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닝스타(무기)

 

[image]
Morning Star
흔히 철퇴라고 할 때 이미지하는, 철퇴머리에 뾰족한 스파이크가 튀어나온 타격무기이다. 흔히 게임 등의 매체에서는 위 이미지 중 가운데의 별사탕을 닮은, 동그란 철구에 가시가 달린 모양으로 묘사되나 이는 여러 '모닝스타' 중 하나며 형태에 여러 변형이 존재한다.
사실 모닝스타라는 명칭은 '보병이 마상기사를 상대하기 위해 사용한 양손으로 사용하는 둔기'를 통틀어 가리키는 다소 포괄적인 개념이다. 위 이미지에서 볼 수 있듯 머리 부분의 변형도 많았고[1], 철퇴머리와 자루를 연결하는 방식도 단순히 자루에 머리를 연결한 것이나 둘을 사슬로 연결한 플레일(flail) 형태 등 다양했다.
상당히 널리 쓰인 형식의 무기이며 형태가 다양한만큼 부르는 명칭도 다양한 편이다. 대표적으로 모닝스타, 모르겐슈테른(Morgenstern), 케텐모르겐슈테른(Kettenmorgenstern), 성수뿌리개(the holy water sprinkler)[2], 후덴다흐(Goedendag)[3] 등.
일단 철퇴머리가 금속재인 것이 메이스(mace)류와 유사하나, 주로 마상기사들의 무기로 사용된 메이스와 달리 모닝스타는 보병들이 기마병을 상대하기 위해 사용하였으므로 세부적인 사항은 사뭇 다른 편이다. 일단, 메이스가 말 위에서 한손으로 사용해야 하므로 그 길이가 짧은 편이었던 반면에 모닝스타는 보병이 말을 상대로 양손으로 사용해야 했으므로 자루의 길이가 6피트(1.8m)이상이었으며[4], 메이스류가 짧은 길이를 무게로 보충하기 위해 자루에도 금속을 사용한 경우가 많았던 것에 비해 모닝스타는 머리를 제외하면 전체가 목재였다.
기사들의 갑주가 중장비화되어 기존의 창이나 폴암류가 큰 효용을 가지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모닝스타는 기사들 상대로 큰 위력을 발휘했으며 화기 발달로 백병전 무기가 쇠퇴하기 전까지 널리 쓰였다.
참고로, 갑주가 중장화되기 시작하는 송나라 이후의 중국에서도 양손으로 사용하는 둔기가 등장하였는데, 이 중 긴 자루에 수많은 스파이크가 있는 철퇴머리를 단 질려골타라는 무기가 있다.
송나라(북송) 말기를 배경으로 하는 소설 '수호지'에 나오는 벽력화 진명(수호지)의 무기인 '낭아봉'(狼牙棒) 또한 모닝스타의 일종. 다만 자루가 길다.
캡콤던전 앤 드래곤에서는 성직자 최강의 무기로 등장. 공격력이 가장 강력하지만, 대신 때릴때마다 히트백이 커서 무방비가 되는 시간이 많다는 단점이 있다.
대부분의 판타지에서는 성직자의 무기로 이미지가 굳어졌다. 퓨전 판타지 묵향에서는 모닝스타를 가리켜 ''''한 번 맞으면 아직도 못 일어나는'''' 물건이라고 소개시켜놨다(...). 뭐 현실에서 철퇴류가 성직자의 무기로 굳어진 것은 평소 필사와 번역, 기도 등으로 바쁘게 지내기에 무술을 연마쓰기 힘든 성직자도 간단히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이유에서였지만...
악마성 시리즈뱀파이어 킬러의 최종 형태는 서양에선 주로 모닝스타 형태라고 불린다. 애니메이션 판에서는 최종 형태로 변하는게 아니라 아예 다른 무기인데, 이 모닝스타 채찍은 한번 맞은 흡혈귀는 폭사+주변도 폭발에 휩쓸려 날라가는 무시무시한 위력을 보여주었다 .
울티마의 경우, 모닝스타가 근거리 2칸 무기이라, 1칸 두께인 벽을 뚫는 경우도 있었다.
서브컬쳐등에서 늦잠을 자는 주인공에게 여동생이나 히로인이 이것을 쓸데가 있는데, 그예로 '''아침잠을 깨우는 찬란한 별!!'''같이 쓸데없이 고퀄로 나가거나, 이름만 모닝스타인 레슬링기술이 나가기도 한다.
드라마 정도전육룡이 나르샤에서는 이방원이 심복을 보내 정몽주를 제거할 때 모닝스타를 사용한 것으로 나왔다. 그 당시의 철퇴라면 둥근 모양이 자연스러웠겠지만 드라마에서 시각적으로 강한 효과를 주기 위해서 모닝스타로 사용한 것으로 추측한다. 육룡이 나르샤에서는 1차 왕자의 난 장면에서 이방간이 주무기로 쓰기도 했다.


[1] 그 중에는 못 쓰게 된 도검의 폼멜에 스파이크 한 두개를 박아 그대로 철퇴 머리로 쓴 경우도 있었다.[2] 가톨릭에서 세례성사에 이용되는 성수를 뿌리는 도구인 Aspergillum (위키피디아)이라는 도구와 유사하게 생긴 데에서 유래한 이름. '''기왕 죽을 거 세례라도 받고 지옥은 가지 마라'''는 의미도 있었다고 한다.[3] 네덜란드어로 '반갑습니다'(Good day) 라는 뜻. 네덜란드어에서 g는 독일어의 'ch'나 러시아어의 'Х'처럼 강한 'ㅎ' 발음이 난다. 독일어의 Guten Tag과 사실상 같다고 보면 된다.[4] 때문에 폴 암으로도 분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