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우메아
[image]
임시 명칭 2003 EL61이며 MPC 식별 번호가 붙은 이름은 136108.하우메아
'''하우메아'''(Haumea)는 2015년 7월 기준 5개의 왜행성 중 하나이며 대지와 출산, 풍요를 상징하는 하와이 신화의 여신 이름에서 유래했다.
2004년 12월 28일 미국 캘리포니아 공대 연구진이 먼저 발견하였다고 하지만, 공식 발표가 지연되는 동안 스페인 시에라네바다 천문대 과학자들이 2005년 7월 29일 발견 사실을 공개하면서 누가 공식적 최초 발견자인지 논란의 여지가 있다. 이게 좀 골때리는데, 발견은 캘리포니아 공대 연구진이 먼저 했으나 검토하려고 계속 지켜보고 있던 사이 스페인 쪽이 먼저 발표했던것. 물론 이런 경우에는 스페인 쪽이 최초 발견자가 되는건데, 문제는 스페인 쪽에서 자기네들도 발견한 다음에, 혹시나 해서 구글링하다 미국쪽 연구진 홈페이지에서 망원경이 가리킨 곳이나 아님 다음 학회 때 발표할 이 천체발견에 대한 논문 요약을 읽어봤다는 것. 그런 다음에 재빨리 발표를 한 것이다. 미국쪽은 발끈해서 스페인 연구진들이 사기쳤다고 하고, 스페인 쪽은 우연히 검색해서 좀 읽어봤는데 그리 미국 홈페이지에서 중요한 정보나 단서는 없었다고 맞서는 중. 결국 IAU는 스페인 시에라 네바다 천문대쪽을 발견자로 손들어 주었지만, 이름은 미국 연구진이 제시한 하우메아를 선택했다.
임시 명칭 2003 EL61이 부여되었다가 2008년 9월 17일 국제천문연맹에서 이 천체를 왜행성으로 분류하고 여신 하우메아의 이름을 따 명명한다. 세레스, 명왕성, 에리스, 마케마케에 이어 5번째 왜행성으로 등록된다.
직경 1,100~2,300 km의 타원형 천체로 수십억 년 전 다른 천체와의 충돌이 원인으로 추정된다. 대체로 이 정도로 큰 천체는 구형에 가까운 경우가 대부분이나, 하우메아는 약 '''4시간에 한 번 자전'''하는 덕분에 이렇게 늘어나게 되었다. 하우메아 여신의 자식 히이아카(Hi'iaka)[3] 와 나마카(Namaka)[4] 의 이름을 딴 두 개의 위성도 있는데, 이 또한 충돌 과정에서 떨어져 나간 조각이 위성으로 변하여 주위를 돌게 되었으리라 여겨진다. 하우메아족 천체 또한 같은 시기에 형성되었을 거라 추측된다.
최대직경으로는 왜행성 마케마케(1,400~1,500 km)보다 훨씬 크고, 명왕성(2,370 km)이나 에리스(2,326 km)에 달할 정도이며 지구(12,700 km)의 6분의 1에서 7분의 1 사이.
공전궤도는 약 43 AU,[5] 공전주기는 284.12년. 참고로 명왕성의 경우 각각 39AU 및 247.68년으로 4AU와 36.44년 정도의 차이를 보인다.
[image]
2017년 10월 11일에 네이처에 실린 논문에 따르면 이번 별 엄폐로 인한 크기 측정으로 하우메아의 실제 크기도 훨씬 큰 것으로 드러났으며 고리도 발견되었다. 고리는 하우메아의 중심에서 2,287km 떨어진 곳에 약 70km의 너비로 존재하며 하우메아가 3번 자전할 때마다 고리의 입자는 1번 공전하는 거리에 있다. 이 고리의 밝기는 하우메아 전체 밝기의 5%를 차지한다고 한다.
여담으로, 중국어권에서는 어원을 의역해서 '임신성(妊神星)'이라고도 불리기도 한다.
[1] 평균 거리가 2.6437AU인 소행성대 천체다. 궤도가 약 13.98°도 가량 기울어져 있다.[2] 평균 거리 2.209AU인 안쪽 소행성대 천체로 최대 1.925AU까지 가까워진다.[3] 사진의 우측 하단[4] 사진의 좌측 상단[5] 천문단위 ('''A'''stronomical '''U'''nit). 지구의 타원형 공전궤도에서 긴 반지름(1억 4959만 ≒ 약 1억 5천만km)을 1로 정한다. 즉 43AU는 태양-지구간 거리의 43배로 약 64억 5천만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