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이빌

 

트위터[1]
네이버 블로그
1. 개요
2. 특징
3. 행적



1. 개요


게임 일러스트레이터. 온라인 게임 사이퍼즈 유저로도 유명하다.
자신의 이명 닉네임인 '''김이빌''' 이 탄생한 이유가 아주 재미있는데, "'''김'''씨 '''이'''것좀 '''빌'''려줘." 에서 유래되었다고 한다.

2. 특징


과거 배틀페이지나 기타 그림게시판에 그림을 올리면서 이름을 알렸다.
그의 초기 그림체는 더 킹 오브 파이터즈 XI의 공식 일러스트를 맡았던 하시모토 히로아키그림체에서 많은 영향을 받아 제법 흡사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예전 블로그나 홈페이지에 남긴 발언에 의하면 본인 또한 히로아키의 그림을 모작하는 등 많은 연습을 했었다고 한다.
그의 지인의 댓글에 따르면 히로아키 뿐만 아니라 오구라 에이스케의 그림체도 연습했다고 하며[2] 때문에 과거에 그의 그림은 '히로아키 그림체에 디테일은 오구라' 라는 평이 많았다.
지금은 자신만의 그림체를 찾아내어 특유의 색을 살리는 중.

3. 행적


게임 러스티 하츠의 공식 일러스트를 그렸다.
던전 앤 파이터 여귀검사의 컷 애니메이션 영상 작업을 하기도 하였다.[3] 마찬가지로 던파 도적 영상도 작업.
사이퍼즈에서는 물의 날 영상 작업과 배틀 오브 사이퍼즈의 일러스트를 작업했고 또한 제레온의 프로모션 동영상 도중에 나오는 일러스트와 선샤인 비치웨어 일러스트를 작업했다. 또한 최근 사이퍼즈 아프리카 홍보용 영상 도중에 나오는 일러스트들 역시 그의 작품.
사이퍼즈의 설치파일 중에 같은 팬아트 게시판의 네임드 유저인 로즈퀸과 함께 그의 이름을 딴 파일이 발견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관통의 자네트 항목 참조. 어느 유저가 이것에 대해 김이빌 본인에게 직접 물어보자 김이빌은 이것을 본인도 모른다고 답변했다. 결국 그 뒤에 나온 캐릭터가 전혀 관련이 없음을 보면 그냥 더미 데이터였는 듯.
사이퍼즈 '''창작 캐릭터''' 공모전에서 그가 그린 앤지 헌트[4]가 특선에 오르면서 안 그래도 논란이 되어왔던 운영진과의 친목질 논란이 더욱 거세졌다. 이해가 안 간다는 반응의 댓글.[5] 이후 거센 질타를 받고 팬아트 게시판에서 김이빌이 디자인한 앤지, 벨져의 팬아트는 사장되고 여러 사람들의 상상화로 대체되는 추세.
실제 본인의 외모는 철권 게이머 중 레인과 닮았다.
2013년 10월 8일자로 입대했고 2015년 7월 7일에 전역했다. 이후 괴리성 밀리언아서와의 콜라보레이션용 일러스트를 작업했다.
가끔 아프리카 TV로 방송을 한다, BJ 여대생과 친분이 있다.
현재는 블랙 서바이벌을 출시한 아크베어즈에 입사하여 GM자히르라는 이름의 일러스트레이터로 활동하고 있다.
그린 스킨들은 링크 참조. 이후 GM 제도가 사라진 후에도 특유의 그림체를 보면 간간히 스킨을 그리는 걸로 추정된다. 이바에키온이 그 예시.
블랙 서바이벌 사내 왕따 문제에 가담한 것으로 보인다. 피해 GM 글 문단 중 2. 에 피해 GM이 병원에 다녀온 것을 두 직장 동료가 뒷담화했다고 적힌 것이 김이빌의 이야기. 트위치 배틀그라운드 방송을 하며 다른 지엠과 전화통화를 하던 중 나왔다. [6][7]

[1] 아크베어스 내 GM 성추행 및 따돌림 사건이후로 한동안 잠적했으나 4월부터 조금씩 그림을 올리기 시작했다. 하지만 복귀를 눈치챈 네티즌들이 다시 사건을 거론해 비판하자 다시 잠적했다.[2] 본인도 그렇다고 트위터에 을 남겼다.[3] 여귀검사 튜토리얼이 끝나고 나오는 영상과 나탈리아 수를 처음 만났을 때 나오는 영상 일러스트.[4] 요건은 창작 캐릭터를 그리라고 했지만 기존 세계관에 설정상으로만 존재하고 캐릭터화하지 않은 캐릭터를 상상하여 설정을 덧붙여 그렸기 때문에 순수 창작으로는 보기 어려운 부분이 많아 논란이 되었다.[5] 2017년 6월 현재 사이퍼즈는 모든 공지와 업데이트 댓글을 닫아놨다.[6] 그 당시의 정황상 가담했을 확률이 매우 높으나, 현재로써는 회사 차원에서 증거를 말살했기 때문에 남아있는 내용은 없다. 다만 그 당시 블랙서바이벌을 플레이하거나, 이 사건에 관심이 높았던 사람들만이 짐작하고 있을 뿐이다.[7] 2020년 말 피해 GM에 대한 폭로글로 보이는 글이 블라인드에 올라왔다가 삭제되었는데, 폭로 내용이 심상치 않다보니 이를 아는 유저들 사이에서 인식 개선의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