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FMI
1. 개요
Fat Free Mass Index. '제지방량지수'라고도 불린다.
BMI보다 좀 더 자세하게 몸 상태를 볼 수 있는 지수로, 몸의 구성을 따지지 않는 BMI와는 달리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을 고려하여 만들어졌다. 체지방률이 낮은 운동인들에게 비교적 잘 맞는 지수이다. 이 지수가 처음 도입된 것은 157명의 남성 운동선수[1] 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이다. 스테로이드 비사용자들은 대체적으로 FFMI 25 이하의 수치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2][3]
2. 계산식 및 분포
FFMI의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FFMI = lean mass(kg) / (height(m)^2) 여기서 lean mass는 지방량을 제외한 몸무게를 뜻한다. 즉 내가 70kg이고 체지방률이 20%라면, lean mass = 70*(100%-20%) = 56kg이다.그리고 이 사람의 키가 165cm이라면, 이 사람의 FFMI는 56/(1.65^2) = 20.56이다.
normalized FFMI 혹은 adjusted FFMI라 불리는 지수도 있는데, 이는 FFMI+6.3*(1.8-height(m))으로 정해진다. 즉 위 사람의 adjusted FFMI는 약 21.51이다.
미국의 25~69세, BMI 18.5~30 사이의 인구를 대상으로 한 FFMI 분포는 다음과 같다.[4] (adjusted FFMI가 아니다.)
도표를 보면 알겠지만 FFMI 22 수준이면 상위 5%이고 23이면 상위 1%에 속한다. 일반인 기준에서는 상당히 괜찮은 몸이라는 뜻.
2.1. 유명 체육인 FFMI
3. 비판
FFMI에 대해서도 여러 비판이 존재한다. 특히 FFMI>25이면 약물 사용이라는 공식에 대해서 반발이 심한 편이다.
- FFMI>25가 약물사용 기준이라는 연구에서 사용된 157명은 충분한 표본수를 확보했다고 할 수 없다.
- 수정 FFMI의 기준은 임의적이라 할 수 있으며, 특히 25가 '내츄럴'의 한계라는 해석은 잘못되었다.
- 지방이 많을수록 근육도 많은 편이므로 뚱뚱한 사람들이 유리하다.[8][9]
- 지방의 총량이 같더라도 지방이 어디에 주로 분포되었는가에 따라 겉으로 보이는 근육질이 다르게 나타난다.
- 지방 측정 방법이 갖는 실제 체지방률 오차로 인해 1~2 정도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10]
- lean mass는 지방을 제외한 몸무게이며, 이는 근육의 양을 직접 잰 것이 아니다.
4. 관련 항목 및 링크
- Fat-free mass index in users and nonusers of anabolic-androgenic steroids. (Kouri et al. 1995) (FFMI > 25이면 스테로이드 사용자로 의심될 수 있다는 내용의 근거가 된 연구논문.)
- FFMI로 스테로이드 사용자 및 비사용자 분류하는 예시.
- Another Look at the Fat-Free Mass Index (FFMI) 파트1파트2파트3: FFMI와 관련된 이슈를 폭넓게 다루는 시리즈. FFMI > 25가 절대적 기준은 아니나 실용적 기준은 될 수 있다는 견해를 제시한다.
- 유도하는 사람들의 경력별, BMI별, 체지방별, FMI별 FFMI 그래프#
- BMI
- BAI (body adiposity index, 체지방률을 측정하는 간단한 방법)
[1] 83명 스테로이드 사용, 74명 사용 안 함[2] 단 이것은 연구에 참여한 157명을 기준으로 산정한 것이므로, 전체 인구를 대표하는 완전히 정확한 기준이라 할 수는 없다. 실제로 스테로이드가 사용되기 이전에도 FFMI가 28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운동선수가 존재했다고 한다. 좋은 데이터에 기반한 통계는 아니지만 1939~1959년까지의 미스터 아메리카를 기준으로 하면 normalized FFMI의 평균은 25.4, 표준편차 1.5 정도로 알려져 있다. 즉, 대략 29.9(평균+3표준편차)가 최상급들 중에서도 상위 1%의 수준이라고 추정해볼 수 있을 것이다.[3] 스테로이드가 처음 상업적으로 시판된 것은 1935년 즈음 독일 쉐링사로부터였고, 값이 싼 아나볼릭 스테로이드는 1950년대 중후반에 퍼지기 시작했다. 소련의 경우에는 1940년대 말부터 스테로이드를 개발하여 운동선수들에게 사용했다. 테스토스테론과 아나볼릭 스테로이드의 역사[4] 참고자료: Stratification of fat-free mass index percentiles for body composition based on NHANES III bioelectric impedance data (Kudsk et al. 2016)[5] 2017 IPF World Classic Championship 우승자. 당시 스쿼트 470kg, 벤치프레스 242.5kg, 데드리프트 377.5kg를 기록했다.[6] 참고논문: Skeletal Muscle Mass and Architecture of the World’s Strongest Raw Powerlifter: A Case Study (Abe et al. 2018)[7] 후술하겠지만 체지방률이 높으면 FFMI는 급격히 올라가는 경향이 있다. 지방이 빠지면 25% 정도의 lean body mass가 줄어든다고 하는데(참고) 이렇게 되면 키 184cm, 몸무게 약 102kg, 체지방률 약 5% 가정시 FFMI는 약 28.6이 된다. 이 사람이 현재 인류 최강의 인간이라 할 수 있다는 점을 생각해볼 것.[8] 실제로 한 스모 선수의 경우 186cm에 181kg, 체지방률 33%로 FFMI는 무려 35.1을 기록했다. 참고논문: Upper limit of fat-free mass in humans: A study on Japanese Sumo wrestlers (Kondo et al. 1994)[9] 단 보디빌딩같은 경우 보통 체지방률을 저렇게 높이 가져가지 않으므로 이 문제는 비교적 덜하다. 일반적인 '몸 만들기'를 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10] 논문의 저자들이 사용한 방법은 약 3.4%p 정도의 오차를 보이며, 만약 3%p 오차가 발생했다면 FFMI는 약 0.8 정도 상승한다. 이는 생각보다 중요할 수 있는 수준의 오차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FFMI 논문 반박 링크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