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 교육과정
1. 개요
1973년 2월 고시된 대한민국의 3번째 전면개정 교육과정. 중학교는 1973년 8월, 인문계 고등학교는 1974년 12월, 유치원은 1981년 12월 고시되었다. 고교 신입생기준으로 1977년부터 1983년까지 적용된 기간이다.
2. 교과 및 시수
2.1. 국민학교
2.2. 중학교
2.3. 고등학교
총론에서 설정한 교육목표는 다음과 같다.
대한민국 제4공화국 시기 작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우리는 조국 근대화를 조속히 성취하고 국토를 평화적으로 통일함으로써 민족적 중흥의 사명을 완수하기 위하여 거족적으로 유신 사업을 추진하여야 할 역사적 시점에 서 있다.
이러한 민족적 대업을 완수하기 위하여, 우리는 긍정적으로 사고하고, 능률적으로 행동하며, 국민의 지혜와 역량을 한데 뭉치고, 우리에게 알맞은 민주주의를 확립함으로써 주체적이며 강력한 국력을 배양하는 데 총력을 기울여야 한다.
따라서 이를 선도하고 뒷받침하기 위하여, 국가의 교육 이념을 바탕으로, 우리 나라 교육의 목표와 내용은 부단히 재검토, 개선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교육 과정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국민 교육 헌장 이념의 구현을 기본 방향으로 삼고, 국민적 자질의 함양, 인간 교육의 강화, 지식기술 교육의 쇄신을 기본 방침으로 하였다.
과목은 다음과 같다.
I 과목은 공통 필수 과목, II 과목은 과정별 선택 과목이다. 사회와 과학에서는 각각 2과목을 공통으로 배우고, 인문 계열은 사회의 나머지 과목을 선택 과목으로, 자연 계열은 과학의 나머지 과목을 선택 과목으로 배운다. 영어 II는 인문, 자연 계열은 모두 배우나 직업 계열은 배우지 않는다. 영어 외의 외국어도 마찬가지로 인문, 자연 계열은 1개를 선택해서 배우며, 직업 계열은 배우지 않는다.
실업·가정의 경우 남학생은 기술이 필수이고, 농업, 공업, 상업, 수산업 중 한 과목을 선택해서 배운다. 여학생은 가정, 가사 둘 다 필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