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녕사굴

 


[image]
거문오름 용암동굴계와 김녕사굴의 위치.
'''유네스코''' '''세계유산'''
[image]
이름
한국어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
영어
Jeju Volcanic Island and Lava Tubes
프랑스어
Île volcanique et tunnels de lave de Jeju
국가
대한민국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등재유형
자연유산
등재연도
2007년
등재기준
(vii)[1], (viii)[2]
지정번호
1264
1. 개요
2. 상세
3. 전설
4. 창작물


1. 개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김녕리에 있는 용암 동굴. 김녕굴이라고도 한다. 총길이는 705m다.

2. 상세


관광지로 유명한 만장굴 바로 옆에 있다. 원래 만장굴과 하나로 이어진 굴이었으나 천장이 붕괴되면서 두 개로 나뉘어진 것이다. 한라산의 기생화산(오름) 중 '거문오름'이 신생대 플리오세와 플라이스토세기 사이에 분화하면서 그 용암이 지하를 뚫고 해안으로 향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용암동굴을 '거문오름 용암동굴계'라 칭하는데, 만장굴과 김녕굴은 그 일부다.
1962년 12월 3일에 '제주도 김녕굴 및 만장굴'이 천연기념물 제98호로 지정되었다. 2007년에는 김녕사굴을 포함한 '제주 화산섬과 용암동굴'이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되었다.
현재는 출입이 제한된다. 주변 관광지로는 만장굴, 김녕해수욕장, 김녕미로공원 등이 있다.

3. 전설


사굴(蛇窟)이라는 명칭은 뱀굴이라는 의미로 다음의 전설에서 유래한다.
제주 구좌읍 김녕리 마을 동쪽에 큰 굴이 있는데, 여기에서 큰 뱀이 살았다고 하여 '뱀굴[蛇窟]'이라고 한다. 이 뱀에게 매년 처녀 한 사람을 제물로 올려 큰굿을 했다. 만일 굿을 하지 않으면 뱀이 곡식밭을 다 휘저어 버려 대흉년이 들었다. 그런데 양반집에서는 딸을 내놓지 않았기 때문에 평민의 딸이 희생되게 마련이었다. 그래서 평민의 딸은 시집을 갈 수가 없었다. 그즈음, 조선 중종 때 서련이라는 판관이 제주에 부임해 왔다. 서 판관은 뱀굴의 소문을 듣고 괴이한 일이라며 분개하였다. 곧 술, 떡, 처녀를 올려 굿을 하라 하고, 몸소 군졸을 거느리고 뱀굴에 이르렀다.
굿이 시작되어 한참이 지나자 과연 어마어마한 크기의 뱀이 나와 술과 떡을 먹고 처녀를 잡아먹으려고 하였다. 이때 서 판관은 군졸과 함께 달려들어 창검으로 뱀을 찔러 죽였다. 이것을 본 심방(무당)이 “빨리 말을 달려 성(현재의 제주 읍성) 안으로 가십시오. 어떤 일이 있어도 뒤를 돌아보아선 안 됩니다.”라고 일러 주었다. 서 판관은 말에 채찍을 놓아 무사히 성의 동문 밖까지 이르렀다. 이때 군졸 한 사람이 “뒤쪽으로 피비[血雨]가 옵니다.”라고 외쳤다. “무슨 비가, 피비가 오는 법이 있느냐?”라고 하며 서 판관이 무심코 뒤를 돌아보았다. 그러자마자 서 판관은 그 자리에 쓰러져 죽었다. 죽은 뱀의 피가 하늘에 올라가 비가 되어 서 판관의 뒤를 쫓아온 것이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김녕사굴 (한국민속문학사전(설화 편), 국립민속박물관)
이 글에 나오는 인물 중 이삼만이란 이는 실존했던 인물이다. 다만 설화 속 이삼만의 만은 일만 만이지만 실존인물 이삼만은 늦을 만자를 쓴다.(1770(영조 46)∼1847(헌종 13))설화와 달리 관직과는 거리가 먼 처사였으며, 원교 이광사에게 사사받은 명필로 유명하다. 호는 창암으로 전주 지방의 명사였다. 본디 정읍 사람으로 이삼만의 집안은 부유했으나 이삼만이 글쓰기에만 몰두해 가산을 다 탕진해 가난히 살았다. 여기에는 또다른 얘기가 있으며 이삼만의 부친은 이삼만이 어릴적 뱀에 물려죽었고 그로인해 집안이 기울어졌다는 것. 때문에 이삼만은 뱀을 원수로 여겨 길가다가도 뱀만 보면 돌이나 지팡이로 찍어 죽였고 잡아먹었다. 하도 이삼만의 살기가 등등해 뱀들도 이삼만이 오면 숨기 바빴다고 한다. 이런 내력이 있어 이삼만은 죽어서도 나름 신격화가 되었는데, 이삼만의 고향 정읍 지방에는 음력 정월 대보름날이나 상사일(上巳日)인 첫 뱀날에 배암뱅이 풍속이라 하여(뱀막이) 이삼만이 쓴 글, 또는 이삼만 이름 석자를 거꾸로 붙이고(뱀에게는 모든 물체가 거꾸로 보인다는 당시 속설에 따른 것이다. 실제는 그렇지 않다.)이삼만의 이름을 외치면 뱀이 안 꼬인다는 믿음이 있었다. 아무튼 뱀의 저주를 받고 풀썩 쓰러져 죽는 설화 내용은 알아주는 뱀사냥꾼(?)이였던 실제 이삼만이 들으면 코웃음 칠 일.
사실 이런 설화들은 서울에서 온 혁신적인 수령과 자신의 기득권을 지키려는 지방 토호들간의 대립을 나타내는 해석도 있다. 실제로 제주도는 예전부터 내지와 다른 문화 생활을 영위했는데 한양에서 부임한 수령들 중 음란하고 천박한 풍속이라며 예전부터 전해오는 악습들을 없애는데 주력했다.(가령 맹꽁이 서당에서 나오는, 선정으로 유명한 이형상도 제주도에 가자마자 한 일이 미신타파였다.)괴력난신을 배제하고 성리학 보급에 힘썼던 조선에서는 당연한 일이였다. 비슷한 이유로 서낭당이나 부군당도 이렇게 갈려나갔다. 이렇듯이 서문표 설화처럼 지방 토호나 유지들이 자신의 이득을 위해 일부러 미신이나 악습을 조장해 힘없는 민초들을 핍박한 경우가 많아서 수령들이 본보기 삼아 그들의 표면적인 구실로 삼은 여러 미신들을 타파했다. 위 설화도 어찌 보면 큰 뱀이 지방에 오래 뿌리잡아 세력화된 악질 토호들을 은유하는 것일지도 모른다.

