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리함수

 


1. 개요
3. 그래프
3.1. 대칭이동
5. 무한에 대한 극한값
7.1. 특수한 적분법
7.1.1. 일차식의 거듭제곱근이 포함된 경우
7.1.2. 유리식의 거듭제곱근이 포함된 경우
7.1.4. 이차식의 제곱근이 포함된 경우
8. 기타
9. 관련 문서


1. 개요


irrational function ·
중등 교육과정 전용 용어로, $$y=\sqrt{x+4}$$, $$y=\sqrt[3]{x^2+2x}+5$$와 같이 무리식이 포함된 함수를 말한다. 이 문서에서는 중등 교육과정에서 다루는 다음과 같은 꼴을 주로 설명한다.

$$f(x)=\pm \sqrt{ax+b}+c\;$$ (단, $$a \neq 0$$인 상수, $$b$$, $$c$$는 상수)

2. 정의역치역


무리함수에는 근호가 포함되어 있고, 근호 안에는 음수가 올 수 없기 때문에 $$f(x)=\sqrt{ax+b}+c$$ (단, $$a>0$$)에 대하여 정의역은

$$ \displaystyle \left\{\biggl. x \biggr|x \geq -\frac{b}{a},\,x \in \mathbb{R} \right \} $$
를 만족시켜야 하고, 치역은

$$ \displaystyle \{ f(x)|f(x) \geq c,\,f(x) \in \mathbb{R} \} $$
이 된다. 특히 $$b=c=0$$일 때, 함수의 꼴은 $$f(x)=\sqrt{ax}$$가 되고,
  • 정의역은 $$ \displaystyle \{ x|x \geq 0,\,x \in \mathbb{R} \} $$이다.
  • 치역은 $$ \displaystyle \{ f(x)|f(x) \geq 0,\,f(x) \in \mathbb{R} \} $$이다.

3. 그래프


무리함수 $$y=\pm \sqrt{ax+b}+c$$의 그래프의 성질은 다음과 같다.
  • 위 문단에서 무리함수의 역함수가 이차함수임을 밝혔으므로 포물선의 일부이다.
  • 그래프의 시작점은 $$\left( -\dfrac{b}{a},\,c \right)$$이다.
  • $$|a|$$값이 작을수록 그래프는 직선 $$y=c$$에서 가까워진다.
모든 무리함수의 그래프는 평행이동을 통하여 $$y=\pm \sqrt{\pm ax}$$ 형태로 바꿀 수 있으므로 이 함수들의 그래프만 따져보면 된다. 다음은 무리함수 $$y=\pm \sqrt{\pm ax}\;(a>0)$$의 그래프이다.
[image]
무리함수 $$y=\pm \sqrt{ax+b}+c$$의 그래프는 $$y=\pm \sqrt{ax}$$를 평행이동하면 된다. 예시로 $$y=\sqrt{-2x-4}+3$$은 $$y=\sqrt{2x}$$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 한 후 $$x$$축 방향으로 $$-2$$만큼, $$y$$축 방향으로 $$3$$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그래프는 아래와 같다.
[image]

3.1. 대칭이동


무리함수 $$f(x)=\sqrt{ax+b}+c$$ (단, $$a>0$$)는

$$ \displaystyle f(x)=\sqrt{a\left(x+\frac{b}{a} \right)}+c $$
형태로 변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해당 함수의 그래프는 $$y=\sqrt{ax}$$의 그래프를 $$x$$축 방향으로 $$-{b}/{a}$$만큼, $$y$$축 방향으로 $$c$$만큼 평행이동한 것이므로 그 기본꼴 $$y=\sqrt{ax}$$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여기에서 다음 세 가지 유형의 함수를 얻을 수 있다.
  • $$y=\sqrt{-ax}$$
    • $$y=\sqrt{ax}$$를 $$y$$축에 대하여 대칭이동
    • 정의역은 $$ \displaystyle \{ x|x \leq 0,\,x \in \mathbb{R} \} $$
    • 치역은 $$ \displaystyle \{ y|y \geq 0,\,y \in \mathbb{R} \} $$
  • $$y=-\sqrt{ax}$$
    • $$y=\sqrt{ax}$$를 $$x$$축에 대하여 대칭이동
    • 정의역은 $$ \displaystyle \{ x|x \geq 0,\,x \in \mathbb{R} \} $$
    • 치역은 $$ \displaystyle \{ y|y \leq 0,\,y \in \mathbb{R} \} $$
  • $$y=-\sqrt{-ax}$$
    • $$y=\sqrt{ax}$$를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동
    • 정의역은 $$ \displaystyle \{ x|x \leq 0,\,x \in \mathbb{R} \} $$
    • 치역은 $$ \displaystyle \{ y|y \leq 0,\,y \in \mathbb{R} \} $$

4. 역함수


무리함수 $$y=\pm \sqrt{ax+b}+c$$의 역함수를 구하기 위해 $$x$$와 $$y$$의 자리를 바꾸면

$$ \displaystyle x=\pm\sqrt{ay+b}+c \quad \to \quad \pm\sqrt{ay+b}=x-c $$
양변을 제곱하여 정리하면

$$ \displaystyle ay+b=(x-c)^{2} \quad \to \quad y=\frac{1}{a}\{(x-c)^{2}-b\} $$
이차함수가 된다. 단, 역함수의 정의역은 본래 함수의 치역임에 유의한다. 즉, 역함수의 그래프는 대칭축을 기준으로 반으로 잘린 모양이다.

