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mage][image]1. 개요
미해군이 사용중인
이지스전투 체계의 중심이 되는 대형 S밴드
비 능동형 위상배열 레이더이다.
위상배열 레이더이므로 빙빙 돌면서 빔을 쏘는 기계식 레이더와는 다르게 작은 소자들이 모여 하나의 레이더를 이루며 함교의 각 사방에 배치되어 360도를 감시할 수 있다.
매우 강력한 출력으로 방공 탐지 기준으로는 약 320km, 시스키밍 탐지 기준으로는 약 83km, 탄도미사일 탐지 기준으로는 약 925km 달하는 탐지거리를 자랑하며
[1] 이런 강력한 레이더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충분히 공급할려면 발전 용량이 매우 높아야 한다. 그러므로 탑재 가능 플랫폼도 최소 구축함급 이상이다.
이같은 탐지능력 때문에 함선용 전투 시스템 중 현재로선 유일하게
탄도 미사일 방어망 중 외기권 방어를 담당하고 있다. 함선용과 마찬가지로 지상배치형 이지스 체계에도 들어간다.
[2] 미군이 핀란드군에 제공하는 지상형 SM-6나 일본이 배치하려다 취소한 이지스 어쇼어가 그 예이다.
현재 미군은 AN/SPY-1 계열 레이더를 대체해 차기 레이더인
AN/SPY-6(V) AMDR 능동형 위상배열 레이더로 넘어가려는 중이다. 다만, AN/SPY-1은 이후에도
대한민국 해군이나
일본 해상자위대 등에서 추가로 주문하고 있고 지상형인
이지스 어쇼어용으로도 채택되고 있으며 또한 남아있는 미국의
알레이버크급,
타이콘데로가급 등 이지스함도 많기 때문에 완전 대체에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2. 파생형
[image]AN/SPY-1
| 이지스 전투 시스템, 시제형의 군함에 장착, USS Norton Sound(AVM-1)
|
AN/SPY-1A
| 타이콘데로가급 1번~12번함
|
AN/SPY-1B
| 타이콘데로가급 CG-59함 이후에 장비
|
AN/SPY-1D
| 알레이버크급, 공고급, 알바로 데 바잔급 전기형, 1B 형을 알버레이급에 맞게 경량화하여 개량한 버전이다. 송수신기를 1개로 줄인탓에 경량화는 성공했으나 총 4대의 이지스 레이더 중에 동시에 1면의 레이더만 가동시킬수 밖에 없는게 단점.
|
AN/SPY-1D(V)
| 알레이버크 Flight IIA, 세종대왕급, 아타고급, 알바로 데 바잔급 후기형, 호바트급에 탑재. 연안에서의 극심한 전파방해와 악천후등의 환경에서 연안전 탐색 능력이 강화되었고 송수신기를 2개로 늘려서 B형 레이다처럼 동시에 2면의 레이더를 가동시킬 수 있게 개량되었다. 그만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동시에 다가오는 목표물에 대한 탐지 추적과 대응 능력이 더 향상되었다.
|
AN/SPY-1F
| 유일하게 노르웨이 해군의 프리드요프 난센급에 탑재, AN/SPY-1D를 축소한 버전이다. 가만히 보면 유럽제 에이파 레이더와 유사하게 생겼다. 실제는 다른 모습이지만.
|
AN/SPY-1K
| 최소형 버전. 이스라엘의 AFCON 경구축함, 미국의 프리덤급 연안 전투함에 장착하려는 계획이 있었으나 모두 취소
|
3. 보유국가
AN/SPY-1 PESA 다목적 레이더 이지스함.
|
국가
| 이름
| 등급
| 배수량
| VLS
| 총 척수
|
미국
| 타이콘데로가급
| 이지스 순양함
| 만재 9,407 ~ 10,100 톤
| 122 셀
| 22 척
|
알레이버크급 플라이트 I ~ IIA
| 이지스 구축함
| 만재 8,315 ~ 9,200 톤
| 90 ~ 96 셀
| 62 척(+9척)
|
일본
| 공고급
| 이지스 호위함
| 만재 9,500 톤
| 90 셀
| 4 척
|
아타고급
| 이지스 호위함
| 경하 7,700 톤
| 96 셀
| 2 척
|
마야급
| 이지스 호위함
| 경하 8,300 톤
| 96 셀
| 2 척
|
대한민국
| 세종대왕급
| 이지스 구축함
| 만재 10,600 톤
| 128 셀
| 3 척(+3척)
|
스페인
| 알바로 데 바잔급
| 이지스 구축함
| 만재 6,400 톤
| 48 셀
| 5 척
|
노르웨이
| 프리드요프 난센급
| 이지스 호위함[3] 유일한 SPY-1F형 시스템을 장착한 방공 구축함.
| 만재 5,290 톤
| 8 셀
| 5 척
|
호주
| 호바트급[4](알바로 데 바잔급)
| 이지스 구축함
| 만재 6,250 톤
| 48 셀
| 3 척
|
4. 관련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