待
[clearfix]
1.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은 다음과 같다.
유니코드에는 U+5F85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HOGDI(竹人土木戈)로 입력한다. 한자검정시험에서는 6급으로 분류되어 있다.
뜻을 나타내는 彳(두인변)과 소리를 나타내는 寺(절 사) 자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기다리다', '대우하다'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2. 용례
2.1. 단어
- 기대(期待)
- 기대치(期待値)
- 냉대(冷待)
- 대기(待機)
- 대기명령(待機命令), 대기소(待機所), 대기실(待機室), 대기자(待機者), 비상대기(非常待機)
- 대령(待令)
- 대령숙수(待令熟手)
- 대망(待望)
- 대명(待命)
- 대우(待遇)
- 부대우(不待遇), 최혜국대우(最惠國待遇)
- 대접(待接)
- 대피(待避)
- 대합실(待合室)
- 박대(薄待)
- 초대(招待)
- 초대장(招待狀)
- 우대(優待)
- 우대권(優待券)
- 응대(應待)
- 접대(接待)
- 접대부(接待婦), 접대비(接待費), 접대실(接待室)
- 존대(尊待)
- 천대(賤待)
- 초대(招待)
- 초대장(招待狀)
- 하대(下待)
- 학대(虐待)
- 홀대(忽待)
- 환대(歡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