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시우타/애니메이션
[clearfix]
1. 개요
이와이 쿄헤이의 동명 라이트 노벨 무시우타의 애니메이션. 2007년 7월부터 동년 10월까지 방영되었다. 총 12화.
팬들 사이의 평가는 한마디로 쓰레기. 당시 팬들의 반응이 어땠는지는 이 글을 보면 알 수 있다. 우스갯소리로 무시우타 bug의 드라마 CD를 사면 무시우타 애니메이션의 DVD는 덤으로 준다는 말까지 나왔을 지경. 판매량도 매우 저조했다.
그 눈물겨운 퀄리티에 비해 성우진은 화려하다 못해 호화로울 지경이다. 이는 DVD의 초회 특전이었던 드라마CD도 마찬가지인데, 아마도 제작 당시에는 상당한 투자를 했던 모양. 2008년에 히토카나에 아사누마가 게스트로 나왔을 때 했던 말에 따르면, 감독이 데뷔한지 얼마 안된 신인[1] 인 자신들은 둘째치고, 인기성우인 나바타메 히토미와 타무라 유카리도 몰라서 목소리만 듣고 캐스팅했다고 한다.
이 애니메이션의 실패로 원작 또한 영원한 고통 속에 빠지게 된다. 9권 이후 10권까지의 발매 텀이 무려 3년.
2. 줄거리
아이들 사이에서는 최근 기묘한 도시전설이 퍼지고 있었다. "'벌레'라 불리는 이형의 괴물. 그것에 씌인 자는 '충빙'이라 불리며 상식을 초월한 힘을 얻을 수 있지만, 그 대가로 사람들에게 두려움과 증오을 사며 이 사회로부터 말살된다. 그리고 종국에는 '벌레'에게 목숨을 빼앗기게 된다"는 것이 바로 그 소문이었다.
하지만 그것은 단순한 소문이 아니었다. '벌레'는 실제로 존재했던 것이다. 사람의 '꿈'을 먹는 대신 숙주에게 상식을 초월한 능력을 부여해 주는 이형의 생물 '벌레', 그리고 '벌레'가 처음 출현한 뒤로 어느덧 10년이라는 세월이 흘렀다.
현립 오우카 동고교 1학년으로 전학을 오게 된 소년 쿠스리야 다이스케는 학교에 가던 도중 한 소녀를 만나게 된다. 어딘가 신비한 분위기를 풍기는 소녀의 이름은 안모토 시이카였고, 두 사람은 서로에게 끌리게 된다.
그러나 시이카는 충빙을 수용하는 국가의 극비 시설 'GARDEN'에서 도망쳐 나온 도망자였다. 그녀의 특이한 능력으로 인해 시이카에게는 '겨울 반딧불이'라는 이름이 붙여져 있었고, 그런 시이카를 잡기 위해 특별환경보전사무국(통칭 특환)은 최강의 에이전트인 '뻐꾸기'에게 시이카를 뒤쫓을 것을 명한다. 그곳에 레이디 버드가 이끄는 충빙 레지스탕스 조직인 무시바네(벌레날개)가 가세하면서, 다이스케와 시이카는 운명의 소용돌이에 휘말리게 되는데...
3. 등장인물
- 쿠스리야 다이스케 - 성우: 아사누마 신타로
- 안모토 시이카 - 성우: 하나자와 카나
- 타치바나 리나 - 성우: 나바타메 히토미
- 밍밍 - 성우: 타무라 유카리
- 하지 게이고 - 성우: 히라카와 다이스케
- 고로마루 토우코 - 성우: 타카기 레이코
- 카부토 - 성우: 하마다 켄지
- 미나가와 아사미 - 성우: 시무라 유미[2]
- 카스오 - 성우: 이노우에 마리나
- C - 성우: 노나카 아이
- 아유카와 치하루 - 성우: 노토 마미코
4. 주제가
- OP. 「무시우타(ムシウタ)」 노래 : 아카츠키
- ED. 「안녕(サヨナラ)」 노래 : 사토 히로미
5. 회차 목록
6. 원작과의 차이점
상기 개요에 적힌 디시인사이드의 분노의 감상글처럼, 애니메이션의 내용 자체가 원본 무시우타와 완전히 딴판으로 논 끝에 처참히 실패한 애니메이션.
1시즌, 즉 12화의 분량으로 고작 원작 1권만을 애니화한 것도 기막힌데 거기에 2권 이후의 캐릭터들을 여러 명 가져다 쓰면서 개연성 면으로도 완벽하게 시망. 화룡점정은 캠코더를 들고 있는 미나가와 아사미로, 누가 보아도 원작 7권에 등장하는 히에모리 아코의 열화카피이다. 이쯤 되면 원작을 재현하는 데에는 관심이 없어보인다.
원작의 벌레들은 제각기 다른 개성과 기술, 특징들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죄다 몸통박치기를 하고 레이저를 쏘는 것으로 통일당했고 벌레의 크기를 쓸데없이 무지막지하게 키워놨다. 더 웃긴 점은 큰 벌레에 대항하기 위해 쌩뚱맞은 주인공이 헐크화를 해 커지는 장면은 비웃던 원작 팬들도 사레를 들리게 할 지경.
거기에 애니메이션 전반적으로 끼어있는 뿌연 안개는 덤이다. OST도 한 트랙을 시도 때도 없이 주구장창 써먹으며, 그 한 트랙을 제외한 다른 OST도 모두 평이 좋지 않다. 제일 욕을 먹는 것은 난데없는 서부 총잡이 스타일의 뻐꾸기 테마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