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동나무

 

'''국명'''
Paulownia coreana
이명 : '''머귀, 포동, 오동목'''
''Paulownia coreana'' Uyeki, 1925
분류

'''식물계'''

속씨식물문(Angiospermae)

쌍떡잎식물강 (Dicotyledoneae)

꿀풀목(Lamiales)

오동나무과 (Paulowniaceae)

오동나무속 (Paulownia)

'''오동나무'''
梧桐─
[image]
1. 개요
2. 특징
3. 쓰임새
4. 기타


1. 개요


꿀풀목 오동나무과에 속하는 나무다. 붉동나무, 오동이라고도 하며 옛부터 가구를 비롯하여 여러가지 용도로 쓰인 목재이기도 하다.
본 항목은 오동나무의 학명을 ''Paulownia coreana''라고 제시했지만, 사실 식물분류학계에선 미해결학명, 즉 분류적 문제가 있지만 아직 해결되지 않은 것으로 본다. 따라서 미래에는 학명이 바뀔 여지도 있다.

2. 특징


잎은 넓고 뒷면에는 잔털이 있다. 5월~6월에는 잎보다 먼저 보라색 꽃을 볼 수 있으며 과실은 10월에 성숙한다.
어릴 때는 1년에 1∼2.5 m씩 자라며 높이는 15 m 정도. 주로 촌락에 심는 편이지만 빈터 등에 자연적으로 잘 자라는 나무이기도 하다. 가느다란 상태에서 이미 목질화가 시작되는 일반적인 나무들의 묘목과는 달리, 얘는 해바라기마냥 푸른 줄기와 크고 아름다운 잎을 뽐내며 잡초의 초거대 버전(…)처럼 자라난다. 성장 속도도 어마무시하고 베어내도 그 자리에 어느샌가 순식간에 다시 자라나서 오동나무인지 모르는 사람은 무시무시한 미지의 거대 잡초 정도로 생각한다.
[image]
[image]
어린 오동나무의 모습. 잎사귀가 하도 커서 뭔가 괴기스럽고 징그럽다… 그리고 줄기를 보면 알겠지만 1년생이다.
[image]
[image]
[image]
오동잎과 다른 사물 간 크기 비교. 어린 잎일수록 빛을 조금이라도 더 받기 위해서 다 자란 잎보다 크기가 더 크다…
한반도 전역에 분포하며 느릅나무, 은행나무와 더불어 가로수에 자주 보이며, 도시에서는 공터, 건물의 틈새 등에서 자주 목격할 수 있다.[1] 그런데 이 나무가 건물의 틈새에서 자라나며[2] 인간에게 입히는 민폐가 심각해서 문제가 되곤 하지만, 은행나무소나무에 비하면 오히려 양반이다.[3] 성장속도도 빠르고 어디에서나 잘 자라는 특성 탓에 제거가 쉽지 않은 데다 나무가 워낙 못 생겨서(…)[4] 사람들에게 혐오감을 주는 나무이다. 지금 생각해보면 이런 나무를 왕의 상징으로 삼을 이유가 있을까 싶지만, 옛날 선비들은 넓은 오동잎을 보면서 답답한 마음을 탁 트이게 할 수 있어 좋았다고… 그래서 대청마루나 정자 앞에 즐겨 심었다고 한다.
원산지는 울릉도로 추정된다고 한다. 평안남도·경기도 이남에 주로 분포한다.
청주시의 지명 중에 오동나무 오(梧)자로 시작하는 것이 많다. 오근장, 오동동, 오창 등. 다만 오송읍은 다섯 오(五)를 쓴다. 예전에 이들 지역에서 오동나무가 무성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일본 원산의 참오동나무(Paulownia tomentosa)가 있는데, 매우 비슷한 나무이지만 오동나무에 비해 털이 많고, 다갈색을 띠는 오동나무의 털에 비해 털이 흰 빛을 띤다. 토요토미 히데요시의 문장이 이 참오동나무이기도 하며 현재 일본 정부의 문장이기도 하며, 일본 내각총리대신의 문장이기도 하다. 또한, 화투에서 똥(…)이라고 부르는 것도 사실 오동나무 잎이다.[5]
그 밖에 비슷한 나무로 벽오동나무가 있다. 비슷하게 생겼고, 비슷하게 성장이 매우 빠르지만 촌수가 많이 차이나는 나무. 한국에서는 벽오동과 오동을 구분하진 않았지만, 본초강목에는 벽오동의 줄기가 푸르다고 분명히 구분했다. 상상의 동물봉황은 벽오동에만 둥지를 튼다고 알려져 있으며 조선시대에도 왕의 상징으로 오동나무를 많이 심었다고한다.

