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甘'''달 감
'''부수
나머지 획수'''

甘, 0획
'''총 획수'''
5획
'''교육용'''
중학교
'''신자체'''
-
'''일본어 음독'''
カン
'''일본어 훈독'''
あま-い, あま-える, あま-やかす
'''간체자'''
-
'''표준 중국어 독음'''
gān
* 기울임체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기울임체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획순
1. 개요
2. 자형
3. 용례
3.2. 고사성어·숙어
3.3. 지명
3.4. 성씨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부수
6.1. 부수 예
6.2. 나라별 부수명칭

[clearfix]

1. 개요


甘자는 달아서 좋다, 맛있다를 느끼는 것 또 맛이 단 것을 나타낸다.
글자의 자원은 입 안에 물건이 있는 모양의 지사자
유니코드는 7518에 배당되었으며, 한자검정시험4급으로 분류된다.

2. 자형


[image]
[image]
[image]
[image]
갑골문
금문
대전체
소전체

3. 용례



3.1. 단어


  • 감미(甘味)
  • 감수(甘受)

3.2. 고사성어·숙어



3.3. 지명



3.4. 성씨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廿(스물 입)

6. 부수



명칭 : 달감부
강희자전 안에 99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강희자전 안에 22자가 수록되었다.(49,030자 중)

6.1. 부수 예


추가 획
한자
기본자

4획

6획


6.2. 나라별 부수명칭


  • 한국 : 달감부
  • 일본 : あまい、かん
  • 미국 : Radical sweet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