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릅
[image]
두릅나무에 붙어있는 모습이다.
1. 개요
영어: Fatsia Sprout, Aralia Sprout, Dureup
일본어: タラの芽
산나물로서 두릅나무의 어린 순. 겨우내 뿌리에 저장된 영양분이 가지 끝에 새순으로 맺히는 것으로 '목말채' 또는 '모두채'라고도 한다. 일반적으로 두릅이라 하면 위의 사진과 같이 나무 끝에 초록색으로 맺히는 참두릅[1] 을 말하지만, 두릅나무가 아닌 여러해살이 풀에 맺히는 땅두릅도 있다. 땅두릅은 참두릅에 비해 굵직하고 줄기가 붉은색을 띈 것이 특징. 겉으로 보면 한눈에 구별할 수 있을 정도로 색 차이가 확연하다. 그뿐만 아니라 땅두릅은 참두릅과 달리 속에 미끈한 점액이 있기 때문에 식감도 다르다. 그밖에도 모양이 살짝 비슷한 개두릅(음나무순), 옻나무순, 오가피순 등이 있다.
2. 상세
대략 남부지방은 3~4월, 중부지방은 4~5월 즈음에 순이 나오는 시기만 채취, 수확한다. 가시만 앙상한 가지의 맨 윗부분과 마디 부분에 작게 눈이 있는데, 거기서 순이 나므로 손상시키면 안된다. 가지의 맨 윗부분 두릅이 가장 좋으며 중간 마디 부분에서 나오는 것은 2등품 취급. 그러나 재배품 포장시엔 구분없이 섞어버린다. 사실 어느 부분에서 채취했냐보단 적당한 시기에 채취하였느냐가 그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이다. 덜 자란 두릅은 먹을 게 없고, 시기를 조금이라도 놓쳐 너무 자라면 질기고 가시가 단단해져 먹을 수 없다. 자연산 두릅은 5~10 ㎝쯤 자랐을 때 채취하고 재배용은 10~15 ㎝ 되면 수확한다. 자연산 두릅을 빨리 채취하는 이유는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 사실 요즘은 겨울철에 동남아 등지에서 순이 붙은 가지만 잔뜩 수입하여 비닐하우스에 그대로 세워두고 온도와 습도를 유지하면 가지 끝에서 새순이 자라므로 따다 판매한다.
[image]
어린순은 부드러워 나물로 무쳐먹거나 데쳐서 초고추장에 찍어 먹는 것이 보편적이다. 조금 더 자라서 나물로 먹기 힘든 정도가 되면 가시를 긁어내고 데쳐서 절임으로 만들어 먹는다. 봄에만 잠깐 먹을 수 있는 나물이지만 절임으로 만들면 오랫동안 두고 먹을 수 있다. 살짝 밀가루를 묻혀서 튀기면 꽤나 맛난다.
입 안에 넣었을 때 두릅 특유의 향긋함이 감돌며 적당히 데쳐낸 두릅은 아삭하고 쌉쌀하여 입맛을 돋운다. 기본적인 맛이 아스파라거스와 비슷하다는 말이 있는데, 향은 다르지만 식감은 비슷하다.
두릅나무의 뿌리도 흙 묻은 부분을 잘 닦아내면 먹을 수 있다. 마취성분이 약간 있어 두릅 뿌리는 자연에서 구할 수 있는 국소마취제이다. 생으로 먹다가 입에 약간 마비가 오는 느낌이 들 수 있다. 뿌리라 영양가도 높아서 먹는데에 큰 문제는 없다.
몸에 좋은 성분이 많아 환자에게 특히 좋다고 한다.
세계정복 ~모략의 즈베즈다~에서 허구한 날 언급되는 것이다.작중 즈베즈다단이 쓰는 모든 기술의 자원이라고. 이쪽에서 다루는 것은 땅두릅이다.
애초에 주산지가 한중일을 위시한 동아시아 지방이고, 그 이외 지역들은 두릅나무 자체가 없거나 있어도 당연히 먹지 않으며, 동아시아 내에서도 한국과 일본, 그리고 중국의 동북 지방에서 먹는 음식인 듯하다. 두릅나무 서식지도 오직 러시아, 한국, 중국, 일본에만 있는데 러시아는 당연히 안 먹고, 영어판 위키피디아도 두릅에 대해선 오직 한국 요리만 소개하고, 일본은 덴뿌라로 튀겨 먹는다는 서술 한 줄뿐이며, 중국은 위키피디아나 바이두에서는 언급은 없으나 블로그 포스트들을 찾아보면 두릅을 중국의 동북 지역에서 주로 먹는 음식으로 소개하고 있다. #
3. 기타
- 전소민의 별명 중 하나가 두릅소녀다. 그 두릅의 출처는 바로 이것. 이유인 즉슨 런닝맨 패밀리 패키지 도중 강한나가 쉬는 시간에 전소민과 이야기를 나누다가 전소민 쪽에서 두릅 소리가 났다고 했고 졸지에 그날 강한나의 폭로 이후 방영 내내 전소민에겐 방귀 및 두릅 드립이 넘쳐났다.
- '2년'을 뜻하는 동음이의어가 있다.
- 참고로 귀멸의 칼날 의 주인공 카마도 탄지로가 좋아하는 음식으로 알려져있다.
- 샤이니 멤버 키가 제일 좋아하는 간식이다.
[1] 나무두릅이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