5. 무한에 대한 극한값


모든 무리함수의 그래프는 무리함수 $$y=\sqrt{ax} \;(a>0)$$의 그래프를 평행이동 혹은 대칭이동하여 만들 수 있다. 따라서 $$y=\sqrt{ax} \;(a>0)$$만 논해도 무방하다.
$$y=\sqrt{ax} \;(a>0)$$의 극한값은

$$ \displaystyle \lim_{x\to \infty}\sqrt{ax}=\infty $$
이고, 이는 변형된 엡실론-델타 논법으로 증명된다. 곧, 임의의 양수 $$M$$에 대하여

$$ \displaystyle x>K \Rightarrow \sqrt{ax} >M $$
을 만족시키는 양수 $$K$$가 존재함을 보이면 된다.

$$ \displaystyle \begin{aligned} \sqrt{ax} >M &\to \sqrt{x}>\frac{M}{\sqrt{a}} \\& \to x>\frac{M^{2}}{a} \end{aligned}$$
따라서 $$ \displaystyle K = {M^{2}}/{a} $$으로 택하면 충분하고,

$$ \displaystyle \begin{aligned} x>\frac{M^{2}}{a} \Rightarrow \sqrt{ax}>M \end{aligned} $$
이므로 $$\displaystyle \lim_{x\to \infty}\sqrt{ax}=\infty$$임을 알 수 있다.
고등학교 수준에서는 '$$x$$가 무한히 커지면 $$\sqrt{ax}$$도 무한히 커지므로 $$\displaystyle\lim_{x\to \infty}\sqrt{ax}=\infty$$'로 알면 충분하다.

6. 도함수


무리함수 $$f(x)=\sqrt[n]{x}$$의 도함수는 다음과 같다.

$$ \displaystyle f'(x)=\frac{\sqrt[n]{x}}{nx} $$
이 도함수는 $$x=0$$에서의 기울기를 기술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즉, $$x=0$$의 접선은 $$x$$축에 수직이므로 기울기가 발산한다.

7. 역도함수


무리함수 $$f(x)=\sqrt[n]{x}$$의 역도함수는

$$ \displaystyle \int f(x)\, {\rm d}x=\frac{nx\sqrt[n]{x}}{n+1}+\textsf{const.} $$
이다. $$\textsf{const.}$$는 적분 상수이며 $$C$$로도 쓴다.

7.1. 특수한 적분법



7.1.1. 일차식의 거듭제곱근이 포함된 경우


피적분함수가 $$\sqrt[n]{ax+b}$$ (단, $$a$$, $$b$$는 상수)를 포함할 때는 $$ \displaystyle \sqrt[n]{ax+b}=t $$로 치환하면 피적분함수가 $$t$$에 대한 유리식이 되어 적분할 수 있다.

7.1.2. 유리식의 거듭제곱근이 포함된 경우


피적분함수가 $$ \displaystyle \sqrt[n]{(ax+b)/(cx+d)} $$ (단, $$a\sim d$$는 상수)를 포함할 때는 $$ \displaystyle \sqrt[n]{(ax+b)/(cx+d)}=t $$로 치환하면 피적분함수가 $$t$$에 대한 유리식이 되어 적분할 수 있다.

7.1.3. 삼각치환법


피적분함수가 $$\sqrt{a^2-x^2}$$, $$\sqrt{a^2+x^2}$$ (단, $$a$$는 상수) 형태일 때 변수를 삼각함수로 치환하여 적분하는 방법이다.


7.1.4. 이차식의 제곱근이 포함된 경우


피적분함수가 $$\sqrt{ax^2+bx+c} $$ (단, $$a$$, $$b$$, $$c \neq 0$$)을 포함할 때, $$a$$의 부호에 따라 적분한다.
'''[1] $$\boldsymbol{a>0}$$'''

$$\sqrt{ax^2+bx+c}=t-\sqrt{a}x$$
로 치환하여 피적분함수를 $$t$$에 대한 유리식으로 바꾸어 적분한다.
'''[2] $$\boldsymbol{a<0}$$'''
이차식 $$ax^2+bx+c$$를 $$a(x-\alpha)(x-\beta)$$로 인수분해하여

$$ \sqrt{\dfrac{x-\alpha}{\beta-x}}=t $$
로 치환한 뒤

$$ x=\dfrac{\alpha+\beta t^2}{t^2+1} \quad \to \quad {\rm d}x=\dfrac{2t(\beta-\alpha)}{(1+t^2)^2}\,{\rm d}t $$
이고,

$$ \sqrt{ax^2+bx+c}=\dfrac{\sqrt{-a} |\alpha-\beta| }{1+t^2} $$
임을 이용하여 적분한다.

7.1.5. 타원 적분



무리함수의 적분으로 정의되는 특수함수다.

8. 기타


  • 무리함수는 고1 때 배운다.
  • 무리함수는 도함수를 구하는 것이 비교적 쉬우나 역도함수는 여러 적분법을 써야 간신히 구해지는 경우가 많다.

9.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