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안보학

 

International Security Studies (ISS), 국제안보학
Security Studies, 안보학
Strategic Studies, 전략학
War and Peace Studies, 전쟁과 평화학
1. 개요
2. 명칭
3. 주제
4. 이론
5. 학과
6. 관련 분야
7. 관련 문서


1. 개요


'''국제안보학''' 또는 국제안보연구는 국제관계학의 분과이자 하위 학문으로 국제 체제 내에서 행위자들 간의 집단폭력을 부추기거나 혹은 억제하는 환경 및 요소가 무엇인지 분석하고, 범지구적인 범위 내에서 일어나는 모든 종류의 군사 활동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전쟁과 평화, 그리고 그와 관련된 국가 및 비국가 행위자들의 책임에 대한 가장 기초적인 질문에 답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2차 대전 이후 핵무기의 등장과 함께 전쟁의 위협이 극대화되자 이를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려는 목적에서 생겨난 학문이다. 따라서 초기에는 국가 간 외교분쟁이나 전쟁과 같은 전통안보 이슈만을 다루는 독립적인 학문이었지만 점차 국제관계학의 분과로 편입되었다. 최근에는 지구화 및 산업혁명의 영향으로 환경오염, 난민문제, 사이버 안보 등 그 해결에 있어 국가의 협력이 요구되는 초국적 난제, 즉 비전통 안보 문제 역시 다루는 학문으로 발전했다.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교 베리 부잔 교수가 그의 저서 The Evolution of International Security Studies (국문: 국제안보연구)에서 이 학문의 탄생 배경과 발전 과정을 다뤘고, 메사추세츠 공과대학교(MIT) 출판부가「국제안보」라는 학술저널을 출판해왔다.

2. 명칭


국제안보학은 다른 학문 분야에 비해 역사가 짧은 탓에 여러 명칭으로 불리지만, 국제정치학이 크게 국제안보와 국제정치경제로 나뉨으로 국제안보학 또는 국제안보연구가 올바른 명칭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일부 학자와 대학에서는 여러가지 편의에 따라 국제안보학을 단순히 안보학(안보연구)이나 전략학 혹은 글로벌 안보학(Global Security Studies) 또는 전쟁과 평화학(War and Peace Studies)으로 부르기도 한다. 하지만 안보학은 주로 국가안보(National Security)를 연구하는 분야이기 때문에 국제안보에 속하는 분야이며, 전략학과 전쟁과 평화학 역시 국가 간 전쟁을 연구하는 학문이기 때문에 국제안보학에 포함된다.

3. 주제


추가

4. 이론



5. 학과


외국과 달리 우리나라엔 '''국제안보학과'''라는 명칭으로 개설된 학과는 없다. 주로 정치외교학과외교학과 또는 국제관계학과에서 가르치는 전공 또는 전문과정 정도로 존재한다.
외국에서는 국제정치나 외교학 쪽에서 명망있는 대학에서 국제안보학과, 안보학과, 전략학과, 분쟁학과 등의 이름으로 관련 학과를 학부나 대학원에 독립적으로 개설해 운영하고 있다.
* 미국: 조지타운 대학교 안보학 석사과정; 조지 워싱턴 대학교 안보 정책학 석사과정; 예일 대학교 국제안보학 박사후과정(포탁) 및 연구과정
* 영국: 런던정치경제대학교 분쟁학 석사과정; 킹스 칼리지 정보·국제안보학 석사과정;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안보학 석사과정; 세인트 앤드류스 대학교 국제안보학 석사과정; 글래스고 대학교 안보·정보·전략학 석사과정 등
* 호주: 호주국립대학교 국제안보학 학사과정 및 전략학 석사과정; 시드니 대학교 국제안보학 석사과정; 맥쿼리 대학교 안보학 학사과정 등
* 캐나다: 요크 대학교 국제·안보학 준석사과정(Graduate Diploma)

6. 관련 분야


추가

7.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