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2. 용례
3. 비슷한 겹자음
4. 인터넷 은어

''''''
이름
비읍시옷
분류
겹받침
음성
종성
[1]
종성 앞
p̚.s˭[2]
p̚.ɕ˭[3]
자음동화
m[4]
[clearfix]

1. 개요


현대 한글 겹받침 가운데 하나. 중세 한국어에서는 초성에도 쓰였으나, 지금은 종성에만 쓰인다.

2. 용례


용례는 '읊다', '읊조리다' 둘뿐인 '' 정도보다는 많지만 이것들과 마찬가지로 지극히 적은 편이다. '값'과 '없다', '가엾다' 이 3가지뿐. 더구나 7가지의 용례가 있는 ''[5]보다도 적다. 다만 '값'도 상당히 자주 쓰이는 단어이고, '없다'는 하루에 살면서 안 쓰는 날이 '''없'''을 정도로 워낙에 많이 쓰이는 단어인 데다가 '재미'''없'''다'처럼 ''''없'''다'가 포함된 합성어도 많다 보니 용례가 적은 게 잘 느껴지지 않는다(관련 내용은 언어의 사회성 문서로).
'가엾다'는 특이하게도 '가엾다'와 '가엽다'가 모두 복수 표준어로서 인정됐다. 이 경우 '가엽다'는 어간이 'ㅂ'으로 끝나는 단어들이 많이들 그러듯이 순경음 비읍()의 흔적인 'ㅂ' 불규칙 용언으로, 활용될 때 '가여운', '가여워' 등 'ㅜ' 꼴로 바뀌어 활용된다. '가엾다'는 '가엾은', '가엾어서' 등으로 규칙적으로 활용된다. 관형사형이 '가엾'''는''''이 아닌 '가엾'''은''''인 것이 ''''없'''다'의 관형사형이 예외로 ''''없''''''은''''이 아닌 ''''없''''''는''''인 것과는 다른 점. ''''없'''다'가 포함된 대부분 어휘도 마찬가지로 예외이다.
자음 앞이나 어말에서의 발음은 /ㅂ/.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어미가 이어지면 /ㅂ/ 받침 다음에 /ㅆ/ 소리가 이어진다. ''''없'''다'가 워낙 자주 쓰이는 단어라서 ''''없'''을', ''''없'''이' 등을 설령 적기는 잘못 적더라도 /어블/, /어비/ 등으로 발음하는 사람은 거의 '''없'''을 것이다.[6] 사실 그렇게 발음하면 '업다'하고 헷갈리는 탓도 있겠지만.
한글 초기에는 초성으로 쓰였다. 어쩌면 그리스어 프사이(Ψ/ψ)의 발음과 유사했을지도 모른다. ㅄ이 초성으로 쓰인 대표적인 예로는 'ᄡᆞᆯ〔米〕'. 현대에도 이러한 표기가 있었으면 '(읍)썰' 로 불렸을 가능성이 높다. '조+쌀', '찰-+쌀', '햇-+쌀'이 '조쌀', '찰쌀', '해쌀'이 아니라 '좁쌀', '찹쌀', '햅쌀'인 것도 '쌀'의 옛 형태가 'ᄡᆞᆯ'이었던 것의 잔재.
겹자음계에서는 좀 메이저했는지 ㅄ계 합용병서도 있다. 말 그대로 'ㅄ'을 끼고 여기에 자음이 하나 더 들어가는, 무려 세 자음이 합쳐져서 쓰이는 자음군으로 'ㅴ·ㅵ·ᄤ·ᄥ·ᄦ·ꥲ' 등이 있다. 이들 'ㅄ'계 합용 병서는 현대 한국어에서 단 한 개도 쓰이지 않는다. 된소리를 나타냈다는 설도 있는 ㅅ계 합용병서[7]와는 달리 'ㅄ'을 비롯한 ㅂ계 합용병서와 ㅄ계 합용병서는 정말로 표기된 자음을 다 발음하는 어두 자음군으로 보는 게 정설이다. 관련 논문. 하지만 조선 중기를 거치면서 사라졌다고 한다.

3. 비슷한 겹자음


순서가 바뀐 와는 다르다. ㅄ과 달리 위에 적혀 있는 데에서 알 수 있듯이 해당 글자는 초성으로 쓰이던 겹자음. ㅅ계 합용병서 참조.

4. 인터넷 은어


인터넷 은어로는 비속어(병신)의 초성을 자모로만 표현할 때 대개 이렇게 입력된다. 스마트폰 같은 데선 입력이 불가능 해서 'ㅂㅅ'으로 나와서 느낌이 다르다. 또한 '셊곖 쵮곲읪 횞삾 콦낪밊'와 '톲슶틊'처럼 특정 상대에게 비방할 때 문장의 글자 모두에 ㅄ받침을 넣는 언어적인 유희를 표현하는 데에 쓰이기도 한다. 문장의 글자가 모두 받침이 없어야 사용할 수 있어 사용 빈도는 낮다. 불만시대의 44화에서도 같은 방법의 언어유희가 등장했다. #[8]

[1] '''값'''[2] '''값'''을 매기다.[3] 구개음화. '''값'''이 없다[4] '''없'''는 것이다.[5] '곬', '물곬', '옰', '외곬', '통곬', '곬수채', '곬섶'. 본래는 ''도 있어서 8개였으나 '돌'로 바뀌면서 7개로 줄었다.[6] '닭을'과 같은 경우는 /다글/로 읽는 사람들도 생각보다 많다.[7] '사나이'의 옛 형태 'ᄮᅡᄒᆡ'와 같이 어두 자음군인 경우도 소수 있긴 하다.[8] 붋맓싧댋삷랑핿줊셟섧갊삷핣닚닧(불만시대 사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각 글자마다 종성의 글자가 미묘하게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