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特'''특별할 특
'''부수
나머지 획수'''

, 6획
'''총 획수'''
10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トク
'''일본어 훈독'''
-
'''간체자'''
-
'''표준 중국어 독음'''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3.1. 단어
3.2. 인명, 지명, 창작물
3.3.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개요


特은''' '특별할 특' '''이라는 한자이다. '특별하다', '뛰어나다' 등의 의미를 나타낸다.

2. 상세


[image]
特의 획순
[image]
特의 자형
(소 우)와 (절 사)의 합자이다. 회의자이다.
옛날에 관청에서 중대한 일을 결정할 때 보통 것보다 더 크고 힘센 소(牛)를 신의 제단(寺)에 바쳤는데, 그 소가 특별한 소라는 데서 '특별하다'를 뜻한다.
이 글자의 사용 빈도가 매우 높아서 크게 느끼지는 못하지만 ''' '특' '''이라는 음은 상당히 특이하다고 할 수 있다. 음을 '특'으로 가지는 한자는 慝(사특할 특), 忒(틀릴 특) 등 몇 개가 더 있지만 일상생활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유니코드는 U+7279에 배정되어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HQGDI(竹手土木戈)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6급으로 분류된다.

3. 용례



3.1. 단어


  • 독특(獨特)
  • 영특(英特)
  • 특강(特講)
  • 특공대(特攻隊)
  • 특권(特權)
  • 특급(特級, 特急)
  • 특기(特技)
  • 특단(特段)
  • 특별(特別)
  • 특산물(特産物)
  • 특색(特色)
  • 특성(特性)
  • 특수(特殊)
  • 특약(特約)
  • 특이(特異)
  • 특정(特定)
    • 특정인(特定人)
  • 특제(特製)
  • 특종(特種)
  • 특집(特輯)
  • 특징(特徵)
  • 특파원(特派員)
  • 특허(特許)
  • 특혜(特惠)
  • 특화(特化)
  • 특효약(特效藥)

3.2. 인명, 지명, 창작물


지명

'''창작물'''

3.3.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