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계병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남계병'''
'''南啓炳'''

[image]
<colcolor=#fff><colbgcolor=#0047a0> '''초명'''
남세혁(南世赫)
'''자 / 호'''
여명(汝明) / 호정(湖亭)
'''본관'''
영양 남씨[1]
'''출생'''
1878년 10월 25일
경상도 영해도호부 읍내면 괴시동
(현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2][3]
'''사망'''
1963년 7월 8일 (향년 86세)
경상북도 영덕군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1. 개요
2. 생애

[clearfix]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1990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남계병은 1878년 10월 25일 경상도 영해도호부 읍내면 괴시동(현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 괴시리)에서 물소와(勿小窩) 남택만(南澤萬)의 5대 종손인 아버지 남경질(南敬秩)과 어머니 여강 이씨 이능찬(李能燦)[4]의 딸 사이의 1남 1녀 중 외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1919년 3.1 운동이 전국적으로 일어나자 정규하, 남효직, 권상호(權相鎬), 박의락(朴義洛) 등과 함께 병곡면, 축산면, 창수면 일대의 기독교도와 지방유지를 포섭해 독립시위를 벌일 준비를 갖췄다. 이윽고 3월 18일에 성내시장에 2천여 명의 군중이 모이자, 그는 민중 앞에 서서 독립운동 취지에 관한 연설을 하고 독립만세를 선창한 뒤, 대규모 시위대와 함께 시장을 행진했다.
이때 영해 경창주재소에서 일본 순사를 급파하여 강제로 해산시키려 하자, 그는 군중과 함께 순사와 순사보를 구타하고 제복을 찢고 휴대하고 있던 칼을 빼앗았다. 이후 군중을 이끌고 경찰주재소를 습격해 곤봉을 휘둘러서 내부 시설을 파괴하고 소방용 펌프와 일본인 개인 물품을 파괴했으며, 뒤이어 일본인이 경영하던 영해공립보통학교에 들이닥쳐서 공문서류와 당시 시가로 2,008원에 해당하는 기구와 기계로, 580원 상당의 도서류를 파괴했다. 또 심상소학교를 공격해 교사 및 기숙사 건물을 파괴하고 공문서를 파기했다.
이어 면사무소를 공격해 사무소 내부의 유리창을 모두 부수고 집기류를 파괴했으며, 우편국도 공격해 유리창을 파괴했다. 이에 영덕경찰서장이 순사와 순사보 등 4명을 지휘해 군중을 해산시키려 했지만 집단 폭행을 당하고 본서로 쫓겨났다. 이후로도 독립만세시위를 이끌던 남계병은 1919년 6월 5일 대구지방법원에서 궐석재판으로 징역 7년을 선고받았고, 이후엔 각처를 떠돌다가 1921년에 일제 경찰에게 체포되었다. 그는 1921년 10월 14일 대구지방법원에서 소요죄, 공무집행방해죄, 공문서 훼기죄, 보안법 위반 혐의로 징역 7년을 선고 받고 옥고를 치렀다. 출소 후에는 고향에서 조용히 지내다가 1963년 7월 8일에 사망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1977년 남계병에게 건국포장을 추서했고, 1990년에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1] 송정공파(松亭公派)-영덕 괴시(槐市) 문중 17대손 '''병(炳)''' 진(鎭) 항렬. 영양 남씨 25세.[2] 인근의 원구리와 함께 영양 남씨 집성촌이다. 독립유공자 남응하·남진두·남효직도 이 마을 출신이다.[3] 출생지인 334번지에는 경상북도 민속문화재 제169호로 지정된 영덕 괴시동 물소와고택(勿小窩古宅)이 있는데, 남계병의 증조부 남유진(南有鎭)이 지은 집이라고 한다.[4] 회재 이언적의 후손으로, 정3품 사간원대사간을 지낸 이연상(李淵祥)의 손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