녹둔도 전투

 


'''녹둔도 전투
鹿屯島 戰鬪'''

<colcolor=#000> '''시기'''
1587년 ~ 1588년
'''장소'''
조선 함경도 경흥부 녹둔도
'''원인'''
여진의 침입.
'''교전국'''
[image] 조선
여진
'''지휘관'''
'''경흥부사 이경록'''
조산만호 이순신
이몽서
오형
임경번
<^|1>마니응개
'''병력'''
불명
불명
'''피해'''
11명 전사
160여명 포로
불명
'''결과'''
녹둔도 경계 강화
'''영향'''
이순신백의종군.
1. 개요
2. 결과
3. 이후
4. 미디어에서

[clearfix]

1. 개요


조선왕조실록「북병사 이일이 녹둔도가 함락되었다고 치계하다.」
「불멸의 이순신 녹둔도 전투」
1587년(선조 20년)과 그 이듬해 조선여진족 사이에 벌였던 두 차례 전투. 두만강 하류 강 가운데 위치한 녹둔도에 여진 부족 중의 하나인 시전부족이 몰래 습격해온 것을 막기 위한 조선군과의 충돌이다.

2. 결과


당시 녹도 만호였던 이순신은 열악한 상황에서 상당한 선전을 보여줬기에 상부에 꽤 깊은 인상을 남겼다.
이 전투에서 조선인 11명이 전사하고 군민 160여 명이 납치되며 15필의 말도 약탈당했다. 하지만 1,000명 이상의 기마병에게 기습당한 상황에서 불과 수십 명으로 방어에 성공하고 반격까지 감행, 절반 이상의 포로를 구출해 피해를 최소화해서 할 수 있는 대처는 다 했다고 인정받았다.
북병사 이일은 일단 패전의 책임을 물어 경흥부사 이경록과 조산만호 이순신 등을 잡아 가두었으나 조정은 녹둔도가 야인 지역과 너무 가까워 처음부터 소수의 병력으로 방어하기 힘들었음을 파악하고 있었고 이순신과 이경록의 보고를 종합한 이일의 장계를 통해 이순신이 열세한 상황에서 충분히 분전했음을 인정하고[1] 국왕인 선조가 이순신은 패배한 것과는 다르다며 구분 짓고 장형을 친 후 백의종군으로 마무리지었다. 이 전투는 선조와 조정에 이순신의 이름이 알려지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패전인지 승전인지 논란이 자주 일어나는 전투인데, 노략전에 대해서는 승패로 구분하기도 어렵고 또 의미도 그다지 없다. 전혀 대처하지 못하고 숨어서 눈치만 보고 있었다 하더라도 침략자는 결국 바로 돌아갈 것이고, 또한 완벽하게 대처 하더라도 미리 침입을 확신하고 매복해서 멀리서 요격하는 것이 아닌 한 누군가가 잡혀가거나 기물이 털리는 것은 피할 수 없다. 국경 방위에 대해서는 별도의 잣대로 보는 것이 맞다.

3. 이후


선조 21년 1월, 북병사 이일은 조정에 보낸 계본[2]에서 함경도의 군사 2천 5백명을 동원해 15일 새벽 녹둔도를 노략했던 부락을 야습하여 그들의 주거지 200여 채를 불태우고 수급 380개를 취하여 돌아왔다고 하였다. 이를 일명 '신전부락 전투'라고 한다. 이때 이순신은 여진 추장인 우을기내(于乙其乃)를 생포하는 공을 세우고 백의종군을 끝낸 후 아산으로 가서 가족들과 함께 지냈다.

4. 미디어에서


불멸의 이순신에 두 화에 걸쳐져 나온다. 이 드라마 꼬락서니가 으레 그러했듯 '''발고증'''이 아주 심했다. 평화롭게 잘 살던 녹둔도에 여진족이 기습해 지옥도가 펼쳐진다. 이순신은 병력 지원요청을 위해 녹둔도에 없었는데 그 사이에 쳐들어 온 것. 급히 달려가지만 이미 불타고 부임한 이래 친분을 쌓은 군관들과 병사들 그리고 백성들이 거의 다 죽고 끌려간 상태. 그냥 일부터 십까지 발고증이다. 녹둔도는 여진 영역과 가까워도 너무 가까워서 평화로운 분위기와는 거리가 멀었고, 이순신은 녹둔도에서 농사 살펴보다 공격을 받아 몸을 아끼지 않고 싸우다 부상까지 입었다. 압도적인 수의 적에게 기습받고도 최대한 피해를 수습했고, 이순신은 북병사 이일에게 길길이 날뛰며 항의를 했지 드라마에서처럼 패전으로 트라우마가 된 적이 없다. 녹둔도 군졸들의 복장도 논란이 되었는데[3] 수군이라서 문제가 아니라 수군이랍시고 물 수자 그린 천을 붙여놓는 근본없는 고증을 했기 때문.
[1] 이일이 패전한 책임을 물어 이순신을 출두시켰을 때, 이순신은 "저의 지원 요청을 거듭 묵살하신 것은 북병사 어른이 아닙니까? 또 싸우다 전사한 이는 있을지언정, 오랑캐를 물리치고 백성들도 구해내었으니, 제가 지원을 요청한 문서를 전하께 올리면 북병사께서도 문책을 면하지 못하실 것입니다."라며 논리정연하게 이일에게 항변했다.[2] 조선시대 왕에게 올리던 중대한 일을 보고 할 때 작성하던 문서의 양식이다, 외방의 계본은 그 지방의 관찰사·병마절도사·수군절도사 등이 중요한 일을 왕에게 보고하는 데 쓰는 문서로서 이두를 섞어 썼다.[3] 水자가 그려진 천을 가슴팍에 매고있는 하늘색 군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