甘
[clearfix]
1. 개요
甘자는 달아서 좋다, 맛있다를 느끼는 것 또 맛이 단 것을 나타낸다.
글자의 자원은 입 안에 물건이 있는 모양의 지사자
유니코드는 7518에 배당되었으며, 한자검정시험은 4급으로 분류된다.
2. 자형
3. 용례
3.1. 단어
- 감미(甘味)
- 감수(甘受)
3.2. 고사성어·숙어
3.3. 지명
- 간저우
- 경기도 하남시 감북동(京畿道 河南市 甘北洞)
- 경기도 하남시 감이동(京畿道 河南市 甘二洞)
- 경기도 하남시 감일동(京畿道 河南市 甘一洞)
- 경상북도 경주시 감포읍(慶尙北道 慶州市 甘浦邑)
- 경상북도 예천군 감천면(慶尙北道 醴泉郡 甘泉面)
- 대구광역시 달서구 감상동(大邱廣域市 達西區 甘三洞)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당감동(釜山廣域市 釜山鎭區 堂甘洞)
- 부산광역시 사상구 감전동(釜山廣域市 沙上區 甘田洞)
- 부산광역시 사하구 감천동(釜山廣域市 沙下區 甘川洞)
3.4. 성씨 감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廿(스물 입)
6. 부수
명칭 : 달감부
강희자전 안에 99번째에 수록된 부수로 강희자전 안에 22자가 수록되었다.(49,030자 중)
6.1. 부수 예
6.2. 나라별 부수명칭
- 한국 : 달감부
- 일본 : あまい、かん
- 미국 : Radical swe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