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래 전설
1. 소개
'달래강 전설' 또는 '달래 고개 전설'[1] 이라고도 전해지는 우리 나라의 전설. 그 얘기는 지방마다 좀 다르지만 대체로 이런 줄거리다.
한편 일부 결말 중에는 누나도 목을 매어 동생의 뒤를 따라간다든가 '''동굴에서 누나와 합일해서''' '''오누이 사이에서 아기를 낳는''' 결말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천벌로 번개를 맞아 즉사한다고 한다.
비슷한 사례로 '달래강 전설'이 있으며,이 버전은 단지 두 오누이가 강을 건넌 뒤, 역시 물에 젖은 누나의 모습에 욕정을 느낀다라는 것으로 단지 장소가 고개에서 강으로 바뀐 것이 차이라면 차이. 그 뒷이야기는 '달래고개 전설'과 동일.
그 밖에 지방마다 '오빠'와 '여동생', '삼촌'과 '조카딸' 등의 바리에이션이 존재한다.
2. 해석
이 이야기의 초점은 '''근친혼 또는 상간에 대한 금기'''이다. 물론, 그리스 로마 신화에도 모든 인류가 멸망하고 남매가 살아 결혼해 자식을 낳는 이야기가 있고[3] 일본 신화 또한 남매신 이자나기와 이자나미가 서로 통혼한 경력이 있지만 아무래도 한국은 유교 문화가 뿌리깊은지라 이런 비극적인 전설이 탄생한 것일지도...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누나가 '달래나 보지'라며 여운을 남기는 것을 상기해 볼 필요는 있다. 즉, 금기 속에서도 남성성과 여성성의 결합에 대한 열망을 남기는 것.
한편, 현대적 관점으로 보면 불쌍한 남동생은 공중도덕을 위하여 고자되기를 실천한 용자로 평가될 수 있으며 남동생이 '''그곳을 찍고 숨을 거둔''' 모습에 슬퍼한 누님이 남긴 "'''달래나 보지'''"란 말은 아직도 많은 해석이 분분해 뭇 남성들의 욕정(?)을 불러일으키는 희대의 명대사가 되었다.[4]
한편 "말했다가 거절당하더라도 달래나 보지"라고 볼 수도 있으므로, 누나에게 허락할 마음이 있었는지가 확실하지는 않다. 이 경우에는 "말이라도 해보지 그랬냐, 말을 했으면 뭔가 해결책이라도 찾아냈지"의 뜻이라는, 소통의 부재에 대한 안타까움이라는 해석도 있다.
또한 남동생은 자신의 존엄성(?)을 다한 것이며 인간으로서의 (유교적인) 본분을 지켰다고 볼 수 있다.
3. 비슷한 설화
이외에도 창조신화 중 '남매혼 홍수 신화'가 존재하는데 복희와 여와의 설화와 거의 같다. 다만 맷돌 부분은 추가된 듯.
이 신화에서도 '달래 전설'처럼 비극적인 결말은 없지만 두 오누이가 근친상간에 강한 거부감을 보인 것을 알 수 있듯이, '근친혼'에 대한 사람들의 생각을 알 수 있다.[5]
이런 근친에 대한 부정적인 설화는 한국 뿐만 아니라 타국에도 존재한다. 위의 내용은 동아시아 민족들에게서 자주 보이는 신화적 모티프로, 천의시험이라고도 하며 암맷돌과 숫맷돌을 산 꼭대기에서 굴렸는데 합쳐졌다는 등 내용은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먀오족이나, 강족계통의 소수민족들 사이에서 거의 똑같이 찾아볼 수 있다.
또, 다른 형태로 예를 들면 오이디푸스는 부친을 살해하고 근친을 저지른 후 평생 그것을 후회하며 떠돌아다닌다. 또한 모드레드는 아더 왕과 그의 누이사이에서 난 자식으로, 아더 왕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행해진 죄지만 그 대가를 치르는 것으로 아더 왕의 왕국이 멸망한다는 묘사 또한 존재한다. 특별히 한국의 유교 문화 때문이라기 보다는 근친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은 세계 공통인 것이다.[6]
4. 기타
팬텀하록 작 해동총화에도 등장했다.링크 류현금의 평가는 "윤리보다 인간 생명이 중요하다는 이야기.
다만 자세히 생각해 보면 말이 안 되는 부분도 있다. 동생이 왜 자진했는지 누나가 어떻게 알 게 됐는지에 대한 설명이 없다! 누나 말대로 '달래'나 본 적도 없고 유언을 남긴 것도 아니고..
윗 문단의 주장은 설화의 유래가 제각기 달라 발생한 일로 일례로는 동생(오라비)가 죽지 않고 성기만 찍은 채로 살아 있었으며 누이(동생)은 연유를 물어볼 수 있었다고 한다.
다만 성기를 스스로 찍고 죽는 방식이 굉장히 특이한 자살방식임은 분명하므로 이 모습을 본 누나가 "성욕을 해결하지 못해 죽었구나"라고 추정할 개연성은 있고, 여기에 굳이 따로 가자고 하던 부자연스러운 행동, 자신의 젖은 몸을 보면서 어쩔 줄 몰라하던 모습을 종합해 저런 결론을 내리는게 이상한 건 아니다.
[1] 충주라고도 전해지기도 하고, 경부고속도로 판교IC와 양재IC 사이에 있는 달래내고개라는 설도 있다.[2] 자기가 먼저 누나를 따돌리고 앞으로 가서 이랬다는 판본도 있다. 그 판본에선 누나가 제 갈길을 가다가 지 혼자 앞에 가서 숨을 거둔 동생을 발견하게 되므로 더 개연성이 높아진다.[3] 애당초 그리스 신들부터가 근친으로 시작했다.[4] 자기와 관계를 가져달라고 한번 졸라 보지 그랬냐는 해석과, 본인의 행동으로 달래나 보지 그랬냐는 해석이 있다.[5] 복희와 여와 신화에선 오누이 신이 결혼하는 것이 후대에 유교적 관점에선 다소 불건전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근친혼을 했다고 설명하기 위해 추가 된 이야기라고 한다.[6]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 신화에서 근친 이야기가 나타나는 것은 신화 속에서의 등장인물들은 각각이 세계에서 존재하는 특정한 성질들을 대변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이는 도덕적인 관점과는 다른 이야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