3. 쓰임새


그래도 저런 흉측한(?) 외모와 달리, 쓰임새는 많았다. 옛날에는 '내나무 심기'라는 풍습이 있어 아들이 태어나면 선산에 소나무를, 딸이 태어나면 밭에 오동나무를 심어서 딸이 나이가 차 결혼하게 되면 오동나무를 베어 가구를 만들어서 혼수로 삼는 풍습이 있었다. 또한, 사람이 죽고 나면 을 짤 때도 쓰인다. 그래서 '오동나무 코트를 입혀주지'라는 말이 나왔다.
[image]
일본 전국시대 당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가몬이 오동나무를 형상화한 것으로, 지금은 일본 정부의 상징이다.
국악기를 제작할 때 빼놓을 수 없는 나무로, 정악가야금은 이 오동나무를 통째로 깎아 만들며 산조가야금/거문고/아쟁 또한 악기의 앞판은 오동나무, 뒷판은 밤나무로 제작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충무공 이순신은 발포만호 시절 직속 상관이었던 전라좌수사 성박이 거문고를 만들기 위해 관사의 오동나무를 베어가려하자, 관사의 나무도 나라물건인데 어찌 사사로운 목적으로 베어가냐며 거부한 일화가 있다.
이원익의 호도 오동나무 마을을 뜻하는 오리(梧里)로 똑같은 단어가 된 지하철역도 있다.
목재로서는 상당히 가볍고 무른 편이다. 다이소에서 파는 오동나무 도마 정도면 두 손으로 쪼갤 수 있을 정도. 하지만 자라는 속도나 무게에 비하면 꽤 강한 편이다.
흔하고 빨리 자라는 특성 덕에 가격이 매우 낮아서 초저가형 일렉트릭 기타의 바디에도 사용된다. 오동나무로 만든 기타는 잘 찾아보면 $30 언저리 가격에도 구할 수 있다. 하지만 기타로 쓰기에는 내구성이 애매한 관계로 보통 급이 조금 더 되는 브랜드는 마호가니 같이 더 튼튼한 목재와 보강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워낙에 가벼운 목재라서 소리는 기대하지 말자.
오동나무를 베어내면 밑동에서 새싹이 올라오는데 이것을 자오동이라고 해서 목질이 더 좋았다. 한번 더 베어내서 나오는 새순은 손오동이라고 하며 오동나무 중 최상품으로 쳤다고.
오동나무가 봉황의 상징이 된 탓에 봉황을 조각한 바둑판이 시중에서 꽤나 고가로 팔린다. 우리나라 문화의 경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자식이 태어나면 일단 오동나무를 심고, 여자는 시집갈 때 가구를 짜게 하고, 남자는 장례시에 관을 짜게 하는 풍습이 있었다. 무덤가에 서있는 소나무와 오동나무는 송추라고 하여 함부로 가지를 꺾지 못 하겠죠 하였는데, 나무가 무덤을 지킨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또한 살충효과도 있어서 옛날에는 변소에 오동잎 몇 장을 놔둬서 구더기 방지와 악취 제거에 이용하기도 했으며 비오는 날에는 토란잎과 함께 우산 대용품으로 쓰기도 했다.

4. 기타


  • 한국에서는 뜬금없이 유행어가 된 적이 있었다. 2017년 코미디빅리그에서 신인 개그맨 신규진이 사건 현장의 목격자 역할로 출연해서 형사들에게 증언을 했는데 뭘 해도 뜬금없이 요거 오동나무네로 연결했기 때문.

[1] 오히려 도시에서 더 많이 목격되는 경향이 있다. 다른 나무들이 도시에 잘 적응하질 못해 밀려날때 이 나무만은 질기다 못해서 공포스러운(…) 생명력으로 소나무, 은행나무, 느릅나무와 함께 도시를 지배하기 때문이다.[2] 제거를 제때 해주지 않으면 점점 건물의 틈새에 균열을 크게 만들며 붕괴 위험까지 초래할 수 있는 무서운 나무다. 오동나무 성목은 15미터까지 자란다.[3] 은행나무는 그 종자의 냄새 때문에 그다지 인상이 좋지 않고, 소나무는 주변 식물이 못 자라고 꽃가루의 독성 때문에 날리면 기분이 좋지 않다.[4] 정확히는 잎의 모양과 가지가 뻗는 모양새가 못생겼다. 봄철에는 아직 잎이 작고 꽃이 많이 피어서 별로 혐오스럽지 않지만, 여름철이 되면 잎이 지저분하게 자란다.[5] 이런 오해가 생긴 이유는 오동잎이 그 어떤 세부묘사 없이 완전히 검게 칠했기 때문.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