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석과안록
1. 개요
金石過眼錄. 금석과안록은 조선 후기의 학자 추사(秋史) 김정희가 진흥왕 순수비 중 황초령비와 북한산비를 두 차례에 걸쳐 판독하고[1] 고증한 후 저술한 금석학 논문으로, 철종 3년(1852)에 완성하였다. 운연과안록(雲烟過眼錄), 또는 예당금석과안록(禮堂金石過眼錄)이라고도 부른다.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이 소장 중이다. [2]
2. 내용
이전까지 동아시아의 금석문 연구가 단순한 비문 수집과 문장을 옮겨적어 기록하는 것에 그쳤던 것에 비하여, 처음으로 과학적인 분석 ·검토 및 평가 과정을 거쳤다는 점에서 획기적인 저술로 평가받는다. 지금으로부터 150년 전에 고증학적인 형안(炯眼)으로 과학적인 논증을 펼친 것으로, 현대의 금석학 논문들과 비교해보아도 그 학술적 깊이가 결코 뒤떨어지지 않을 뿐더러 오히려 진흥왕 순수비 연구에 있어서 그 기준을 제시하고 확립한 선구자적인 연구라 할 수 있다. 특히 북한산 순수비의 경우는 현재 표면이 마멸되어 비문 가운데 해독이 안되는 부분이 많은데, 이를 해독하고 사라진 내용을 알아내기 위해서 이 저술에서 많이 참고하고 있다.
김정희가 이 논문에서 새롭게 밝혀낸 바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황초령비의 건립연도는 진흥왕 29년(568) 무자년이다.
- 진흥은 시호(諡號)가 아니라 생존시에 사용한 칭호이다.
- 삼국사기는 진흥왕이 북방을 원정한 사실을 빠뜨렸다.
- 삼국사기가 당시 신라의 영토를 안변(安邊)까지로 비정한 것은 심각한 오류이다.
- 황초령비는 진흥왕 때 신라가 최북단 함흥 지역까지 관할한 사실을 보여준다.
- 연호와 짐(朕), 제왕 등의 호칭을 쓴 것으로 미루어 보아 신라는 자주적인 독립국의 체제를 갖추었다.
- 북한산비는 무학대사의 비가 아니라 신라 진흥왕의 진흥대왕순수관경비(眞興大王巡狩管境碑)이다.
- 비문에 남천(南川)이라는 글자가 있으므로, 북한산비의 건립연도는 이천(利川)에 남천군주(南川軍主)를 두었던 568년~576년 사이이다.
3. 바깥고리
[1] 참고로 나머지 진흥왕 순수비인 창녕 척경비와 마운령 진흥왕 순수비는 김정희 시대에는 존재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2] 객관식 문제로 (광개토대왕릉비에 대해)'김정희의 금석과안록에서 비의 설립 시기가 고증되었다.' 라는 보기로 44회 한국사능력검정시험에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