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시키노미하타

 

  • (にしき御旗(みはた
  • 금어기
[image]
가마쿠라 시대의 니시키노미하타
[image]
십육엽팔중표국이 정착된 가마쿠라 이후의 니시키노미하타
1. 개요
2. 형태
3. 기타


1. 개요


일본에서 천황의 조정과 관군(官軍)·관백(関白)·태정관(太政官)을 상징하는 깃발이다. '금어기(錦御旗)'나 '금지어기(錦之御旗)'라고도 불린다. 가마쿠라 시대부터 사용되었다. 이후 일장기의 모체(母體)가 되었다.

2. 형태


[image]
회화에서 묘사된 니시키노미하타의 모습. 시대와 상황에 따라 도안이 조금씩 다르다.
이름 그대로 풀이해 보면 '비단(錦)에 그린 군주(御)의 깃발(旗)'로, 윤이 나는 홍색 비단 상부에 금색 또는 흰색의 원을 그려넣은 모습이다. 이는 태양, 즉 신토의 최고신이자 황조신(皇祖神)인 아마테라스를 상징한다. 경우에 따라 원을 제외한 붉은 부분에 봉황·오동나무[1] 등의 자수를 놓거나 글씨를 적기도 했으며, 천황의 국화 문장인 십육변팔중표국문(十六一重表菊文) 개념이 확립된 뒤에는 원 대신 국화 문장을 넣기도 했다.
[image]
글씨로는 '아마테라스스메오오미카미(天照皇太神)'란 문구를 한자로 자주 적었는데, 니시키노미하타가 태양을 상징화했다는 또다른 증거일 듯.
무로마치 시대 말기에서 에도 시대 초기에 이르러 은본위제가 본격화되고 외국 상선과의 교역이 증가하자, 네모 바탕에 원을 그려넣은 문장을 보편적으로 사용했는데, 그 중에는 현대 일장기처럼 붉은 원을 그린 깃발도 있었다.

3. 기타


공식적으로 국기로 제정된 적은 없으므로 근대적 의미의 국기는 아니다. 일장기 역시 법적 근거 없이 관습적으로 일장기를 국기로 사용하다가 1999년에 와서야 국기로 지정하였다.
일본어에서는 '거역할 수 없는 대의명분'을 의미하는 관용어 「にしきのみはた」로도 쓰이고 있다.

[1] 현 일본 정부 문장, 구 조선총독부 문장에 있는 도안이다. 무로마치 시대 이후 니시키노미하타와 함께 정부의 상징으로 쓰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