891)
  • 오페라 란차우(I Rantzau)
  • 오페라 구글리엘모 라트클리프(Guglielmo Ratcliff)
  • 오페라 실바노(Silvano),
  • 오페라 차네토(Zanetto)
  • 오페라 이리스(1898)
  • 관현악곡 '가보트 인형' (1900)
  • 오페라 가면(Le maschera)
  • 오페라 아미카(Amica)
  • 오페라 이사보(Isabeau)
  • 오페라 파리시나(Parisina)
  • 오페라 로돌레타(Lodoletta)
  • 오페레타 시(Si, 1919)
  • 오페라 작은 마라트(Il piccolo Marat)
  • 오페라 피노타(Pinotta),
  • 네로네 (1935) 흑역사

[1] 동시대의 작곡가 루제로 레온카발로는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의 성공을 보고 《팔리아치》라는 오페라를 작곡하지만 레온카발로도 팔리아치 이후 성공작을 내놓지는 못했다. 푸치니의 4년 선배인 카탈라니도 그렇다. 그는 푸치니에 필적할만한 5편의 오페라를 남겼는데, 죽기 불과 1년 전에 쓴 라 왈리'''만''' 기억되고 있는 정도다.[2] 친구 프리츠의 경우 마스카니 사후 미렐라 프레니루치아노 파바로티EMI에서 남긴 전곡반이 성공하면서 좀 관심을 받기는 했지만 대체로 카발레리아를 제외한 작품은 현재까지도 잘 연주되지 않고 있다.[3] 그를 지지하는 의도에서 만들어진 오페라가 바로 "네로네(Nerone)".[4] 베리스모 오페라에 대해서는 카발렐리아 루스티카나 항목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