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병
高駢
? ~ 887년
1. 개요
당나라 후기의 절도사. 자는 천리(千里)로 조부는 원화 초기 당 헌종의 공신으로 남평왕에 봉해진 고숭문[1] 이다.
2. 초기 행적
유주(幽州) 사람으로 대대로 금군으로 사관하였는데 마침 당항강(黨項羌)이 배반하자 금병을 이끌고 출전하여 모두가 공이 없는 가운데 고병만 홀로 싸워서 지는 법이 없어 의종이 가상히 여겼다고 한다. 진주자사가 되었다.[2]
863년 2월(함통 4년), 안남도호총관경략초토사(安南都護總管經略招土使)가 되어 부임하였는데 이전의 폭정을 모두 거두어 질서를 바로잡고 수로를 뚫는 등의 민정을 살피며 백성들에 선정을 펼쳐 지금까지도 해당 지역에서는 고병의 이름이 남아 있다고 한다.[3] 남조가 안남을 노략질하자 성도윤, 검남서천절도사가 되어 이를 막아내니 866년(함통 7년) 10월의 일로 약 3년만의 일이다. 이에 임지를 옮겨 고병은 형남관찰사에 거쳐 절강에 있는 진해군절도사까지 역임하였으니, 북쪽과 남쪽을 막론하고 외적과 내란에 흔들리는 외방의 직임은 거의 모두 맡은 당말 혼란기의 구원투수 같은 존재였다.
왕선지가 형주, 양주를 함락하며 맹위를 떨치고 회남까지 엿보니 조정에서는 그를 회남절도사로 삼았다. 병마도통에 염철전운사까지 맡긴 것인데, 아무리 중앙이 막장이라 해도 절도사 하나에게 거의 독립국에 가까운 권력을 쥐어 준 셈이었다.[4] 처음에 부장 장린, 양찬 등을 부려 여러 차례 왕선지를 패퇴시켰으나 고병 또한 교만해져서 자신의 공로에 비해 대우가 박하다고 여기게 되었다. 결국 고병은 왕선지의 잔존병을 모아 세력을 회복한 황소가 마음대로 경사를 함락하도록 내버려 두었다.[5][6] 자신의 힘이 필요하면 굽히고 들어오지 않을까 하는 일종의 밀당을 한 셈인데 황소의 난이 결국 후임 제도행영도통인 왕탁에 의해 생각보다 빨리 수습되자 고병은 이때의 선택을 후회하게 되었다.
3. 말년
이때의 후회가 얼마나 심했냐면 구당서에는 '悔恨萬狀(회한이 만 가지 모습을 했다.)'이라고 칭할 정도였다. 결국 이 일로 인해 부하들의 배반이 잇따르고 고병 자신의 노망까지 겹치면서 의지처인 신선술에 깊게 빠지게 되었다. 당나라 황제들도 단약에 빠져 말년이 좋지 않았던 걸 보면 당시 신선술이 얼마나 개인에게는 위험하였는지 알 수 있는 대목. 하여튼 이렇게 폐인이 되어 버린 고병은 군무를 포함하여 모든 정무를 간신인 여용지(呂用之)에게 맡기다시피 하고는 도원을 건설하고 여용지가 천거한 제갈은, 장수일 등과 놀아나기 시작했다.
이때 부하인 병마사 필사탁(畢師鐸)과 여용지 사이의 분란이 커졌는데, 고병이 총애하는 여용지의 참언이 두려웠던 필사탁은 결국 반란을 일으켰다. 장신검, 정한장 등과 연합하고서 외부 세력인 선흡(宣歙)의 진언까지 끌어들인 초대형 반란을 수습할 능력이 여용지에게 있을 리가 없었고, 반란군의 함성 소리를 들은 말년의 고병이 여용지에게 그 까닭을 물어도 그는 이렇게밖에 말할 수 없었다.
