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이칠란트급 전함
[image]
1907년 당시의 포메른
[image]
1번함 도이칠란트
1. 제원
2. 개요
독일 제국 해군이 1906년에 건조한 전드레드노트급 전함으로, 독일 해군의 마지막 전드레드노트급이기도 하다. 기존 브라운슈바이크급 전함이 과무장으로 안전성이 상당히 떨어졌기에 이를 개선한 형태의 전함으로 전노급으로서는 상당히 우수한 설계였다.
그러나 이들이 1903년부터 진수되는 동안, 영국에선 전함계의 혁명이라 불린 드레드노트급이 설계에 들어가 해군의 교리 자체를 바꿔버렸다. 따라서 이들은 등장 직후 구식이 되었으며, 전노급으로서는 상당히 우수했음에도 불구하고 그 한계가 확실했기에 1차 세계대전 동안 맥없이 2선급으로 물러나 영국함대에게서 도망다니며 지내게 되었다.
하지만, 독일제국 해군이 종전후 스캐퍼플로 독일 대양함대 자침 사건 당시 태반이 자침, 그리고 그 정치적 여파로 신형전함을 건조할 수 없는 상황이 되자 이들은 졸지에 독일 해군의 주력함으로 복귀하였고, 개장을 거쳐 쭉 쓰이다가 도이칠란트급 장갑함이 건조되자 연습함으로 돌려졌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기뢰 부설을 본업으로 하며 지내다가 독일의 패색이 짙어지는 전쟁 후반기에 침몰 또는 자침 처분된다.
3. 설계
3.1. 형태
이전의 브라운슈바이크급 전함의 과무장으로 인한 불안정한 사례를 들어 함교구조를 간략화하였고, 부포탑 또한 없앴다. 함체는 충각이 부착된 장선수루형 함체였다. 횡방향, 종방향 강철 프레임으로 제작된 선체는 리벳접합으로 고정되었으며 12개의 수밀격벽으로 나누어져 있었다.[1] 선저의 형태는 이중저 구조였기에 침수에도 강했다. 중량 경감을 목적으로 부포는 전부 포곽식이었다. 상부 구조물은 1번 주포탑, 조타 함교, 마스트, 3개의 연돌과 크레인과 탈출정, 후방 마스트, 후방 함교, 2번 주포탑의 순서로 배치되었다.
3.2. 화력
도이칠란트급의 주포는 1904년형 28cm 40구경 2연장 주포탑이었다. 연사력과 방호력 중시의 독일전함답게 분당 2발의 속사에 맞추어져 있었으며[2] 240kg의 철갑유탄 또는 고폭탄을 30도에서 18830m까지 날려보낼 수 있었다. 자유장전방식이었기에 어느 각도에서도 장전이 가능했다. 포구속력은 820m/s으로 철갑탄은 12000m 거리에서 160mm 장갑판을 관통할 수 있었다.
화력의 강화를 위해 도이칠란트급은 장갑순양함의 1904년형 17cm 속사포를 부포로 채용했다. 이전과 달리 포곽식으로 배치되었는데 62kg의 포탄을 22도로 14.5km까지 날려보낼 수 있었다. 1차대전 후반기 장약을 강화하여 22km까지 날려보내는 것이 가능해졌다. 한 포당 130개의 포탄이 할당되었다.
어뢰정에 대한 방어책으로 88mm 속사포가 24문 배치되었다. 14.8kg의 고폭탄을 분당 12발의 속력으로 발사할 수 있었다. 후에 8정이 철거된다.
어뢰발사관은 함수 충각 아래에 하나, 함미에 2기가 배치되었다.
3.3. 장갑
컷 오프 방식이 사용되었으며, 함체 전체가 크루프강으로 튼실히 장갑화되어 있었다. 흘수선의 경우, 1번함 도이칠란트는 8.9인치에서 5.5인치의 두께였으며 자매함들은 9.4에서 6.7인치였다. 함교의 경우 300mm의 장갑으로 보호되었으며 갑판장갑은 대낙각탄의 개념이 없던 시절이므로 40mm 정도였다. 주포탑의 경우 전방 280mm, 측면 250mm, 상면 50mm였고, 포곽은 170mm의 장갑과 35mm의 방호판이 부착되어 있었다.
