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직병
'''당직병의 책무'''
1. 담당구역의 청소상태를 확인하여 당직부사관에게 보고한다.
2. 입원·입실·퇴실하는 환자에 대하여 군의관 또는 당직부사관의 지시를 받아 필요한 조치를 취한다.
1. 개요
군대의 당직근무 중 하나. '''소대장급 이하나 비슷한 지휘자'''의 임무를 대리수행한다.
하는 일 자체는 당직부사관과 유사하다. 당직부사관이 하는 일이 워낙 많기에 그 보조적인 역할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밤을 새는것이다 보니 다음날 근무취침(근침)이라고 잘 시간을 준다. 또한 간부와 같이 밤을 새는 것이기 때문에 어떤 간부와 함께 근무 서는 것인지도 중요하다.
2. 대한민국 육군
아예 완장을 지급하지 않는 부대도 있다. 완장 대신 명찰 같은 것을 패용하는 부대도 있다. 당직부사관과 경계근무 인솔을 번갈아가면서 나가며, 당직부사관이 인솔을 나갔을 때 대신 근무를 서는 역할을 맡는다.[2]
규모가 작고 널럴한 부대의 경우 당직병 없이 해당 시간대의 불침번이나 상황병이 당직병의 임무를 겸하기도 한다. 일이 적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그만큼 사람도 적어서 당직병까지 별도로 세울 인원이 안 나오기 때문이다.
정말 건물이 작은 경우 당직부관을 대신 하는 경우도 있다.
3. 대한민국 해군
주로 갑판, 무장 직별의 수병이 담당하며[3][4] , 부직사관, 당직부사관을 보좌한다. 함정의 경우 현문[5] 을 출입하는 인원을 기록하는 업무와 일과중 방송[6] 이 주업이다. [7]
복장은 하계일시 샘브레이와 당가리, 정모(빵모)[8] , 단화이고 동계 시 코트를 입는다. [9]
육상 특히 전대급 부대에서는 거의 경비원이나 마찬가지다.
육상 부대가 큰 규모일 경우 보통 3명이 당직병으로 근무하며, 위병소 당직병1,[10] 생활관 당직병1,[11] 운전 당직병1[12] 으로 보통 구성되어 있다.
4. 대한민국 공군
당직사관 혹은 당직부관을 보좌하며, 소규모 부대의 경우 당직부사관을 보좌하기도 한다. 공군 당직병의 주 임무는 인원 파악 이며, 저녁점호가 끝나면 생활관을 지키는 경비원 역할을 한다. 공군은 국직부대를 가지 않는이상 불침번이 없기 때문에[13] 이들이 불침번 역할을 겸하며, 당직병의 업무 강도는 3군 중 빡세다고 할 수 있다. 그래봤자 '''육군처럼 몇시간마다 근무교대자가 오는 게 없어서 밤새 자는 사람도 많지만.'''(물론 헌병은 제외) 당직근무가 끝나면 익일 근무에서 빠질 수 있기 때문에[14] 스케줄 운이 좋다면 주말이나 휴가 등과 연계하여 꿀을 빨 수도 있다. 단, 그냥 당직이 아니라 밤새는 당직이어야 한다. 그냥 점호 끝나고 30분정도 있다가 가서 자는 당직은 그냠 가점만 받지 다음날 출근한다.[15] 주말이 끼는 금, 토요일 당직근무를 '똥당'이라고 부르며 기피하는 경향이 있으며,[16] 반대로 목요일 야간 당직근무는 금, 토, 일을 일요일 야간 당직은 토, 일, 월을 연속으로 쉴 수 있기 때문에 병사들 사이에서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더군다나 휴대폰 사용이 풀린 이후로 당직 오프 중 휴대폰을 사용할 수 있게 바뀐 부대가 많기 때문에 이런 부대에선 목당이 휴가만큼이나 달달하다.
일반적으로 당직 순번표에서 빠지는 건 전역 1~3개월 전이다. 사람이 별로 없는 대대는 한달 전까지 서야 하고 사람이 많아 병장들을 굳이 당직 세울 필요가 없는 대대는 '''"병장이 당직을 선다고? 어휴 불쌍해"'''라는 반응이 나오기도 한다. 뭐 그래도 보통 병장 달자마자 빠지는 경우는 거의 없고 병장 4~5호봉 즈음에 빠지는 것이 일반적이긴 하다.(공군은 2021년 기준 병장 7호봉까지 있다)
근무 중엔 보통 TV프로그램을 보면서 예능에 대한 토론 및 농담 따먹기, 장교의 학력이 높은 경우 좀더 수준 높은 대화를 하기도 한다. 말년병장 x 말년간부 혹은 말년병장 x 전문하사 같은 경우는 격의 없이 대화하기도 하는 편. 물론 둘다 자는 경우도 흔하다.
