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DN
1. 개요
'''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
종합 정보 통신망
기존의 공중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공중전화선 말고, 일반 대중이 사용하는 전화망.) 인프라에서 고속의 디지털 통신을 하기 위한 통신 규약이다.
2. 특징
기존에 깔아 둔 구리선 기반의 전화 인프라, 즉 두 가닥의 구리선으로 최대 128kbps라는[1] 통신 속도를 낼 수 있는 규약으로, 기껏해야 56kbps(7KB/s)가 고작인 모뎀을 대체하는 고속 규격이다.
ISDN에는 BRI(Base Rate Interface)와 PRI(Primiary Rate Interface)가 있는데, BRI의 경우 2개의 B채널과 1개의 D채널을 사용한다. B채널은 데이터 전송을 담당하며 D채널은 제어 정보나 시그널 전송등에 사용된다(16Kbps)
B채널은 1가닥당 64Kbps의 대역폭을 가져서 데이터 대역폭으로 BRI는 64Kbps*2로 128Kbps의 속도가 나오게 되며. 총 대역폭은 144Kbps(18KB/s)까지 나오게 된다.
3. 역사
대한민국에서는 1990년에 시범개통했고 1993년 한국통신(현 KT)에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당시의 PC통신 속도가 고속이라고 해도 최대 14.4Kbps, 28.8kpbs였고, 실제 속도는 이에 못미쳤는데 당대기준으로는 저화질이나마 동영상 감상이나 화상연결도[2] 가능할 정도로 초고속으로 빨랐다.[3] 그러나 한국통신에서 ISDN에 대해 광고를 별로 안해서 알려지게 된 시기가 늦었고, 무엇보다도 요금이 비쌌기에[4] 돈이 많은 사람이나 전문가, 사무용으로 쓰는것이 아니라면 ISDN을 쓰는것은 매우 부담이 갔고, 정액제 적용도 안되었으니 보급은 언감생신이었다. 그러다가 1999년부터 등장하기 시작한 두루넷, 케이블인터넷, 하나로통신(현 SK브로드밴드) ADSL의 10Mbps에 육박하는 초고속+월 3만원대의정액 요금에 밀려 개인 시장에서는 조용히 사라졌다.
반면에 일본과 독일에서는 ISDN을 꽤 오래 썼는데 기본망을 ISDN으로 깔아놓았기 때문이었다. 업무용으로 이미 1980년대 말부터 쓰이기 시작했었고, 가정용으로도 꽤 오랫동안 쓰였다. 그러나 1990년대 후반 ADSL의 시대가 열리면서 결국 인터넷 인프라 수준을 한국에게 따라잡혔다. 미국에서도 꽤 오래썼는데 그 때문에 이들 나라가 한국보다 1인당 국민소득이 훨씬 우위였음에도 FTTH 시대 이전까지 인터넷 속도가 한국보다 느리게 된 원인이 되어버렸다.
[1] 킬로비트/초이며,바이트로 하면 16KB/s이다.[2] 1990년대 개표방송이나 특집방송 등에서 ISDN 인터넷망을 이용해서 화상통신을 하는 장면들을 볼수있다. 그러나 속도문제상 화상통화는 고화질로 매끄럽게 되는것이 아니고 저화질이라서 화질구지는 당연한것이었고, 각 방송사에서 90년대 중반부터 인터넷 생방송 및 인터넷 다시보기 서비스 등을 제공하면서 이때부터 실시간 TV보기가 가능해졌지만 ISDN 속도 문제상 고화질은 아니었다. 지금은 홈페이지 개편으로 사라졌지만 KBS 여러 뉴스프로그램과 시사프로그램 다시보기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2005년 이전 방송분을 시청한다면 당대 동영상 화질이 어떠한지 체험해볼 수 있었다. [3] 물론 고화질(이라고는 해도 480p) 동영상은 한번 시청하려고 해도 무한 버퍼링을 보는 것이 흔할 정도로 당시로서는 매우 힘든 일이었다.[4] ISDN도 종량제였으며, 도수당 요금은 당연히 전화선보다 비쌌다. 거기에 64kbps 채널 두 개를 쓰면 요금도 두 배이다. 1997년에 서비스된 야간/할인시간정액제는 필수였지만 ISDN 정액제 서비스는 99년에 서비스가 되고 그전까지는 01414 코넷망을 이용해야만 했다. 2000년에 ISDN(014XY)종일요금제가 도입되었지만 이미 ADSL 등 초고속인터넷이 확산되기 시작해서 때는 이미 늦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