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待'''기다릴 대
'''부수
나머지 획수'''

, 6획
'''총 획수'''
9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タイ
'''일본어 훈독'''
ま-つ
'''간체자'''
-
'''표준 중국어 독음'''
dāi, dài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상세
2. 용례
3. 모양이 비슷한 한자

[clearfix]

1.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한국어'''
'''훈''' : 기다리다
'''음''' : 대
'''일본어'''
'''음독''' : タイ
'''훈독''' : ま-つ
'''중국어'''
'''표준어''' : dài
광동어 : doi6
객가어: thoi, thai
민동어 : dô̤i[1] / dâi[2]
민남어 : tē[3] / tāi[4], tài[5]
오어 : de (T3)
'''베트남어'''
đại
유니코드에는 U+5F8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HOGDI(竹人土木戈)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6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뜻을 나타내는 (두인변)과 소리를 나타내는 (절 사) 자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기다리다', '대우하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2. 용례



2.1. 단어


  • 기대(期待)
  • 냉대(冷待)
  • 대기(待機)
    • 대기명령(待機命令), 대기소(待機所), 대기실(待機室), 대기자(待機者), 비상대기(非常待機)
  • 대령(待令)
    • 대령숙수(待令熟手)
  • 대망(待望)
  • 대명(待命)
  • 대우(待遇)
  • 대접(待接)
  • 대피(待避)
  • 대합실(待合室)
  • 박대(薄待)
  • 초대(招待)
    • 초대장(招待狀)
  • 우대(優待)
    • 우대권(優待券)
  • 응대(應待)
  • 접대(接待)
    • 접대부(接待婦), 접대비(接待費), 접대실(接待室)
  • 존대(尊待)
  • 천대(賤待)
  • 초대(招待)
  • 하대(下待)
  • 학대(虐待)
  • 홀대(忽待)
  • 환대(歡待)

2.2. 지명/인명




2.3. 고사성어/사자성어



2.4. 창작물



3. 모양이 비슷한 한자


  • (모실 시)
  • (때 시)
  • (시 시)
  • (가질 지)
  • (특별할 특)
  • (언덕 치)

[1] 백독[2] 문독[3] 백독[4] 문독[5] 문독, 交代 같은 일부 단어에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