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가락이 닮았다
1. 소개
1932년, 김동인이 발표한 단편 소설. 김동인의 후기작에 해당한다. 일제시대판 디스배틀의 산물.
이 소설은 주인공 M[1] 에 대한 서술자의 깊은 연민과 애정이 느껴지는 필체로 쓰여졌다. 김동인의 단편소설이 대부분 그렇듯 간단한 이야기에 역시 간단한 주제를 담고 있는데 오로지 M이라는 남자의 무척이나 멍청하고 어리석은 모습을 보여주고 거기서 눈꼽만한 작디 작은 인간애의 흔적같은 것을 발견하려고 애쓰는 작품이다.
2. 상세
소설의 화자는 M의 친구이자 의사로, M이 매독을 심하게 앓은 것을 유일하게 알고 있는 사람이다.
M에 대해서는 다소 풍자적인 경향을 보인다. 그는 젊어서 무절제한 성생활을 일삼다가 매독을 심하게 앓아 생식기능을 잃은 채로 결혼을 하였다. 처음엔 아내와의 금슬이 좋지만 불임에 대한 자격지심인지[2] 이내 아내를 상습적으로 때리게 된다.[3] 그러면서 화자와의 술자리에서 방탕했던 젊은 시절을 후회하는 발언을 자주 한다.
그러다 아내가 아이를 낳게 되고, 남편이 불임인지도 모르고 자랑스럽게 나 임신했네 하는 아내에게 M은 아무런 태클도 못 걸고 입을 다문다. 그리곤 자기 자식일리 없는 아이를 안고 와서 처음엔 이 아들이 한 번도 본 적도 없을 M의 할아버지를 닮았다면서 어떻게든 자신의 핏줄이라 우기더니 자신과도 닮은 구석이 있다며 양말을 벗더니 "나랑 발가락이 닮았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분명 독자로 하여금 쓴웃음을 머금게 하는 장면이다. 그러나 서술자 "나"가 그렇듯이 우리는 결코 그에게 "전혀 닮지 않았다"고 직언하지 못한다. 사실대로 말하자면 그의 더러운 과거와 아내에게 했던 상습적 폭행을 생각하면 불쌍하다는 생각보다는 더 당해도 싸다는 생각 밖에는 안드는 성격으로 묘사된다.
하지만 누가 고발하지 않더라도 이미, 사실을 관계자와 독자 모두가 알고 있으면서 서로가 모르는 척 하고, 이 웃프면서 어색한 분위기를 끌고 가는 것이 이 상황에서는 최선이라고 납득하고 있다는 점에 이 소설의 묘미가 있다. 물론 독자에게 M은 일면식도 없는 완전한 남이니까 M의 과거사에 비추어 고소한 감정이 덧붙는 것도 자연스럽다.
3. 기타
- 김동인의 작품 중에서도 그가 지향하는 "순수문학"이란 표현에 어울리는 작품 중 하나로, 전체적으로 성숙해졌으며 그의 소설에서 지적되던 문제점이 줄어들었다.
- 김일성이 젊은 시절 읽어보고 굉장히 짜증낸 책이라고 한다. 황장엽이 회고한 바에 의하면 이 책에 대한 이야기를 하던 김일성은 "하초[4] 를 못 쓰던 놈이 양자를 들이고 그걸로 자기위안하는 소설이 대체 무슨 의미가 있다는 건가?"라며 어이없어 했다고.
[1] 작품 발표 당시에는 M의 모델이 염상섭이라는 추측이 상당히 성행했다고 한다. 그런데 이것이 이유가 있는 것이, 염상섭은 표본실의 청개구리에서 김동인을 디스했다. 이에 김동인이 대응한 것일 따름이다. 요약하자면, 염상섭 : 김동인 너 아내 도망간 무능력자. 김동인: 너 고자. 이거다.[2] 어쩌면 매독의 후유증으로 불능이었을 지도 모른다.[3] 그런데 화자인 의사는 그런 그의 행동을 몇 년에 걸친 독신생활동안 한이 쌓인 것이라고 해석하며 내심 친구의 가정폭력을 응원하기까지 한다. 작가 김동인부터가 여성혐오에 찌든 인간이라 그렇다(...).[4] 下焦. 배꼽 아래 부위를 말한다. 좁은 의미로 성기를 가리킨다. '우라노스의 하초에서 아프로디테가 나왔다'는 식으로 사용한다.