4. 창작물


박우근 작가의 소설 「구렁이놀음」이 김녕사굴 전설을 중심으로 한국 신화전설 전반을 다루고 있다.
모바일 게임 아라하에서 메모리얼 컬렉션의 하나로 '김녕사굴 무녀 탱화'가 등장하기도 한다.
90년대 중반에 방영한 전설의 고향에도 이 설화를 각색해 <사굴>이라는 제목으로 극을 방영했다. 판관 역은 야인시대 정진영으로 유명한 차광수. 공대를 이끌고 레이드 뛴 설화와 달리 여기서는 차광수가 분한 판관 혼자서 구렁이와 사투를 벌인다. 아무래도 액션을 위해서 각색한 듯 한데, 각본가도 이전부터 밑밥을 던졌다. 먹고 살기위해 구렁이를 필요악으로 은연 중에 여기며 외부인(판관)을 경계하는 도민들, 그리고 임기만 마치면 된다는 식으로 복지부동 공무원 마인드를 제대로 보여주는 제주목사를 비춰주면서 주인공 혼자 나설 수밖에 없는 환경을 조성한다. 결국 주인공 판관을 움직이게 하고 해결책을 제시하는게 산자도 아닌, 이미 희생당해 원혼이 된 처녀라는게 개그면 개그.
2010년대 중반 들어 영화 퇴마 무녀굴이 사굴 설화를 모티브로 제작 되었다
[1] 최상의 자연 현상이나 뛰어난 자연미와 미학적 중요성을 지닌 지역을 포함할 것.[2] 생명의 기록이나, 지형 발전상의 지질학적 주요 진행과정, 지형학이나 자연지리학적 측면의 중요 특징을 포함해 지구 역사상 주요단계를 입증하는 대표적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