사이트처럼 부대 하나 전체가 같은 대대인 경우는 해당사항이 없지만 비행단처럼 큰 부대에선 통합생활관이라 하여 한 생활관 건물에 보급대대, 복지대대, 수송대대 등 여러 대대가 모여사는데[17] 각 대대의 인원 파악 및 연락을 위해 당직병을 일단 두긴 하나 점호가 끝난 이후엔 그중 한 대대의 당직병을 제외(이 당직병은 일반적인 경우와 같다)하고는 하번한 후 '''정상적으로 취침을 하고''' 다음 날 아침점호 직전에 일어나 다시 인원 파악 등 점호 준비를 하여 점호를 마친 후 하번한 이후 '''정상근무에 바로 투입되기'''도 있다. 그리고 어느 대대가 남을지는 매달 돌아가면서 바뀐다. 당직병이어도 잠을 잘 수 있는 건 좋은데 결과적으로 따져보면 다음 날에도 정상근무에 투입되므로 전날 저녁에 당직 근무를 추가로 한 셈이 되어 일반적인 당직병에 비해 손해를 보는 격이라 할 수 있다.[18][19]
[1] 헌병대의 경우 일반적인 빨간색의 헌병 완장을 사용하는 곳도 있다.[2] 이것도 천차만별인 게, 어떤 부대는 당직부사관이 곧 당직병인 경우도 있다. 당직병이 따로 없다는 의미.[3] 함정에 따라 의무병이나 전탐병 등을 배치하는 경우도 있다.[4] 헌병대의 경우 경계근무나 위병소 근무를 하는 인원과 운전병 등을 제외한 인원이 배치되며, 개인 신상의 문제로 헌병 본연의 근무가 불가능한 헌병 직별 인원도 당직병 근무로 배치된다.[5] 입항시 설치하는, 육상과 함정을 오가는 철제 통로.[6] 보통 방송은 조타직별에서 한다고 알고 있겠지만 조타는 정박시엔 일과중 고정방송(일과시작, 일과끝, 점호 등등), 항해시엔 모든 방송을 한다.[7] 특히 방송은 함외까지 들리게 되어있어 발음을 틀리거나 절게되면 사관실에서 바로 전화가와 과실폭탄을 먹게되니 특히 유의하자[8] 이때문에 땀에 절여진 빵모는 간부들의 하계 개리슨모와 비슷할 정도로 노랗게 변하니 당직용 정모와 출타용 정모를 따로 구비해두는 것이 좋다.[9] 전투복을 착용하는 군사경찰대의 경우 전투복과 전투모를 착용한다.[10] 당직사관과 당직부사관 보좌 및 위병소 관리 업무 수행[11] 부직사관(생활관 당직부사관) 보좌 및 생활관 내 보조업무 수행[12] 부대내 운전병 중 한명이 업무. 부대 긴급이송업무 및 부대순찰보조업무 수행[13] 단 이들도 기훈단 시절에는 다 한다.[14] 공군 내에서는 당직OFF 또는 근무OFF라고 말한다.[15] 부대에 따라선 점호 끝나고 30분이 아니라 자정까지 근무를 서고 다음날 오전 OFF를 주는 곳도 있다. 대신 이 경우 보통 가점이 없다.[16] 몇몇 부대의 경우에는 금,토요일 당직병에게 가점을 주는 시스템이 있기도 하다.[17] 대공방어대처럼 따로 떨어져 사는 '산재생활관'도 있지만 여기서도 화생방지원대나 헌병 경비소대 등 다른 대대와 같이 사는 경우가 흔하다. 통합생활관 지역을 2개로 두어 진짜 산재생활관은 헌병과 탄약 등 몇 없는 경우도 있다.[18] 단 군대에 부바부가 많듯이 이것도 부대마다 다르다. 어떤 부대는 자정에 하번해 취침한 후 오전일과까지는 면제시켜주기도 한다. 오후 일과는 정상적으로 진행하지만 취침 후 오전에 놀 수 있어서 그나마 나은 케이스. 취침을 하지 않을 경우 규정상 취침 보장 시간이 정해져 있다.[19] 이 경우 일병이면 상병장들의 갈굼 때문에 더 피곤해지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