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image]동양엘리베이터의 로고.
동양엘리베이터는 1966년부터 2003년까지 존재한 엘리베이터 전문업체였다.
[1] 1999년까지
도시바와 제휴를 한 적이 있어서 엘리베이터 디자인이 도시바와 흡사했다. 모델명도 도시바의 CV와 CL시리즈를 그대로 썼다.
[2] 현재도 도시바는 CL,CV로 시작되는 모델을 계속 생산중이며 도쿄 스카이트리에 설치된 플래그쉽 모델 CL-200을 필두로 하여 두 주력 라인업을 확장시키고 있다.
이름과는 달리, 동양엘리베이터는
동양그룹의 계열사가 아니다.
2. 생산한 모델
1966~1967년에는 외국 브랜드를 수입하여 설치, 유지보수 하다가, 1968년부터 자체 생산을 시작하였다. 이때 출시된 모델은 AC-2이였다.
1979년에 AC-2 후속모델인 로프식교류 CV10 모델이 출시되었다. 2016년 기준으로 가장 오래된 CV10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당주동 삼한빌딩 1979년식이다. 또한 가장 오래된 AC-2모델은
서울특별시 종로구 숭인동 BYC숭인사옥 1982년식 AC-2이다.
1989년에 CV10의 후속모델인 CV40모델이 출시되었다. CV10과 CV40의 차이점은 CV10 같은경우에는 끝에 있는 층까지 올라가는도중에 버튼을 잘못 누르면 다시 내려가지만 CV40은 올라가면 다시 취소가 된다. 그 후 여러 모델이 출시됐는데 1999년 도시바와의 인연을 끊고 자체모델 DY시리즈의 첫 모델인 DY20을 제작하기 시작했다.
알림음은 '몇층입니다.', '띵 띵동', 미쓰비시 알림음, 외국미쓰비시알림음(대부분 동양엘리베이터의 CL시리즈 외부알림음이다. JW매리어트반포, 그랜드인터콘티넨탈 파르나스호텔(미쓰비시(금성기전) TLCM) 외부알림음이 대표적인 예), 딩동댕동(현대엘리베이터의 일부 VAC에서도 나오는 알림음이다.) 등이 있다.
2003년 이후 일부 DY시리즈는 상행 '딩동댕동 몇층입니다.' 하행 '딩댕 몇층입니다.' 로 나오며 상행의 딩동댕동이 현대엘리베이터의 일부 VAC에서 나오는 딩동댕동과 유사하다. 그리고 이 엘리베이터가 사용했던 딩댕 알림음은 기타 회사들이 우려먹고 사용하고 있는데, 심지어 상행도 딩댕 이라고 나온다.
로프식교류
|
'''AC-2''' 교류이단제어 모델. 한국쉰들러나 미쓰비시, 후지테크에도 동일한 모델명이 존재한다. 1968년[3] 1966~1967년에는 자체 생산을 하지않고, 외국 브랜드를 수입하여 설치하였다. 출시되어 1984년 단종
|
'''CV10''' 교류귀환제어 모델. 1979년 출시되어 1993년에 단종
|
'''CV20''' 초희귀모델. 현재 마포구 정우상가맨션만 있는 모델
|
'''CV40''' CV10의 후속이자 원가절감용. 보통 승객용만 존재하며 중저층 위주로 적용
|
로프식직류기어
|
CD10 서울 여의도 대영빌딩 비상용에 설치되어있다.
|
로프식직류무기어
|
CL5 서울 여의도 대영빌딩에 설치되어있다. 종로 삼환빌딩, 더익스체인지서울, 신라호텔서울, 마포 가든호텔에도 있었으나 대차되었다.
|
CL10 서울 회현동 인송빌딩에 있었으며 리모델링으로 인해 철거되었다.
|
CL20 서울 남창동 롯데손해보험에 있었지만 대차되었다.
|
CL40 초창기 동양에레베이터의 플래그쉽 역할을 한 제품.
|
로프식VVVF
|
'''CV60''' 1991년 출시
|
'''CV65''' 90년대 후반 주공 등 일부 구축아파트에서 볼 수 있다. 판매량은 매우 적다.
|
'''CV85'''
|
'''CV85A'''
|
'''CL65''' 서울특별시 강남구 한무컨벤션 별관에 이 모델이 있으며 1999년식이다.
|
'''CL70''' 종로타워와 국제전자센터에 이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 그리고 서울 중구 더플라자 수영장 구간에도 있고 종로 S타워에도 있다. 보라매아카데미타워, 여의도리버타워 아파트에도 이 모델이 설치되어 있다. 침대용으로는 삼성서울병원 본관에 유일하게 존재했었다.[4] 노후화로 2019~2020년에 후지테크엘리베이터 기어리스 모델로 모두 교체 함 속도는 180m/min
|
'''CL75''' 도곡동 타워팰리스1차에 설치된 모델이다. 서울특별시 강남구 한무컨벤션 본관에도 있다.
|
'''CL90'''
|
MRL[5] 최초의 모델은 부산파라다이스호텔 카지노구간에 있다.
|
MRL20[6]
|
MRL30
|
DY20
|
DY20A
|
DY20B
|
DY20L
|
DY30A
|
DY30L[7]
|
DT150 2001아울렛 철산점에 있는 화물용 엘리베이터가 이 모델이며 희소한 편이다.
|
DY-OOL 시리즈는 중저속(105M/MIN 이하)도 있기 때문에 고속모델로 보기 힘들다.
유압식VVVF
|
HYD(BERING 서울월드컵경기장과 보라매삼성쉐르빌 상가에 이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었다.
|
HYD(LEISTR 인천 1호선 일부역사와 광명역에 설치되었다.
|
HYD(EV100 김포공항 롯데몰 화물용이 이 기종이다.
|
HYD(MAXTION 백제역사문화관에 이 기종이 설치되었다.
|
3. 합병
그러다가 2003년 티센크루프와 합병되어 티센크루프동양엘리베이터로 이름이 바뀌게 된다. 티센크루프와 합병을 한 뒤에도 계속 DY시리즈를 제작했지만, 2008년 티센크루프엘리베이터코리아로 이름을 바꾼 이후 TK시리즈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그 이후의 연혁은
티케이엘리베이터코리아 문서 참조.
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