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양기

 

[image]
성명
민양기(閔良基)
본관
여흥 민씨[1]
생몰
1899년 3월 17일 ~ 1922년 3월 25일[2]
출생지
황해도 해주군 천결면 좌랑리#
(현 황해남도 청단군 갈산리)
사망지
해주형무소
추서
건국훈장 독립장
1. 개요
2. 생애


1. 개요


한국의 독립운동가.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민양기는 1899년 3월 17일 황해도 해주군 천결면 좌랑리(현 황해남도 청단군 갈산리)에서 아버지 민병한(閔丙漢)과 어머니 수안 이씨 사이의 무녀독남으로 태어났다. 그가 독립운동에 투신하기 전의 생애는 기록이 미비해서 알 수 없다. 1919년 3.1 운동이 발발하자 만세시위에 참여했다가 만주로 망명했고, 1920년 대한독립단(大韓獨立團)을 결성했다. 그해 5월 11일, 군자금 모집과 친일 부역배 암살 임무를 부여받은 그는 고두환, 이명서(李明瑞), 박기수(朴基洙) 등과 함께 국내에 잠입해 평안북도 삭주에 도착했다. 그는 그곳에서 신분을 숨기면서 평안북도 박천에서 박중서·변춘식(邊春植)을 새로 가담시키고, 6월 20일에 박천을 떠나 진남포로 가던 도중 대동군 용산면에서 자신을 검문한 대동경찰서 원장주재소 소속 일본 경찰을 사살하고 진남포 쪽으로 피신했다.
그 후 황해도 구월산에서 이명서, 이근영, 박기수, 주의환, 이지표, 원사현, 박지영, 고두환 등 8명과 함께 무장유격대인 구월산대(九月山隊)를 조직한 그는 은율군 장연면 서부리의 황윤상(黃潤相)의 집에서 동지들과 회합해 친일 부역배인 은율군수 최병혁(崔炳赫)과 군참사 고학륜(高學倫)을 처단하기로 결의했다. 8월 15일, 그들은 3대로 나뉘어 최병혁은 이지표가 맡고, 고두환은 김영섭의 안내를 받으며 고학륜 암살을 맡았으며, 민양기는 은율경찰서 습격을 맡았다. 이지표는 최병혁을 암살하는 데 성공헀지만, 고두환은 고두환을 놓쳤다. 한편 민양기는 은율경찰서 뒷문에서 부근을 감시하던 일본 경찰을 저격했지만 명중시키지 못하고 도피했다.
이후 9월 10일 동지들과 함께 신천군 초리면 도명리의 저택에서 은신하던 그는 황해도 경찰부 경찰대에게 포위되자 동지들과 함께 저항해 일본 경찰 히라자와(平澤政治)에게 중상을 입혔지만 중과부적으로 고두환, 변춘식, 박중서, 김정욱 등과 함께 체포되었고, 이명서, 박기수, 주의환, 원사현, 이지표 등은 사살되었다. 그 후 1921년 8월 1일 해주지방법원에서 사형 선고를 받았고 1922년 2월 25일 교수형에 처해졌다. 1989년 독립기념관이 발간한 <독립전쟁사>에 따르면, 민양기는 사형되기 직전에 '대한 독립 만세'를 세번 외쳤다고 한다.
대한민국 정부는 1962년 민양기에게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했다.

[1] 감사공파 31세 기(基) 항렬.[2] 독립유공자 공적조서에는 2월 25일, 여흥 민씨 세보에는 2월 26일에 별세했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1922년 3월 30일 동아일보 기사에는 3월 25일 오전 12시에 민양기의 사형집행이 이뤄진 것으로 언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