3.4. 엔진
1번함 도이칠란트는 8기의 수관식 보일러와 6기의 원형 보일러를 사용하였다. 동형함들은 12기의 수관식 보일러를 사용하였다. 3단 팽창식 보일러였다.
4. 운용
4.1. 1차 세계대전
개전 당시 도이칠란트급들은 2전대에 소속되어 엘베 강 어귀에서 죽치고 있었으나, 영국 해안을 포격후 복귀하거나 하는 순양전함들을 지원하거나 호위하는 임무에 종사하였다.
유틀란트 해전 당시 도이칠란트급들은 1 정찰함대(I Scouting Group)의 일원으로써 활동하다 이들을 추격하던 베티 제독의 순양전함 함대와 조우하였다. 밤이어서 구식의 도이칠란트급들이 하나도 명중탄을 못 낸 것과는 대조적으로 영국 순양전함대는 3척의 도이칠란트급에 손상을 입혔으며, 손상입은 배 중 하나였던 포메른을 전열에서 이탈시키고 어뢰 공격을 가하여 탄약고를 유폭시켜 수장시켰다. 생존자는 없었다. 남은 함선들은 나싸우급 등의 드레드노트급들이 호위하는 안전지대로 진입하여 추가적인 함선 피해는 없었다.
이후 도이칠란트와 슐레스비히 홀스타인은 막사로, 하노버는 덴마크 방어선으로 차출되었으며 슐레지엔은 킬 군항에서 연습함으로 쓰였다.
4.2. 전간기
이후 베르사유 조약에 스캐퍼플로 독일 대양함대 자침 사건으로 드레드노트급 전함을 보유할 수 없게 된 독일의 '''유일한 전함'''으로 활동하게 된다.
1926년에 슐레지엔,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이 17cm 속사포를 15cm 포로 교체하였고
1935년 슐레지엔, 1937년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이 대공포 추가 개장과 어뢰관철거를 한다.
1936년 하노버가 표적함으로 전환되고 폭발 테스트로 사용되다가 브레머하펜에서 1946년 10월에 함생을 마감하게된다.
4.3. 2차 세계대전
도이칠란트급 전함은 제2차 세계 대전 참전함 중 유일한 전노급 함이었다. 폴란드 침공전 당시 도이칠란트급 전함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이 폴란드의 베스테르플라테의 폴란드군 요새(또는 병영시설)을 11인치(280mm) 주포로 포격하면서 2차대전의 첫 포탄을 날렸다. 이 포격은 독일군의 폴란드 상륙을 위한 지원포격으로, 요새 시설을 먼저 박살내놓기 위한 공격이었다, 1939년 말에 남은 두 함선의 15cm 부포가 모두 제거되었다. 폴란드 침공후 두함선 모두 발트함대에서 활동하며 베저위붕 작전에도 참여하고서는 독소전이 시작되자 잠깐 참여했다가 훈련선으로 돌려졌다가 연료유부족으로 다른함선들이 활동하기 힘들자 석탄보일러이던 이 구형함들은 1943~44년 추가 대공무장 개장을 받고 활동하게 되었다.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은 1944년 12월 18일 고텐하펜에서 영국공군의 폭격을 맞고 침몰하게된다. 종전후 소련군이 건져내 60년대 까지 사용했다.
슐레지엔은 1945년 4월 부상병수송과 탄약수송을 하다가 5월3일 기뢰접촉으로 슈비네뮌데 인근에서 좌초하고 함포로 퇴각하는 육군을 지원했다. 종전후 슐레지엔은 1949~1956년 사이 동독회사에서 스크랩처리를 한다.
현재의 슐레스비히-홀슈타인
5. 매체에서
[image]
- 워쉽 플릿 커맨드에서 도이칠란트가 2성급의 전함으로 등장한다. 전함이라고 부르기 민망한 수준의 무장으로 11인치 연장포 2기로 무장하고 있다. 연사속도도 보통보다 조금 나은 수준에 속도도 느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