말은 이렇게 해 놓고 정작 자기는 부적이 아니라 강한 병사들을 골라 뽑아서 본인을 호위하게 했다. 결국 나중에 성의 한쪽 모퉁이가 깨어지고 성 안에서 내응하자 두려워진 여용지는 고병은 나몰라라 하고 도망가고 말았다.잘 막고 있으니 걱정하지 마십시오. 제 말대로만 하셔야지, 행여 근심하기라도 하시면 현녀(玄女)의 부적이 헛수고로 돌아갈 뿐입니다.
4. 죽음 및 평가
고병은 필사탁이 성 안으로 들어온 것을 듣고 가만히 옷을 갈아입고 서로 절을 주고받으며 손님과 주인의 예로 맞이하는 등 의연한 모습을 보였다. 그리고 그를 절도부사로 삼았다. 하지만 고병의 부재로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나고 채주의 진종권의 동생 진종형의 부장 손유까지 치고 들어오자 견딜 수 없었던 필사탁은 결국 자신의 수중에 있던 고병을 죽이고 말았다.
고병이 죽고 나서 필사탁도 말로가 좋지는 않았다. 외부 세력을 끌어들인 댓가로 절도사를 진언에게 빼앗겼을 뿐 아니라, 소식을 들은 여주자사 양행밀이 주전충의 원군과 함께 재빨리 치소인 양주를 포위하고 만 것이다. 겨우 이를 뚫고 달아났으나 결국 손유에게 둘 다 죽임을 당하고 만다. 이후에 회남의 판도는 훗날의 오왕 양행밀에게 돌아간다.
황소의 난을 토벌하는 최고의 지위인 도통까지 오르고 회남을 아우르는 강대한 세력을 갖추고도 별다른 공적을 보이지 못하고 말년에 결국 실정으로 당나라를 안정시킬 기회를 놓쳤다는 점에서 삼국지의 유언과 비슷한 케이스라고 볼 수 있다.
5. 여담
- 고병이라고 썼지만 고변이라고도 읽는다. 중국어 발음은 '변(pián)'에 더 가깝다.
- 최치원이 빈공과에 급제하고도 강제 백수가 되어 빈둥거리며 박학굉사과를 준비하다가 결국 배고픔(?)을 견디다 못해 출사하게 된 것이 바로 고병의 막하였다. 계원필경을 보면 취직하고 나서 객사를 떠나 관사에 들어가 마음편해 하는 모습을 이곳저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여기서 그 유명한 토황소격문을 쓴다.
- 베트남에서는 역사 교과서에 실릴 정도로 꽤 유명한 인물이라고 한다. 베트남 위키백과에 따르면 까오브엉(Cao vương) 또는 까오따이위(Cao Thái úy) 정도로 불리는 듯 하다. '사왕(시브엉)'이라고 존중받는 사섭과 비슷한 위치라고 볼 수 있다.
[1] 헌종이 번진들의 세력을 약화시키고자 첫 번째로 검남의 유벽을 토벌할 때 공을 세웠다.[2] 신당서의 본기에 따르면 진주경략사.[3] 삼국지 사섭과 비슷한 케이스인데, 둘 다 베트남에서는 '왕'으로 칭해진다는 공통점이 있다.[4] 병권(병마도통), 수세권(절도사)에 염철, 호부, 전운 등의 재정권까지 관리로써 상상할 수 있는 대부분의 권한을 가진 것이다.[5] 이때 황소를 계속 공격할 것을 진언한 것이 필사탁, 그냥 내버려 두자고 구슬린 사람이 여용지였다.[6] 구당서 고병열전에 따르면 이때 조정에서 황소를 토벌해 달라고 사자를 보낸 것이 마치 수레의 덮개가 서로 바라볼 지경(冠蓋相望)이라고 했다. 답신을 들을 새도 없이 연이어 청할 정도로 급하다는 뜻이다. 결국 천자가 촉 땅으로 몽진할 정도였는데 고병은 오히려 이를 '손책의 삼분지계'로 삼았다고 쓸 정도면 꽤나 망상이 심했던 모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