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 클럽

 



급한 분들은 8분 40초부터. 이쯤 되면 이 양반들은 인간이 아니다.[1] 숫제 좀 추운 날 맨몸으로 밖에 나온 옆집의 전직 특전사 아저씨를 보는 느낌.
1. 소개
2. 진행 방식
3. 왜 하는가
4. 관련 문서


1. 소개


남극점에 위치한 아문센-스콧 남극점 기지(Amundsen-Scott South Pole Station)에서 비정기적으로 열리는 대회. 이 대회의 규칙을 따라 미션을 완수하면 일명 '''"300 클럽"'''에 가입할 수 있는 자격을 얻는다. 여기서 300이라는 숫자의 뜻은 다름 아닌 화씨 300도로, 화씨 -100도와 화씨 200도의 극한의 환경을 알몸으로 연속으로 버텨내는 것. 이를 섭씨로 바꾸면 '''영하 73도와 영상 93도'''가 된다. 한 마디로 이건 미친 짓이다. 이런 조건 때문에 이 대회는 기지 외부 온도가 영하 73도가 되는 때에만 일시적으로 열린다고.

2. 진행 방식


  • 무조건 탈의한다. 팬티도 예외는 아니다.[2] 다만 양말과 신발은 허용한다. 당연히 발마저 바닥에 얼어붙어 걷지 못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 기지 내의 사우나 온도를 93℃(200℉)로 맞추고 10분 동안 알몸으로 버틴다.
  • 10분이 지나면 곧바로 -73℃(-100℉)의 기지 밖으로 뛰쳐나간다.
  • 기지 밖에서의 미션은 그 상태로 남극점을 돌고 오는 것. 용자라면 남극점 앞에서 알몸 인증샷을 찍을 수도 있다.
  • 남극점을 돌아서 기지 내 사우나로 무사히 돌아온다면 성공. 이 사람은 비공식적으로 300 클럽 가입자가 된다!
바깥 날씨가 어떠냐에 따라 난이도가 많이 바뀐다. 즉 밖에서 영하 73도가 되었다 하더라도 바람이 심하게 불면 체감온도는 그만큼 내려갈 수밖에 없고, 이건 정말 생명의 위협을 걱정해야 할 상황이 된다. 허나 아직까지 사상자는 보고된 바가 없는데, 급격한 온도 변화를 견딜 수 있는 튼튼한 사람만이 남극기지 대원으로 선발된다는 사실을 방증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참가한 사람들의 경험담을 한 블로그 포스트에서 인용한 바 있는데 이를 소개하자면...

'''"각목에 못을 박아서 온 몸을 구타하는 느낌이었다."'''

출처

그렇다고 한다(…).
참고로 남극점은 조금씩 움직이고 있는데, 매년 아문센 스콧 기지쪽을 향해 10피트(약 3m)씩 이동하고 있다. 실제로 처음 진행했을 때는 약 100야드(약 91m)를 달려가야 했지만 지금은 약 70야드를 달리면 된다고.

3. 왜 하는가


이렇게 놓고 보면 남극에 체류 중인 연구원들은 죄다 똘끼 넘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이들이 딱히 무슨 또라이인 건 당연히 아니고(...) 남극점 기지는 수 달 동안 밤을 경험하면서 외부와 완전히 단절되고 고립되는데, 그 동안 적당한 유희거리, 도전거리를 찾지 못해 안달이 난 연구원들이 이런 똘끼있는 이벤트를 기획한 것.
물론 참여는 개인의 의사에 달린 것이지만, 설령 참가를 하지 않고 관전만 한다고 해도 그 모습이 굉장히 우습기 때문에 장기간의 어두컴컴한 남극의 밤을 보내면서 겪는 우울증 등을 한번에 해소할 수 있다고 한다. 남극이란 특성상 연구원들이 받는 스트레스가 대단한데 몇 달 동안 해는 뜨지 않고 기온은 하루종일 영하 60~70도를 오간다. 게다가 과학 연구를 제외하면 개인적으로 가져온 이나 음악, 기타 취미 활동 용품 말고는 마땅히 할만한 소일거리도 없다. 이런 생활을 몇달 동안 하는데 모든 사람들이 정신적으로 멀쩡하다고 보장할 수 있을까? 이런 이벤트라도 하지 않으면 연구원들이 정말로 정신줄을 놓아버릴 수도 있을 테니 이해해주자.

4. 관련 문서


[1] 영하 73도에 찍은 것이고, 영상 초중반에 등 뒤로 지리학적 남극점 표지판이 보인다.[2] 이는 성기와 팬티가 얼어붙어 벗을 수 없게 되는 참사를 막기 위한 것.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