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쿠가와 이에츠구

 


'''[image] 에도 막부 7대 정이대장군
とくがわ いえつぐ
徳川家継

도쿠가와 이에츠구
'''
[image]
'''생몰년도'''
1709년 8월 8일 ~ 1716년 6월 19일(7세)
'''신장'''
135cm[1]
'''재위년도'''
1713년 ~ 1716년
1. 개요
2. 생애
3. 기타

[clearfix]

1. 개요


에도 막부의 7대 쇼군. 정덕의 치(正德之治, 쇼토쿠노치)가 이루어졌던 시기, 일본 역사상 제일 어린 나이에 쇼군에 취임하여 일찍 죽은 탓에 쇼넨 쿠보(少年公方)또는 소년 쇼군이라고 불린다.

2. 생애


도쿠가와 이에츠구라는 그 이름은 당시 상황(上皇)이었던 레이겐 덴노가 직접 하사한 이름이다. 상황이었던 레이겐 덴노도쿠가와 이에노부가 살아있을 적 후지와라(藤原)) 고셋케의 우두머리이자 후지와라씨 전체의 종가인 고노에 모토히로(近衛基熙)[2]를 통해 이에츠구를 요시코 내친왕(吉子内親王)과 혼인을 시도한 적이 있었다. 하지만 도쿠가와 이에츠구가 일찍 사망하자 요시코 내친왕(吉子内親王)은 출가해서 비구니가 되었다. 만일 오래 살았으면 최초의 공무합체는 도쿠가와 이에츠구와 요시코 내친왕(吉子内親王)이 되었을 거라고.
도쿠가와 이에노부쇼군이 된 후 오오쿠에서 처음으로 측실로 맞은 오키요[3] 사이에서 태어난 자식으로 넷째 아들로 1709년에 태어났다. 어릴 적 이름은 나베마츠(鍋松). 이에츠구 위로도 형제 남매들이 있긴 했지만 정실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토요히메는 1681년에 사망했고, 정실인 히로코 사이에서 태어난 자식들은 장남을 포함한 세 아들이 1699, 1707, 1710년에 잇달아 요절해 살아남은 아들은 나베마츠(이에츠구) 밖에 없었다.
1712년, 쇼군에 취임한지 4년째 도쿠가와 이에노부는 병으로 쓰러졌고, 가신인 아라이 하쿠세키마나베 아키후사를 불러 후계를 지시했는데 도쿠가와 이에쓰구가 너무 어린 탓에 이에노부는 오와리에 있는 도쿠가와의 방계인 도쿠가와 요시미츠를 후계로 지명했다고 하며 이후로 또 다른 유언으로 이에츠구를 쇼군으로 세우고 요시미츠가 섭정으로 정무를 대행하게 하라는 지시를 내렸다고도 한다. 그리고 나서 이에노부는 숨을 거두었다.
그러나 후계를 놓고 마찰이 일었다고 한다. 아라이 하쿠세키는 "오와리에서 요시미츠 공 가신들이 오면 막부의 신료들과 갈등이 생겨서 천하가 소란해진다. 차라리 이에츠구 공을 쇼군으로 세우고 우리들이 후견을 하는게 낫다"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다른 이들은 "이에츠구 공은 아직 어리다. 게다가 후계자 없이 돌아가시면 그 뒤는 어떻게 하나?"라는 반박이 일었다. 이에 아라이 하쿠세키가 "그렇게 되면 그때 요시미츠 공을 옹립하면 된다"라고 설득해서 1713년 쇼군의 직에 오르게 되었다고 한다.
겨우 네 살이라는 어린 나이에 쇼군이 된 탓에 정무는 아라이 하쿠세키와 마나베 아키후사가 전담해 쇼토쿠의 개혁을 계속 추진해 나갔다. 그러나 어머니 겟코인(月光院)과 마나베 아키후사 사이에 불륜설이 돌았고 1714년에는 오오쿠에서 에지마 이쿠시마 사건이 일어나 어머니의 세력이 약화되기도 했다.
어린 나이였지만 이에츠구는 제왕학 교육을 받아 아라이 하쿠세키도 이에츠구의 영특함을 인정했다고 한다. 그러나 아라이 하쿠세키와 마나베 아키후사의 사이는 점점 악화되어 갔다.
그런 가운데 1716년 3월에 감기가 악화되어 병석에 누운 끝에 결국 8세의 나이로 4월 30일에 사망했다.
결국 도쿠가와 이에쓰구의 죽음으로 도쿠가와 이에미츠의 직계는 끊기고 키슈 도쿠가와의 도쿠가와 요시무네가 8대 쇼군으로 뒤를 이었다. 다만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외동딸인 치요히메가 있는데, 치요히메의 손자가 오와리 도쿠가와 당주인 도쿠가와 요시미츠이다. 즉 남자 후손은 단절되었으나 가계가 아주 끊긴 것은 아닌 셈.
도쿠가와 이에츠구와 도쿠가와 요시무네의 촌수는 요시무네가 재종조(6촌 대숙부)에 해당된다고 한다.

3. 기타


사망 당시 때 키가 135cm였다고 하는데, 에도시대 어린이가 현대 어린아이보다 키가 작았다는 사실와 그리고 한국에서도 10~11세 정도는 돼야 이 정도 키가 된다는 사실을 감안하면 거인증을 앓았을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재위기간이 3년밖에 되지 않았기에, 도쿠가와 히데타다 이후 도쿠가와 이에나리에 이르는 역대 쇼군들 가운데 조선 통신사를 맞이하지 못한 유일한 쇼군이 되었다.


[1] 사망 당시 키다.[2] 도쿠가와 이에노부 정실인 덴에이인의 아버지이며 태합으로 불린 적이 있었다.[3] 서민 출신으로 오오쿠에 들어와 그 미모로 도쿠가와 이에노부의 총애를 받았고, 이에노부 사후에 겟코인(月光院)이라는 법명을 얻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