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조

 

1. 마조히스트의 줄임말
2. 중국 신화의 여신
2.1. 개요
2.2. 중화권 민간 신앙에서의 위상
2.3. 기타


1. 마조히스트의 줄임말



영어식 발음을 넣어 매저라고도 읽는다.
마조&새디의 주인공 마조의 이름을 여기서 따왔을 가능성이 있지만, 철자가 다르다(저 마조는 Majo, 본 항목은 굳이 쓰자면 maso)

2. 중국 신화의 여신



2.1. 개요


媽祖
항해를 수호하는 낭랑신(여신). 관세음보살 신앙이 중국 복건의 민간신앙과 합쳐져 만들어진 신으로 추측된다. 도교신앙이 퍼진 한자문화권 각지에서 숭배됐다. 어느 정도냐 하면, 중화권에서 세워지는 도교 사당들 가운데 관우와 더불어 가장 많은 수를 다툴 정도.[1]
[image]
중화권의 도교 사당에 세워진 전통적 형상.
[image]
서양식 미인 형상. 대만 타이난 안핑(安平) 해안의 린모냥 공원(林默娘公園)에 세워졌음.
[image]

그녀의 어린 시절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신화가 전해온다.
당나라 현종 시절 복건성의 해안가 보전현에서 살던 임씨의 딸로, 그의 아내가 관음으로부터 우담바라 꽃을 받아먹은 후 태기가 있어 마조를 낳았는데, 어릴때부터 총명하고 신기가 있었으며, 병을 치유하거나 예언을 하는 능력도 보였다.
그녀의 오빠 4명이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간 어느 날, 마조가 집에서 베를 짜다 기절해서 부모가 놀라 흔들어 깨우자, 마조는 '오빠들이 풍랑으로 위험해서 도우려 했는데, 너무 일찍 깨우셔서 큰오빠는 구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부모는 무슨 말인지 몰라 어리둥절했지만, 얼마 후 아들들이 돌아오더니 차남이 '풍랑이 거세게 일었는데 신녀가 나타나서 나와 동생들은 구해줬지만 형의 배는 그만 침몰해서 형이 실종됐다'고 하였다.
이후에도 날씨를 예측하고, 약을 만들고, 환자들을 치료하고, 조난당한 어선의 생존자를 구조하는 등의 일을 하며 일생 동안 마을 사람들을 도우며 살다가, 28세 때 난파선의 선원을 구하던 중 익사했다. 마을 사람들은 마주를 위해서 사당을 세우고, 바다의 여신으로 경배하기 시작했다고 전해진다.

2.2. 중화권 민간 신앙에서의 위상


[image]
송(宋)나라 시절인 1123년 조정에서 하사한 천후, 천상성모, 성모낭랑 등의 칭호로 불렸으며, 이 이름들에서 알 수 있듯 벽하원군과 함께 가장 높은 낭랑신으로 여겨진다. 마조의 사당은 중국 동남부, 혹은 대만처럼 지리적으로 바다와 깊이 연관된 지역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으며, 이들 지역에서는 해마다 마조를 기리는 축제도 개최한다.
2009년에는 마조 신앙 관련 행사들이 유네스코 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참고자료)중화권의 마조 신앙에 관한 논문
[image]
명나라 시대 중국의 대항해를 지휘했던 정화(鄭和) 제독과 휘하 선원들도 항해 기간 동안 마조 신앙에 의지했다는 기록이 전해진다.
[image]
이러한 전통적, 대중적인 인기를 반영한 듯, 마조 신화는 대만을 중심으로 여러 차례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으로 영상화된 바 있다.
중화민국(대만)의 영토인 마쭈 열도는 이 여신의 이름을 따왔다. 한자 표기는 馬祖이지만 발음은 같다. 마카오 역시 현지 광동인들이 마조의 사당인 마조각(媽祖閣)을 말하는 것을 포르투갈인들이 지명으로 착각한 데서 유래했는 설이 있다.

2.3. 기타


일본 통치 시기의 대만에서는 신흥 종교(라기 보단 사이비 종교에 가까운) 천모교(天母教)가 일본 신화아마테라스를 마조와 같은 신의 위치에 놓고 일본과 천황 충성을 강조하며 포교를 한 바 있다. 일본 패전과 함께 천모교는 광속으로 사라졌고 남겨진 자산은 중국 국민당에 귀속됐다.

3. 마조(馬弔)




4. 일본어마녀


[1] 화교들이 있는 곳이라면 관우, 혹은 마조 사당이 대부분 세워져 있다고 생각해도 무방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